• 제목/요약/키워드: Malassezia furfur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애완 미니 돼지의 Malassezia furfur에 의한 외이도염 증례 (Otitis Externa caused by Malassezia furfur in a Miniature Pig)

  • 한재익;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3-305
    • /
    • 2009
  • A 7-month-old, female miniature pig was presented with excessive cerumen and pruritus. Greasy brown cerumen in both exteranal ear canal and sporadic head shaking were observed in the physical examination. Numerous budding yeasts in the cerumen were examined on microscopic examination. For species identification, PCR-RFLP using incubated colony on modified Dixon's medium was performed and finally, causative yeast was identified as M. furfur.

Dryobalanops aromatica 유래 용뇌의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orneolum (Borneo-Camphor) from Dryobalanops aromatica against Malassezia furfur)

  • 김영주;황근배;서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6-239
    • /
    • 2005
  • Ethyl acetate extracts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s were screen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lassezia furfur through the liquid growth inhibition method with 96 well plate and the paper disk agar diffusion assay. Among the 91 kinds of herbal solvent extracts, borneolum (borneo-camphor, No. 56) was finally selected as the best antifungal effective medicinal herb. The MIC value of No. 56 against M. furfur was 0.3 mg/ml ($8.2{\times}10^6$ CFU/ml) and it was three times more efficient than midazole which is the known antifungal agent in clinical medicines.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항균활성 및 활성오일의 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Malassezia furfur)

  • 이정현;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5-321
    • /
    • 2010
  • 비듬균(Malassezia furfur) 는 두피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써 오늘날 이러한 균들을 치료하는 치료제는 거의 없다. 몇몇의 전의 연구에서 오일들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졌지만 그것들의 항비듬균 활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특히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저해 활성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오일 중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오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해 성분을 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108개 오일의 스크리닝 과정에서 17개 오일[Allium sativum L., Carum carvi L., Coriandrum sativum L., Myroxylon balsamum var. pereirae Royle, Nepeta cataria L., Origanum vulgare L., Mentha pulegium L., Satureja hortensis L., Thymus vulgaris L. Thymus vulgaris L., Cinnamomum zeylanicum Blume, Pimenta dioica(L.) Merr.,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bud),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leaf), Cymbopogon nardus L., Cymbopogon martinii Stapf., Citrus aurantifolia Swing. and Pimenta racemosa(Mill.) J.W.Moore] 이 2 mg/mL 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이크라코나졸(itraconazole)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17개 오일 중에서 Citrus auranifolia 오일이 가장 활성이 좋았으며, 처리농도 (1.5 mg/mL, 1.0 mg/mL, 0.5 mg/mL와 0.1 mg/mL) 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MS) 성분분석 결과 limonene, ${\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의 함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itrus auranifolia 오일은 곰팡이 유래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Limonene의 세포독성과 항Malassezia 활성 (Cytyotoxicity and Anti-Malassezia Activity of Limonene)

  • 이정현;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7-389
    • /
    • 2011
  • 우리의 이전의 연구에서 Citrus auranifoli 오일은 Malassezia furfur와 Malassezia pachydermatis에 대해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주요 성분인 리모넨(limonene)의 M. furfur와 M. pachydermatis에 대한 저해효과를 디크스 확산 방법(disk diffusion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고, Beas-2B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Limonene의 최소곰팡이저해농도(minimum fungicidal concentration)는 양성대조구인 itraconazole보다 더 낮았고, 100 ${\mu}g$/mL의 농도에서 Beas-2B cells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itraconazole은 같은 농도에서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결과에서 limonene는 비세포독성과 함께 M. furfur and M. pachydermatis의 성장저해를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Synthesis of Benzoxazole Amides as Novel Antifungal Agents against Malassezia Furfur

  • Kim, Beom-Joon;Kim, Jin-Ah;Kim, Young-Kook;Choi, Soon-Yong;ParkChoo, Hea-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5호
    • /
    • pp.1270-1274
    • /
    • 2010
  • Malassezia is a pathogenic fungus that causes skin diseases, such as tinea versicolor, atopic dermatitis and fatal sepsis. We report the synthesis of a series of benzoxazole amides and evaluation of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lassezia furfur. Twelve benzoxazole amides were prepared through the cyclization of the substituted 2-hydroxy aniline with N-(bis-methylsulfanylmethylene) amides. Among the prepared compounds, the compounds 4a, 8b, 8c and 8d show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황련(Coptidis rhizoma), 오배자(Chinese galls), 피톤치드 혼합물(Phytoncide)이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ptidis rhizoma, Chinese Galls and Phytoncide in Malassezia furfur)

  • 김정희;조용권;김병관;곽승준;김종국;이은경;조혜경;김극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48-756
    • /
    • 2015
  •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된 천연물 중 항균활성이 가장 좋은 황련, 오배자, 피톤치드(Phytoncide)가 단일추출물과 추출혼합물 일 때 M. furfur의 항균활성 차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비듬균에 대한 천연한방추출물의 항균활성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출혼합물에서 S. aureus는 3가지 혼합한 천연물질에서 항균활성이 내성하였으며 E. coli는 황련과의 혼합물에서 내성하였고 C. albicans는 오배자와 혼합물에서 내성이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균주에 따라 항균활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 furfur는 단일추출물에서 전혀 항균활성이 없었고, 혼합물에서는 황련과 피톤치드 50% 혼합물에서 3.20mm의 직경으로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는 같은 진균인 C. albicans와 비교하여 볼 때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그 이유는 M. furfur가 C. albicans에 비하여 세포벽이 지방친화성 성분을 지니고 있고 라멜라층, 원형질내막, 중간 다층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개에서 조사된 높은 지방 친화성 Malassezia 감염율 (High Prevalence of Lipid-Dependent Malassezia Infections in Dogs)

  • 한재익;조상희;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0-135
    • /
    • 2010
  • Malassezia 종은 온혈 척추동물의 정상 미생물총을 구성하며, 개에서는 비지방친화성인 M. pachydermatis가 주로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습도가 높은 한국의 여름 동안 개에 감염을 일으킨 말라세지아종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6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50개의 샘플을 채취하여 배양한 후 PCR-RFLP와 direct sequenc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지방친화성 종인 M. furfur와 M. obtusa가 전체 96%를 차지하였으며, M. pachydermatis는 4%만을 구성하였다. 이 결과는 기후에 따라 감염을 일으키는 Malassezia 종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로부터 비듬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dandruffy Compoun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 이성현;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0-225
    • /
    • 2007
  • 각종 약용 식물과 허브의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의 물 추출물이 7 mm의 생육저해환을 보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 항균물질은 구절초 분말을 1:20으로 물에 현탁시킨 후 $50^{\circ}C$에서 6시간 진탕시켰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이 항균물질을 Diaion HP 20으로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부분 정제한 결과 정제물질은 물과 에탄올에 비교적 잘 녹았고 pH 3.0에서 9.0까지 안정하였다. 또한 구절초 물 추출물을 30% 첨가하여 제조한 시제품이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하였고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굴절률은 비슷하였으나 pH와 점도는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세미 오이의 항산화 효소 및 항균 활성 검증 (Antioxidant Enzyme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ponge Gourds)

  • 이희주;문지혜;이우문;이상규;박동금;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702-709
    • /
    • 2014
  • 수세미오이(Luffa cynlindrica)는 박과 채소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용소재, 한방약재, 건강보조용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수세미오이의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재래종 수세미오이를 사용하여 수액의 무기성분을 분석하고 수액과 식물체 부위별 항산화 효소 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세미오이 수액은 K, Ca, P, Mg이 주요 성분이었으며, K의 함량이 $470mg{\cdot}L^{-1}$으로 가장 높았다. Ca과 Mg의 함량은 오이의 약 2배와 1.7배로 높게 나타났다. 수세미오이의 조직별 항산화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APX 활성이 CAT와 SOD 활성보다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로 비교해 볼 때 항산화효소 활성은 잎, 뿌리, 꽃, 과실, 종자, 수액보다 줄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세미오이 수액의 식품유해균 10종에 대한 항균 활성은 Vibrio parahaemdyticus와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하여 미미한 활성을 보였을 뿐 그 외 8종의 균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피부염 등 인체 감염을 일으키는 Candida albicans와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수세미오이의 부위별 항균활성 분석 결과, 수액의 항균활성이 식물체의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이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