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trauma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2초

변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THE ERUPTION GUIDANCE OF AN IMPACTE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56
    • /
    • 2005
  • 매복치아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구강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의 맹출이 중지된 상태를 말하며, 악궁내의 어떠한 치아도 매복될 수 있으나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상, 하악 제 2소구치, 상악 중절치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 중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률은 0.1-0.5% 정도이며 매복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유전치의 외상, 과잉치, 치근단 병소로 인한 매복이 흔하며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에 의한 맹출공간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등의 결과를 유발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방법, 매복치의 맹출로가 정상이며 치근이 미완성일 경우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거나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하는 방법, 치아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상악 중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상악 중절치의 변위 매복을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관통성 경부 손상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enetrating Neck Injury: Review of 42 Operated Cases)

  • 최환;홍석진;김연수;조재구;백승국;우정수;정광윤;권순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5
    • /
    • 2010
  • Background: Penetrating neck injuries are potentially dangerous and require emergency management because of the presence of vital structures in the neck. The risk of airway, vascular, neurological, and pharyngoesophageal injuries leads to many difficult diagnostic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evaluate our experience with management of penetrating neck injuries, and to assess treatment outcome. Material and Method: Forty-two consecutive patients were identified (26 patients from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16 patients from Guro hospital) as having penetrating neck injuries from 2003 to 2009. With review of medical records, variable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including the location of injury, mechanism of injury, number of significant injuries, diagnostic modalities,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outcome. Results: The location of injury was zone I (lower neck) in 13 cases (31%), zone II (midportion of the neck) in 22 (52%), and zone III (upper neck) in 7 (17%). Injuries were caused by stab wounds in 23 patients, penetrating foreign bodies in 12. Among 35 patients who had deep injuries that violated the platysma, significant injuries, including major vascular (20), trachea (5) Pharyngoesophageal injuries (5) were identified in 24 patients. The mean hospital stay was 9.5 days. Conclusion: The penetrating trauma in the neck may show various degrees of severity. However, Cervical penetrating injury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n spite of the minimal width of the lesion.

  • PDF

새로운 적응증에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한 정맥피판 (Venous Flaps Applied for New Clinical Indications with using Various Methods)

  • 김남균;최재훈;최태현;이경석;김준식;이혁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52-59
    • /
    • 2007
  • Purpose: The venous flap is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he standard free flap for the management of small and thin soft tissue defects. Especially, the venous flap has advantages of being thin, easy harvest and various donor sites, as well as it having lower morbidity. Yet their clinical applications have been limited by their unstable postoperative course and also by their complications such as partial necro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clinical indications of venous flaps with using various methods. Methods: From May 2005 to March 2006, total of 19 patients(21 cases) underwent various venous flaps for soft tissue defects as a result of trauma(15 cases), facial skin cancer(3 cases), chronic ulcer(1 case) and surgical wound for congenital anomaly(2 cases). The arterialized venous free flap were applied in 18 cases, the pure venous free flap was applied in 1 case and the pure venous pedicled flap were applied in 2 cases. Among them, two flow-through arterialized venous free flaps were applied that used the great saphenous vein to reconstructed major arteries as well as the injured skin and soft tissues in the arm. All the flap were harvested from the volar wrist(11 cases), dorsum of foot(5 cases), thenar(2 cases), and medial thigh(3 cases). Results: The sizes of the flap ranged from $0.75cm^2$ to $264cm^2$(mean size: $40.06cm^2$).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two to twelve months. In the majority of cases, we obtained satisfying results, which was the excellent reconstruction of skin and soft tissue defects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limb salvage, replantation and cancer reconstruction. However, there were 5 cases of partial necrosis and 2 cases of complete failure. The donor sites were closed primarily in 7 cases and wound closure with skin graft were in 14 case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venous flap will not only be useful for reconstruction of small defect in the hand and foot, but also be useful for various other clinical indications.

화상 후 두피에 생긴 편평 상피세포 종양에 대한 증례 보고 - 증례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s Arising in Scalp Burn Wounds - Two Case Reports -)

  • 김강산;황형식;권흠대;문승명;오석준;최선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1호
    • /
    • pp.52-56
    • /
    • 2007
  • Marjolin's ulcer is a rare and often-aggressive cutaneous malignancy that arises in previously traumatized or chronically inflamed skin, particularly after burns. We experienced two cases after burns. Case I involved a forty eight year-old man who had suffered from a flame burn at the parietal scalp area, where had been initially described three years earlier as a full-thickness wound including the pericranium. The man consulted us for a persistent ulcerative and infected wound on the burned lesion during the last 24 months, which turned out on the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o be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involving the skull and the dura mater. Although the posterior auricular lymph node was enlarged on the ipsilateral side, recen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T did not show any metastatic lesion. It was impossible for us to resect the intracranial involvement of the tumor radically, and the postoperative PET CT still showed a focal fluorodeoxyglucose (FDG) uptake around the wall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We think that an aggressive combined approach is essential for treatment in early stages for a high success rate, before the intracranial structures are involved because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treatment for advanced disease, and the results are generally poor. Case 1 also did not involve a radical resection because of the intracranial invasion to the wall of superior sagittal sinus and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major cortical veins. He received adjuvant radiotherapy and must be followed periodically. Case 2 involved an eighty six year-old women who suffered from a painful scalp ulcer lesion after flame burns three years earlier. Unlike case 1, neither tumor infiltration into the dura nor lymph node enlargement was observed on the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T. We did a radical resection of the tumor, including the involved bone, and a cranioplasty with bone cement.

25인승 버스 전복사고의 탑승자 손상 분석 (Injury Analysis of a 25-passenger Bus Left-quarter Turn Rollover Accident)

  • 박상민;김상철;이강현;이재완;전혁진;김호중;김진용;곽영수;이우성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7권3호
    • /
    • pp.50-56
    • /
    • 2014
  • Purpose: Rollover motor vehicle crashes have a higher injury severity and fatality than other motor vehicle crash types. From a left-quarter turn rollover accident of 25-passenger bus, we intend to assess the injury of the occupant and the injury severities according to the occupants' position. Methods: We carried out the 3 steps investigation of occupants' interview, visiting the repair shop and using the police report. We analyzed injuries sustained by occupants, and compared injury severities considering column, row in occupant's position and passenger interaction Results: The rollover involved 14 passengers in the bus who were all old women except a man driver. The most common injury was in the upper extremity, with six occurrences being a left clavicle fracture. Major injuries including hemothorax and pneumothorax were diagnosed at left side of the occupant. In the comparison of injury severity among driver's column (left side), mid column and passengercolumn, ISS of passenger column was the highest ($9.9{\pm}7.4$, $8.8{\pm}5.5$, and $10.3{\pm}4.0$, respectively, p>0.05). The injury severity of multiple occupants by row was higher than that of single occupant (10.8 vs. 3, p<0.05). Conclusion: An occupant must fasten their seat belt to prevent an injury by passenger interaction in the left-quarter turn rollover accident of a bus.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의 기여인자 (The Contributory Factors of CSF Shunt Failure)

  • 김영돈;황성규;황정현;성주경;함인석;박연묵;김승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1호
    • /
    • pp.79-84
    • /
    • 2001
  • 목 적 : 뇌실 복강간 단락술 부전의 기여인자를 조사 및 분석하여 뇌실 복강간 단락술의 합병증 및 재수술의 가능성을 줄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뇌실 복강간 단락술을 시행 받은 237명의 수두증 환자를 후향적 방법으로 고찰하여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의 기여인자 및 단락기 생존율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수두증의 원인은 종양, 출혈, 감염, 선천성 기형, 정상 뇌압 수두증, 외상 등이었다. 68명의 환자에서 109회의 재수술이 이루어졌다. 재수술의 이유는 폐색, 근위부 카세타의 위치이상, 감염 등이었다. 단락기 생존율은 1년, 2년, 3년에 각각 77.1%, 75.4%, 74.1%이었다. 10세 이하의 환자에서 재수술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 그리고 수두증의 원인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재수술의 빈도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대부분의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은 술후 1년내에 발생하였다. 환자의 나이 및 수두증의 원인이 뇌실 복 강간 단락 부전의 주요 기여인자였다.

  • PDF

두개골 성형술의 사용 재료와 수술 시기에 따른 감염율 (The Infection Rate in Case of Cranioplasty According to Used Materials and Skull Defect Duration)

  • 김영우;유도성;김달수;허필우;조경석;김재건;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16-220
    • /
    • 2001
  • Objective : Cranioplasty is required to protect underlying brain, to correct major aesthetic deformities, or both. The ideal material for this purpose is autogenous bone. When this is not available, alloplastic or artificial materials may be used. In this study authors compared the infection rate according to the cranioplasty materials(the frozen autologous bone vs. bone cement), and duration of the skull defect. Materials : Between May 1994 and December 1999, 111 patients with skull defect treated with cranioplasty(82 cases of frozen autologous bone and 29 cases of artificial bone materi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77 males and 34 females with a mean age of 41.4 years(range 1-85 years). 57 patients had head trauma and 54 had non-traumatic insul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kull defect, there were 28 cases under 1 month, 33 cases of 1-2 months, 15 cases of 2-3 months, 20 cases of 3-6 months and 15 cases over 6 months of duration. Results : Overall infection rate was 9.9%. In cases with frozen autologous bone and artificial bone material, the infection rate was 8.5% and 13.7%, respectively. The infection rat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skull defect was 3.6%(among 28 cases) under 1 month of age, while those were 12%(4 among 33 cases) at 1-2 months, 20%(3 among 15 cases) at 2-3 months, 5%(1 among 20 cases) at 3-6 months and 13%(2 among 15 cases) over 6 months. Accoring to the underlying disease, the infection rate in traumatic cases was 12%(7 among 57 cases) and that in non-traumatic one was 3.7%(2 among 54 cases). Conclusion : From this study, it appears that skull defect should be repaired as soon as possible, because early cranioplasty can lower the infection rate. And surgeons could save the patients' cranial bone as possible as they can because autologous bone is not only cost effective in cosmatic purpose but lower the infection rate.

  • PDF

하지 혈행장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al Occlusive Disease in the Lower Extremity)

  • 서정욱;조은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89-896
    • /
    • 1996
  • 하지 동맥 혈관의 폐쇄로 인한 급,만성적인 하지 허혈은 혈관우회술이나 혈전제거술등의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 점차 좋은 경과를 얻고있다. 동아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하지 허혈의 임상적 양상과 수술 결과를 살펴보고자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5년 5개월동안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을 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는 25세에서 87세이고 남자가 92례, 여자가 9례로써 약 101로 남자에서 많았다. 이들 환자의 동맥폐쇄질환에 관계있는 병인에는 동맥경화성 협착이 54례, 혈전색전증이 21례. 버거씨병이 20례, 외상에 의한 동맥 폐쇄가 3례, 가성동맥류가 3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주 폐쇄부위는 대퇴동맥 폐쇄가 30례, 장골동맥 폐쇄 23례, 슬와 동맥 폐쇄 10례, 대동맥 분지부 6례. 경골동맥 폐쇄였고, 버거씨 병에서는 후경골동맥 폐쇄 14례, 전 경골동맥 폐쇄 8례. 슬와동맥 폐쇄 5례. 대퇴동맥과 비골동맥이 각각 2례 였다. 혈관 폐쇄로 인한 하지 혈행장애의 수술은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혈관우회술이 61례. 혈전 제거술 24 례, 교감 신경절제술 20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 환자에서 혈관우회술을 시행한 苛\ulcorner61례로써 이중 대퇴동맥과 슬와 동맥간의 우회술이 21례, 대퇴동맥과 반대편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15례. 맥와 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7례, 하복부 대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에 Y graft를 이용한 우회술이 3례였 4술후 이식혈관에 대한 개존율은 전체적으로 술 후 1년에 83.6%. 2년에 77.1%. 3년에 75.5%의 결과를 보였고 하지 보존율은 86.8 %였다. 하지혈행장애의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사망은 6명이었는데 사망 원인은 급성 신부전증, 다장긴 기능 부전, 그리고 패혈중이었다.

  • PDF

혈관 손상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Vascular Injuries)

  • 정성운;김영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7호
    • /
    • pp.480-484
    • /
    • 2007
  • 서론: 주요 혈관 손상 시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될 경우 환자가 생명을 잃거나 사지를 절단해야 할 위험이 있게 된다. 이러한 혈관 손상의 적절한 치료를 위한 지침을 세워보고자 본원에서 치료한 증례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치료받은 외상성 혈관 손상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분포, 혈관 손상의 위치, 원인, 진단방법, 혈관 손상의 형태, 임상소견, 치료방법,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환자의 연령분포는 평균 39.5세($12{\sim}86$세)였고 손상입은 혈관은 하행대동맥 6예, 대퇴 동맥 4예, 슬와 정맥 4예 등의 순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의인성 손상이 8예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교통사고 7예, 자상 6예, 산업재해 5예 순이었다. 진단방법은 CT와 Arteriogram이 각각 9예씩으로 가장 많았고 수술 중에 발생한 의인성인 경우는 이학적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였다. 혈관손상의 형태는 동맥인 경우 가성 동맥류가 10예로 가장 많았고. 부분 절단된 경우가 5예, 완전 절단된 경우가 3예, 폐색이 3예 등이었다. 정맥손상의 경우는 부분절단이 6예, 완전 절단이 2예였고 동정맥루의 형태가 2예 등이었다. 임상 소견은 맥박손실 8예, 냉감 1예, 흉통 6예, 부종 5예, 출혈 5예 등이었다. 치료는 동맥손상인 경우 Graft interposition이 11예로 가장 많았고 primary repair가 4예, 단단 문합이 2예였고 동정맥루 2예는 모두 중재적 시술(endovascular repair)을 시행하였다.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지연된 진단 및 치료로 인한 지체 소실이 3예 있었고 3예에서 동반된 신경손상으로 인한 운동장애 그리고 1예에서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사지 보존율을 높이고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시스템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중재적 시술이 증가하는 요즘 경향을 볼 때 발생의 예방을 위한 의사 교육이 중요하며 발생 시 즉각적으로 혈관 외과의사가 개입할 수 있도록 원활한 의사 교환 및 협진 체제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에서 회복궤도 (Recovery Trajectory in Tachycardia Induced Heart Failure Model)

  • 오중환;박승일;원준호;김은기;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22-427
    • /
    • 1999
  • 배경: 빈맥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만드는 방법은 확장성 심근증 모델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심장에 외과적 손상 혹은 약물의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람의 심부전에 가장 가까우며 조작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새로운 술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부전이 진행중인 모델에서 동물실험을 시행하는 것은 결과를 얻기 전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심부전의 진행을 중지시킨 회복궤도의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은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지만 빈맥 조작 기술에 따라 저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에대한 자료의 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1마리의 개(체중 25-35kg)를 대상으로 1)정상의 심장, 2) 심부전 심장, 3) 회복기 4주 4) 회복기 8주 등 4가지로 나누었다. 전신마취하에 우심실첨부에 박동기 전극을 삽입하여 빈맥은 처음 170회/분부터 매주 20회씩 프로그래머를 이용하여 증가시켰다. 4주 후 심부전이 발생하면 8주간의 회복기 동안 회복 궤도를 추적하였다. 심장의 크기와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초음파는 2주마다, Swan-Ganz 도자와 열희석법은 4주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 심박출율,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우심실압, 일회박출량 등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과 심부전 심장 상태에서 혈중 카테콜라민을 측정하였다. 그 외 심전도 및 대퇴동맥 도자를 넣어 맥박수, 혈압을 측정하였다. 정상심장, 심부전 심장, 회복기 4주 및 8주에서 측정한 값은 평균$\pm$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4마리(20%)가 심부전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은 측정시기에 따라 40.8$\pm$7.4, 82.1$\pm$21.1, 59.9$\pm$7.7, 46.5$\pm$6.5ml로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과 비슷한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심박출율은 50.6$\pm$4.1, 17.5$\pm$5.8, 36.3$\pm$7.3, 41.5$\pm$2.4%였다. 혈압과 맥박은 의의 있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중심정맥압, 우심실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등은 심부전 시에 의의 있는 증가를 보이다가 회복기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일회박출량은 21.5$\pm$8.2, 12.3$\pm$3.5, 17.9$\pm$4.6, 15.5$\pm$3.4ml으로 회복기에 심부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혈중 카테콜라민은 정상 133.3$\pm$60.0pg/dL에서 심부전 시에는 479.4$\pm$327.3pg/dL로 증가를 보였다(p=0.008). 결론: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은 외과적손상이 적고, 병의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다. 회복기에는 심기능 및 심장비대가 회복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향후 새로운 술식의 평가를 위하여 회복 궤도를 이용하는 경우 실험 동물의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율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