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tributory Factors of CSF Shunt Failure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의 기여인자

  • Kim, Young Don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wang, Sung Ky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wang, Jeong 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ng, Joo Kyung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amm, In Suk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Yeun Mook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eung Lae (Department of Neuro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영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황성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황정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성주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함인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박연묵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승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Received : 2001.07.01
  • Accepted : 2001.11.03
  • Published : 2001.12.31

Abstract

To investigate contributory factors of CSF shunt failure, 237 patients, who underwent shunt placement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8 at our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auses of the hydrocephalus were tumor, hemorrhage, infection, congenital anomaly,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trauma and others. One hundred nine revisions of CSF shunting were done during follow up periods. The causes of shunt revisions were mechanical obstruction, malposition, infection and others. The contributory factors of CSF shunt failure and shunt survival rate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shunt survival rate at 1, 2 and 3 years after procedure was 77.1%, 75.4%, 74.1% respectively. In the young age group below 10 years old, postinfectous hydrocephalus was the most common high risk factor for shunt revision. In conclusion, the most shunt failures developed in the first year after surgery and the age and causes of the hydrocephalus were major determinant factors of shunt revision.

목 적 : 뇌실 복강간 단락술 부전의 기여인자를 조사 및 분석하여 뇌실 복강간 단락술의 합병증 및 재수술의 가능성을 줄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뇌실 복강간 단락술을 시행 받은 237명의 수두증 환자를 후향적 방법으로 고찰하여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의 기여인자 및 단락기 생존율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수두증의 원인은 종양, 출혈, 감염, 선천성 기형, 정상 뇌압 수두증, 외상 등이었다. 68명의 환자에서 109회의 재수술이 이루어졌다. 재수술의 이유는 폐색, 근위부 카세타의 위치이상, 감염 등이었다. 단락기 생존율은 1년, 2년, 3년에 각각 77.1%, 75.4%, 74.1%이었다. 10세 이하의 환자에서 재수술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 그리고 수두증의 원인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재수술의 빈도 차이가 있었다. 결 론 : 대부분의 뇌실 복강간 단락 부전은 술후 1년내에 발생하였다. 환자의 나이 및 수두증의 원인이 뇌실 복 강간 단락 부전의 주요 기여인자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