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geolli (M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5초

장뇌삼 첨가 탁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Ginsenosides 함량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s Compositions of Makgeolli Added with Mountain Ginsengs)

  • 최강현;손은화;김성준;이제혁;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43
    • /
    • 2013
  • Rice wine (makgeolli)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mountain ginsengs (MG) are being prepared with nuruk and yeasts,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ginsenosides in MG-makgeolli were analyzed. Average particle size of MG powder is $29.1{\mu}m$. MG slice (20 g) or powder (0~20 g) and rice (3,000 g) were used for 12 days fermentation of makgeolli, makgeolli containing slice of MG (SW-makgeolli), makgeolli containing 2 g (PW1-makgeolli), 10 g (PW2- makgeolli), 20 g (PW3-makgeolli) of powder of MG, respectively. Soluble solids and pH levels show no differences between five kinds of makgeolli groups, whilst the presence of high amounts of MG (PW3-makgeolli) caused decreases in ethanol and acidity. Major free amino acids in MG-makgeolli are glutamic acid and arginine. Total contents of 14 ginsenosides are approximately 2.5 g/100 g of dried MG powder and major ginsenoside were ginsenosides Re, Rb1, Rb2, Rg1, Rc and Rf. During the propagation of makgeolli containing MG, the ginsenosides Rb1, Rb2, Rb3, and Rc decreased, whilst ginsenosides Rg3 and compound K increased highly. It indicates that ginsenosides in MG are metabolized to different forms of ginsenosides by brewing microorganisms.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 이윤지;이해창;황금택;김동호;김현정;정창민;최윤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85-17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시판 막걸리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 박찬우;장세영;박은지;여수환;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84-8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되는 비살균 막걸리 8종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걸리 5종의 알코올 함량은 5.7~5.8%, G $6.7{\pm}0.1%$, D $6.8{\pm}0.2%$, C $7.5{\pm}0.1%$로 각각 분석되었다. 적정산도는 막걸리 C와 D에서 0.5%이상, H에서는 $0.49{\pm}0.02%$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0.45% 이하로 나타났으며, pH는 시료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약 200 mg%정도이며, A와 F는 약 90 mg%로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malic acid는 막걸리 A와 G에서만 검출되었으며, acetic acid는 C와 D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중 fructose와 sucrose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glucose 함량은 막걸리 G에서 $335.1{\pm}40.3$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altose 함량은 막걸리 E($73.5{\pm}1.8$ mg%)를 제외하고는 $23.5{\pm}1.0{\sim}45.0{\pm}1.1$ mg%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알코올 성분으로는 1-propanol, 2-methyl-1-propanol 및iso-amylalcohol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0.5 mg/mL로 탁주규격에 적합하였다. 이상과 같이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발효제, 담금조건, 담금유형별에 따른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종양이식 모델 쥐에서 동결건조 시판 막걸리가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ercial Makgeolli on tumor growth in tumor xenograft mice)

  • 신은주;김재호;성기승;염성관;황진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4-109
    • /
    • 2016
  •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막걸리를 알콜과 수분을 제거한 막걸리 동결건조물로 만들어 AGS위암세포주가 이식된 종양이식 마우스 모델을 가지고 종양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면역세포가 결핍된 C57/BL/6누드마우스를 이용하여 AGS위암 세포 이식 군(Induction), AGS위암 세포 이식+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 $100mg/kg{\cdot}day$군(ML), AGS위암 세포 이식+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 $500mg/kg{\cdot}day$군(MH), AGS위암 세포 이식+5-FU $18mg/kg{\cdot}day$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시판막걸리 동결건조물에서 종양의 성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군 간에 체중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막걸리의 투여에 의한 체중감소 등의 특이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Strains and Analysis of Their ${\beta}$-Glucan and Glutathione Levels for Use in Makgeolli Brewing

  • Kang, Sun Hee;Kim, Hye Ryun;Kim, Jae Ho;Ahn, Byung Hak;Kim, Tae Wan;Lee, Jang-Eun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61-367
    • /
    • 2014
  • Makgeolli, also known as Takju, is a non-filtered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 that contains various floating matter, including yeast cells, which contributes to its high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levels of ${\beta}$-glucan and glutathione in various yeast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Nuruk and selected a ${\beta}$-glucan- and glutathione-rich yeast strain to add value to Makgeolli by enhancing its physiological functionality through increased levels of these compounds. Yeast ${\beta}$-glucan levels ranged from 6.26% to 32.69% (dry basis) and were strongly species-dependent. Dried Saccharomyces cerevisiae isolated from Nuruk contained $25.53{\mu}g/mg$ glutathione, $0.70{\mu}g/mg$ oxidized glutathione, and $11.69{\mu}g/g$ and $47.85{\mu}g/g$ spermidine and L-ornithine monohydrochloride, respectively. To produce functional Makgeolli, a ${\beta}$-glucan- and glutathione-rich yeast strain was selected in a screening analysis. Makgeolli fermented with the selected yeast strain contained higher ${\beta}$-glucan and glutathione levels than commercial Makgeolli. Using the selected yeast strain to produce Makgeolli with high ${\beta}$-glucan and glutathione content may enable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Makgeolli.

황금·황련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막걸리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al Activity of Sutellaria baicalensis·Coptidis rhizoma Extract on the Preservation of Makgeolli)

  • 박순희;이슬;진효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74-979
    • /
    • 2012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herbal preservatives for Makgeolli, as Makgeolli loses its commercial value due to overproduced acidic materials. When Makgeolli was kept at $25^{\circ}C$ to find the changes in acidity, total microbial cell number, yeast cell number, and bacterial species variety, a sudden increase of acidity as well as the disappearance of yeast cells occurred at day 6, and Makgeolli was changed to complete off-flavor. Acetobacter pasteurianus is the main acidifier in Makgeolli and shows a synergy effect in acid formation when cultured in combination with Lactobacillus casei. Among 12 herbs, the ethanol extract of Sutellaria baicalensi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pasteurianus, whereas the ethanol extract of Coptidis rhizoma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 casei. Makgeolli added with S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demonstrated a lower acidity than that with Coptidis rhizoma extracts, which indicates that the inhibition of an acetic acid former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lactic acid former in Makgeolli preservation. S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prolonged the shelf life of Makgeolli by 1~2 weeks at a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0.63mg/m{\ell}$) during storage at $10^{\circ}C$.

홍삼 전분을 이용한 홍삼막걸리의 제조 및 이화학적 성분 변화 (A study on manufacturing of red ginseng Makgeolli using the red ginseng starch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red ginseng Makgeolli during storage periods)

  • 이환;김영수;김도연;김소영;이완규;이상명;박종대;손미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69-376
    • /
    • 2015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홍삼 전분은 홍삼 농축액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중 하나로 현재까지는 특별한 활용도가 없었다. 하지만 홍삼 농축액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홍삼 유래의 물질로 홍삼의 유효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및 각종 유리당, 탄수화물 등이 풍부한 안전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홍삼전분을 이용한 새로운 홍삼막걸리의 차별화를 위하여 제품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유기산, 유리당, 효모수 등을 분석하였다. 효모 생균수의 변화 조사결과 $4^{\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는 저장 20일까지 효모 균수에 큰 변화가 없었지만 $25^{\circ}C$ 저장에서는 저장 20일에 초기 효모균수의 약 75%가 감소되었다. 유기산분석 결과 막걸리에서는 lactic acid가 4.16 mg/mL의 농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itric acid 0.88 mg/mL, malic acid 0.39 mg/mL의 순서로 많았다. 저장 초기에는 malic acid의 함량이 $4^{\circ}C$$25^{\circ}C$에서 0.39 mg/mL 와 0.58 mg/mL 이었으나 저장일이 20일 경과하였을 때에는 0.46 mg/mL 그리고 0.17 mg/mL으로 측정되었고 대부분의 유기산은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butyric acid는 증가를 보였다. 20일 경에 lactic acid와 isobutyr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다른 종류의 유기산은 증가를 보였다. 유리당 분석결과 glucose가 4.4 mg/mL, sucrose 2.8 mg/mL 그리고 mannose 1.4 mg/mL 으로 막걸리의 주 구성당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장기간이 지속되면서 sucrose, glucose, mannose의 함량은 감소를 보여 알콜 발효의 주요 기질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저장 4~8일 이후부터는 당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8일 이후부터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저장 중 당분이 알콜과 탄산가스로 분해되었기 때문에 함량이 감소한 보여진다. $4^{\circ}C$에서 저장시, 일반적인 유통기간보다(10일) 긴 20일 동안 유리당의 변화를 보였으며 유리당은 12일 경에 sucrose, glucose와 mannose의 양은 1/2으로 감소하였다. 총산 및 pH 분석결과 각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 저장 4일경 pH 4.3에서 8일경 pH 3.8로 떨어지면서 저장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되었다. $25^{\circ}C$에서 저장한 경우, pH 4.6~3.2 수준으로 $4^{\circ}C$ 저장 온도보다 $25^{\circ}C$ 온도에서 pH가 낮게 관찰 되었고 진세노사이드 분석결과 함량은 2.47 mg/g으로 측정되었다.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 이나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39-745
    • /
    • 2020
  • 막걸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류로 전분질을 원료로 하며 누룩과 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술이다.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은 6.76~14.56%였으며, 환원당의 경우 1.17~1.68g/L이 측정되었고, M5번과 M6번의 실험군의 경우 1.68g/L와 2.43g/L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M1~M9 실험군의 평균 pH는 3.56±0.02였고, 총산의 경우 0.45~0.83%의 값을 보였다. 막걸리의 총 페놀 함량은 평균 966.38mg/L이고 ABTS는 0.77mM TEAC의 값을 보였다. FRAP 및 ABTS의 항산화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막걸리는 r GAE / PRequiv=0.8582와 r GAE / TEAC=0.9769 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막걸리의 전통적 방식을 바탕으로 쌀과 누룩, 양조용수, 발효기간을 달리하여 이화학적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진행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막걸리제조의 발효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기초자료 활용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누룩으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Pediococcus 속 균주의 분리 및 오르니틴 함유 막걸리의 3T3-L1 세포의 중성지질 축적 억제 효과 (Isolation of Pediococcus Strain from Nuruk and Anti-Lipid Accumulation Effect of Ornithine-Containing Makgeolli on 3T3-L1 Cells)

  • 육진선;오석흥;김수곤;이요셉;문은경;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64-12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누룩에서 ornithine 생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Pediococcus 속 균주를 동정하고, ornithine 생성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Ornithine의 전구물질인 arginine과 Pediococcus pentosaceus TNO-4를 첨가하여 제조한 ornithine 함유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수준에서의 지방구 형성 억제 효과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였다. Ornithine 막걸리의 ornithine 함량은 일반 막걸리에 비하여 3배 증가되었으며, 세포 실험 결과 0.05 mg/mL 농도의 ornithine 막걸리를 3T3-L1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우리나라 전통술인 막걸리를 통하여 지질축적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 나아가서 기능성이 부각된 막걸리의 개발을 통하여 막걸리 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수 있고, 누룩에서 분리된 ornithine 생성능을 가진 유산균은 막걸리 이외에 여러 가지 발효식품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판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균 함량 및 생리기능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 김영헌;민진홍;강민구;김재호;안병학;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5-33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막걸리의 우수성을 발굴하고자 60종의 시판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를 수집하여 이들의 주요 이화학적 성질과 젖산균 및 항고혈압활성 등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3.6%~9.6% 이었고 이들의 잔당 함량은 0.20%에서 4.52%,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3.50~101.9 mg%로 다양하였다. 저온살균 막걸리의 경우 에탄올 함량은 4.0%~7.0%로 생 막걸리와 비슷하였으나 잔당함량은 0.98%~7.57%로 생 막걸리보다 높았다. 또한 시판 생 막걸리의 젖산균 생균수는 평균 $2.0{\times}10^8$ CFU/mL 이었다. 여러가지 생리기능성 중 시판 EDS-14 생 막걸리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89.0%와 87.0%로 매우 높았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30%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beta}$-Glucan 함량은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가 각각 건조고형물 g당 평균 14.1%와 14.6%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