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oil spill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2. 국내 해양 기름오염사고 분석 (Overview of Major Oil Spill at Sea and Details of Various Response Actions 2. Analysis of Marine Oil Pollution Incidents in Korea)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67-475
    • /
    • 2013
  • 해양 기름오염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정량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2003~2012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연간 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연간 기름 유출량을 사고 원인(Cause)별, 오염원(Source)별, 해역(Sea area)별로 분석하였다. (1) 사고 원인별로 분석한 결과, (1) 부주의로 인한 사고 건수(1,429건)와 해양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790건)가 각각 전체 건수(2,833건)의 50.4 %와 27.9 %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해가 거듭될수록 해양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부주의로 인한 사고 건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해양사고로 인한 유출량(17,400 kL)이 전체 기름 유출량(17,877 kL)의 97.3 %를 차지하였고 부주의로 인한 기름유출량(294 kL)이 1.7 %를 점유하였다. (2) 오염원별로 분석한 결과, (1) 어선에 의한 사고건수(1,210건)가 전체 건수(2,833건)의 42.7 %, 기타 선박에 의한 사고 건수(620건)가 21.9 %, 화물선에 의한 사고 건수(367건)가 13.0 %, 유조선에 의한 사고 건수(261건)가 9.2 %를 차지하였다. 해가 거듭될수록 어선에 의한 사고 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인 반면에 화물선과 기타 선박에 의한 사고 건수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조선에 의한 사고 건수는 연간 13~37건으로 해마다 크게 변동하였다. (2) 유조선의 기름 유출량(15,488 kL)이 전체 기름 유출량(17,877 kL)의 86.7 %를, 기타 선박의 기름 유출량(898 kL)이 5.0 %를, 화물선의 기름 유출량(733 kL)이 4.1 %를, 어선의 기름 유출량(590 kL)이 3.3 %를 차지하였다. (3) 해역별로 분석한 결과, (1) 남해에서의 사고 건수(1,613건)와 기름 유출량(3,804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56.9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21.3 %를, 서해에서의 사고 건수(700건)와 기름 유출량(13,501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24.7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75.5 %를, 동해에서의 사고 건수(520건)와 기름 유출량(572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18.2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3.2 %를 차지함으로써 사고 건수에서는 남해가 최고였고 기름 유출량에서는 2006년까지는 남해가 최고(1위)였으나 2007년 유조선 Hebei Spirit호 기름유출사고 이후에는 서해가 최고(1위)였으며, 동해에서의 사고 건수와 기름 유출량이 모두 남해나 서해보다 적은 값으로 나타났다. (2) 해가 거듭될수록 동해와 남해에서의 사고 건수와 기름 유출량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서해에서는 사고 건수가 연도별 증감의 변동 폭이 적어 거의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름 유출량은 연도별로 증감의 변동 폭이 컸다.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해양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유출량 (Overview of Major Oil Spill at Sea and Details of Various Response Actions -1. Number and Volume of Marine Oil Spills in Korea and in the World)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37
    • /
    • 2013
  • 해양기름오염방지를 위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국내 및 세계의 해양에서 발생한 기름유출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건수는 총계 6,608건으로 평균 약 330건/년이었고 기름유출량은 총계 57,328 kL로 평균 약 2,866 kL/년이었다. 국내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연간유출량이 1993년에 15,388 kL, 1995년에 15,773 kL, 1997년에 3,428 kL, 2007년에 13,008 kL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세계의 사고건수는,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경우, 총계 420건으로 평균 21건/년이었고, 세계의 기름유출량은 총계 약 800,000 kL(704,000톤)로 평균 약 40,000 kL(35,200톤)/년이었다.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을 초과하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사고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세계의 연간기름유출량은 1993년에 약 159,000 kL(140,000톤), 1994년에 약 147,600 kL(130,000톤), 1996년에 약 90,900 kL(80,000톤), 1997년에 약 81,800 kL(72,000톤), 2002년에 약 76,100 kL(67,000톤)로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와 세계를 비교하면, 국내적으로나 세계적으로 공히 20년간 연간사고건수와 연간기름유출량과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사고건수와 유출량이 모두 연도별로 변동 폭이 크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8년부터 세계의 사고건수와 유출량은 모두 크게 감소하였고,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 이상의 기름유출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USING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RY TO MAP OIL SPILLS IN THE EAST CHINA SEA

  • Shi, Lijian;Ivanov, Andrei Yu.;He, Mingxia;Zhao, Chaof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981-984
    • /
    • 2006
  • Oil pollution of the ocean is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especially in its coastal zones.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flown on satellites, such as ERS-2 and Envisat, has been proved to be a useful tool in oil spill monitoring due to its wide coverage, day and night, and all-weather capability. The total 120 SAR images containing oil spill over the East China S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anging in date from July 23, 2002 to November 11, 2005. After preprocessed, SAR images were segmented by adaptive threshold method. The oil spill images were incorporated into GIS after distinguished from look-like phenomena, finally we presented the oil spills distribution map for the East China Sea. The wide-swath and quick-looks SAR imagery for mapping of oil spill distribution over large marine areas were proved to be useful when full resolution data are not available. After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oil spills were analyzed, we found that most of oil spills were distributed along the main ship routes, which means the illegal discharge by ships, and the occurrence of oil spill detected on SAR images acquired during morning and summer is much higher than during evening and winter.

  • PDF

유류에 의한 해양오염 피해에 대한 선주책임 및 보상제도 (The Liabilities of Shipowners and Compensation for Marine Pollution Damage by Oil)

  • 박명섭
    • 수산경영론집
    • /
    • 제25권2호
    • /
    • pp.59-87
    • /
    • 1994
  • While overall input of oil into the sea has actually declined over the years 1975-92, major spills have regularly occurred in certain locations which have had serious effects upon local environments and hence caused public outc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scheme for maximizing the compensation for oil pollution, which can be adopted in Korea, by analysing the mandatory 1969 Civil Liability Convention(CLC), the 1971 Fund Convention and two voluntary schemes (TOVALOP andCRISTAL). The paper examines the major subjects which are as follows : major pollution incidents and international response, the present situation of oil pollution in Korea, the role of flag of convenience tankers in oil pollution, the mode of oil pollution damages and tanker owner's liability, international compensation system fer oil pollution, Korean compensation system for oil pollution damage, and its problems to be tackled.

  • PDF

해양경비안전교육원 해양오염방제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 유류오염 방제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ne Pollution Response Education Program of Korea Coast Guard Academy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s -)

  • 최현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5-375
    • /
    • 2017
  • 우리나라는 매년 250여건의 크고 작은 해양오염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허베이스피리트호와 마리타임메이지호 등과 같은 대규모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해양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 해양오염방제요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제해사기구(IMO)는 최근 유류오염사고 대응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OPRC 훈련모델과정을 개정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 우리나라 해양경비안전교육원의 해양오염방제레벨 과정과 국제해사기구(IMO) 그리고 IMO 교육훈련 모델에 따라 실제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OSRL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해양오염방제 레벨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야별로 교육커리큘럼, 실습 및 토의방법, 교육교재 및 IMO 모델 훈련과정 개정에 따라 훈련과정 개발하는 교육기관 인증에 관한 사항이 제안되었다.

HPLC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Mussels(Mytilus edulis) living in the Intertidal Zone of Kori, Korea

  • Noh, 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55-461
    • /
    • 2002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are ubiquitous contaminants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 PAHs enter estuarine and nearshore marine environment via several routes such as combustion of fossil fuels, domestic and industrial effluents and oil spills. In August of 1997, mussels(Mytilus edulis) were collected at 6 sites near Kori nuclear power plant in order to analyze the PAH content by HPLC with uv/vis detection. Unfortunately, I could not find any living oysters in which I firstly intended to measure the PAH content in the study area. NPTHL and ANCPL were the major dominant PAH compounds in mussels living in the intertidal zone of Kori, Korea, and DahA, BbF, BaP were the next dominant PAH group in mussels in the study area. The mean concentrations of 15 PAH in mussels ranged from 3.2 to 1,680 ppb(mean 105$\pm$60.5 ppb). Compared with other studies world over, the concentrations of carcinogenic PAHs were relatively low in mussels in the study area, even though total PAH content was rather high. According to N/P(Naphthalene/Phenanthrene) ratio(147) and the ratio of 2∼3 ring to 3∼5 ring PAHs(58∼90 %) in mussels in the study area, I expect that the major source of PAHs in this study area is rather fresh petroleum-derived. This study presents preliminary data for the PAH levels in mussels from the intertidal zone of Kori, and the data will hopefully be utilized for the assessment of oil pollution in the East Sea, Korea.

한국의 해양유류오염피해에 대한 법적 대응과 과제 - HEBEI SPIRIT호 유류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The Legal Response and Future Tasks regarding Oil-Spill Damage to Korea -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spill)

  • 한상운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3호
    • /
    • pp.89-120
    • /
    • 2008
  • 한국은 주된 에너지원이 석유이므로 석유의 꾸준한 소비증가와 더불어 유류의 해상운송량도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른 오염사고도 매년 300여건이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심각한 것은 사고발생건수도 동반해서 증가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폐유나 기름찌꺼기의 고의적 투기행위를 제외하면, 유류사고의 원인은 운항상의 인적 과실이나 선박의 하자로 인한 경우라는 점에서 대부분의 사고가 인재(人災)에 해당된다. 따라서 선원의 질향상 및 단일선체선박을 포함한 노후선박의 대체는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 사항이다. 이것은 단기간에 그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그 개선을 위한 장 단기적 제도적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아직도 한국의 인근해상에서 대형 유류오염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92FC의 보상한도를 초과하는 피해에 대해서는 일정 범위내에서 피해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행 특별법에 따른 피해보전은 전적으로 국민세금으로 충당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2003보충기금(supplementary fund)협약에 가입하는 것보다는 '국내 Fund'를 창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유류운송에 따른 위험도 '수익자부담의 원칙'이라는 관점에서 정유사들의 부담금을 기초로 하여 마련되는 '국내 Fund'의 창설 및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더 나아가 유류오염에 따른 대규모 생태계 파괴 등 환경피해에 대해서는 주민피해와 구별하여 환경피해복구를 위한 공적기금마련에 대해서도 논의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여하튼 대형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사후대응책은 항시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이유는 대형유류오염이 내포하고 있는 재앙의 상징성 때문이다. 대형유류오염은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인재임에도 불구하고, 그 피해는 끝을 파악하기 힘들 정도로 인간의 삶과 자연생태계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온다. 그런 점에서 대형유류오염사고에 대한 가장 최선의 대응책은 사전예방이다.

  • PDF

Analysis of Response to Major Oil Spill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 Yun Jong-Hwui;Yoon Yeong-Suk;Ko Seong-Jung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5-72
    • /
    • 2004
  • With data of historical spill from vessels occurred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author analyze the causes of spill and evaluate response technique adopted during spill. It is found that the majority of spill caused by operational failure, bad weather, violation of navigation rule and hull defect.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response measures, it is suggested that responsible agency establishes criteria for various response options and standards of tier response time and capa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spill.

  • PDF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Korea

  • Lee Ki Seok;Noh Il;Lim Cheol Soo;Chu Su Dong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1호
    • /
    • pp.57-68
    • /
    • 1998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Ms) are ubiquitous contaminants in marine environments. PAMs enter estuarine and nearshore marine environment via several routes such as combustion of fossil fuels, domestic and industrial effluents and oil spills. PAHs have been the focus of numerous studies in the world because they are potentially carcinogenic, mutagenic, and teratogenic to aquatic organisms and humans from consuming contaminated food. However, one can hardly find any available data on PAM content in marine organism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PAM content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which is located in near urban communities and an industrial complex, and the bay is considered to be a major repositories of PAHs. 16 PAH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v/vis and fluorescence detectors in oysters: they are naphthalene (NPTHL), acenaphthylene (ANCPL), acenaphthylene (ACNPN), fluorene (FLURN), phenanthrene (PHEN), anthracene (ANTHR), fluoranthene (FLRTH), pyrene (PYR), benzo(a)anthracene (BaA), chrysene (CHRY), benzo(b)fluoranthene (BbF), benzo(k)fluoranthene (BkF), benzo(a)pyrene (BaP), dibenz(a,h)anthracene(DahA), benzo(g,h,i)peryne (BghiP) and indeno(1,2,3,-cd)pyrene (I123cdP). The PAM contents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ranged from < 0.1 to 992.0 ug/kg (mean $69.8\pm9.8$ ug/kg).

  • PDF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Korea

  • Ki Seok Lee;11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7-68
    • /
    • 1993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Ms) are ubiquitous contaminants in marine environments. PAHs enter estuarine and nearshore marine environment via several routes such as combustion of fossil fuels, domestic and industrial effluents and oil spills PAHs have been the focus of numerous studies in the world because they owe potentially carcinogenic, mutagenic, and teratogenic to aquatic organisms and humans from consuming contaminated food. However, one can hardly find any available data on PAM content in marine organism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PAH content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which is located in near urban communities and an industrial complex, and the bay is considered to be a major repositories of PAHs. 16 PAH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v/vis and fluorescence detectors in oysters: they are naphthalene (NPTHL), acenaphthylene (ANCPL), acenaphthene (ACNPN), fluorene (FLURN), phenanthrene (PKEN), anthracene (ANTHR), fluoranthene (FLRTH), pyrene (PYRf), benzo(a)anthracene (BaA), chrysene (CHRY), benzo(b)- fluoranthene (BbF), benzo(k)fluoranthene (BkF), benzo(a)pyrene (BaP), dibenz(a, h)anthracene (DhA), benzo(g, h, i)peryne (Bghip) and indeno(1, 2, 3, -cd)pyrene (I123cdP). The PAH contents in oysters from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Chinhae Bay ranged from < 0.1 to 992.0 $\mu\textrm{g}$/kg (mean 69.8 $\pm$ 9.8 $\mu\textrm{g}$/kg). Key words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yster, Chinhae B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