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accident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25초

기업의 안전문화 수준변화와 재해율과의 상관관계: P사 사례연구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Enterprises and the Accident Rate: Case Study of Company P)

  • 박진홍;우흥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39
    • /
    • 2022
  • Safety has once again emerged as a social issue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s Punishment Act and the occurrence of major disasters recently. As such, the safety culture related to unsafe human behavior is drawing attention as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importance of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are currently being undertaken.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companies affect the accident rate. To this end, we targeted three workplaces in the same company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and 2,790 people were surveyed using DNV's Safety Will(ISRS-C version 4.0) for safety culture level diagnosis. The change in safety culture level and accident rat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carrying out safety culture level improvement activities for 5 years. As a result,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creased by 5.8 points, an overall improvement of 9.5%, while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decreased by 20%, from 5 to 4, indicating a general decreasing trend in accident occurrenc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affects the accident rate, and the improvement in the level of safety culture affects a reduction in acci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within a company can be associated with accident reduction and accident prevention outcomes.

도로교통사고를 유발한 원인의 설명: 운전자와 교통경찰의 관점 비교 (Attributions of traffic accid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rivers and the traffic police)

  • 한덕웅;이경성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1호
    • /
    • pp.41-59
    • /
    • 2002
  • 승용차를 운전하는 사람들과 교통사고를 처리하는 전문 경찰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운전자 행동들과 환경요인들을 알아내고자 조사를 실시했다. 자가용 승용차 운전자들 가운데 운전 도중 교통사고를 경험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경험한 교통사고를 구체적으로 하나 선택해서 그 사고에 관해서 응답하도록 했다. 교통사고 경험이 없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가까운 친척, 친지, 혹은 친구가 운전자로서 경험한 교통사고를 구체적으로 하나 생각해서 귀인하도록 했다. 조사 결과,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운전자와 관련된 요인들로 설명되었다. 전체 조사 대상이 공통적으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데 가장 많이 기여했다고 지적한 원인은 운전한 당사자의 주의/경계 소홀이었으며, 그 다음이 운전에 필요한 능력, 기술, 및 경험의 부족이었다. 교통사고 경험자들과 교통사고 처리 경찰의 귀인 차이를 살펴보면, 교통사고 경험자들은 위급상황에 대처하는 능력 부족, 방어운전 기술 부족 등 상대 운전자의 운전 행동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행동과 관련된 요인을 교통사고의 중요한 유발요인으로 지적했다. 반면에 교통사고 처리 경찰들은 안전수칙의 무시, 중앙선 침범, 과속운전, 끼어들기 운행 등 의도적 위반행동을 많이 지적했다.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PDF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주중과 주말의 고속도로 사고심각도 비교분석 (Analysis on Comparison of Highway Accident Severity between Weekday and Weeken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배윤경;안선영;정진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483-2491
    • /
    • 2013
  •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교통사고를 예측하는 모형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교통사고 감소와 사고 사망자 감소에 대한 문제는 선진국과 후진국 모두 중요한 문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매해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정책 및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주 5일제 시행과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주중과 주말의 통행패턴은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교통사고의 특성도 마찬가지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중과 주말의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요인이 다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5년 동안의 사고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의 추정결과 주중 사고 심각도 모형은 도로 요인이 사고 심각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말 사고 심각도 모형은 운전자 요인이 사고 심각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중과 주말 사고의 원인 차이를 나타냈다.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atistical Analysis of Chemical Substance Transporting Accidents)

  • 이태형;이상재;신창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23-30
    • /
    • 2016
  • 본 연구는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를 대상으로 각 연도별 사고현황, 사고유형, 사고원인 등의 화학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7건의 운송 화학사고 중 74건이 유 누출 유형에 의한 사고였으며, 사고 원인으로는 41건이 교통사고에 의한 화학사고였다. 또한, 사고다발 화학물질 조사에서는 46건의 사고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사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유 누출과 화학물질의 운송 교통사고에 의한 화학사고에 대한 예방책의 보완이 필요하며, 운송 화학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방재가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국가적이고 체계적인 화학물질 운송안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화학물질 운송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항공사고조사를 위한 항공사고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프로토 타입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Data Management Prototype System for Aviation Accident and Incident Investigation)

  • 김도현;홍승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98-204
    • /
    • 2018
  • 본 논문에서 국내 항공사고조사를 위한 통합 데이터 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제안한다. 최근 항공사고 조사 장비의 발전에 따라 사고조사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jpg, avi, 및 wav 파일 자료들을 수집 및 관리해야한다. 하지만 ECCAIRS 시스템의 경우 항공사고 조사 시 발생하는 다양한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며, 국내 항공사고 관리시스템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외 주요 국가의 항공사고보고서 시스템을 분석하고 국내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을 통하여 기존 자료와 최근 조사한 자료를 입력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완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고령자의 운전패턴 인식을 통한 운전면허증 갱신 및 반납 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ver's License Renewal and Return Polic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s Driving Pattern)

  • 조면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율 감소를 위하여 고령자의 운전패턴 인식을 통해 교통사고위험지수를 도출하고 그에 따라 운전면허증의 갱신 및 반납 정책에 반영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고령운전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주요요인을 도출하여 교통사고 위험지수를 정의한다. 둘째, 자동차에 부착된 카메라, 거리센서와 스마트폰을 통하여 고령자의 운전패턴으로부터 교통사고 위험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3개의 문턱 값을 도출하여 측정된 교통사고 위험지수로부터 사고위험도를 4단계로 판별하고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장하기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 고령운전자의 운전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운전면허 갱신주기의 재설정 및 자진 반납을 유도함으로써,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전면허증 관리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 가능할 것이라 믿는다.

거푸집 붕괴사고 주요 요인별 중요도 분석 (Importance Analysis of Major Factors in Formwork Collapse Accident)

  • 박지영;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9-256
    • /
    • 2021
  • 건축공사 재해 중 거푸집공사 비중이 매우 크다. 거푸집 공사 재해 예방을 위해 관련 연구가 장기간 걸쳐 진행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해가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거푸집 붕괴사고 요인별 중요도 분석을 하고 관리할 우선 요소를 정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시공요인, 관리요인, 설계요인 순으로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공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면 거푸집 붕괴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emical Analysis of Transplanted Aquatic Mosses and Aquatic Environment during a Fish Kill on the Chungnang River, Seoul, Korea

  • Lee, Joohyoung;Green, Perry-Johnson;Lee, Eun-J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3호
    • /
    • pp.215-219
    • /
    • 2002
  • In mid-April, 2000, hundreds of thousands of fish floated dead on the Chungnang River, one of the small branches of the Han River in Seoul. We examined the causes of the accident in detail, through analysis of monitorinq data from the Han River Monitoring Project, which employed the transplanted aquatic moss, Fontinalis antipyretica. This allowed investigation of another possible cause of the fish kill: release of trace metals into the river from industrial sources during the rainfall event. In addition, we aim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aquatic mosses as bioindicators of the event. Water samples collected 48 h after the fish kill exhibited low pH and high Total-N and Total-p, indicating that acidic compounds rich in nitrogen and phosphorus might be a major contaminant. BOD and COD were also very high. On the whole, the conditions of the river water were degraded at that time. Distinct trends were not observed in the chlorophyll phaeophy-tinization quotient and photosynthesis rate of transplanted mosses. How-ever mosses sampled soon after the accident exhibited the lowest values for those variables (P < 0.01), suggesting that stress factors in the river were diluted out over time. Heavy metals with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effluents (Cr, Pb, Zn, Fe, Cu, and Cd) increased (p < 0.01), indicating that they were unlikely to be major causes of the accident.

국외 NaTech 사례연구를 통한 재난관리 방안 고찰 (Discussions on the Disaster Management for NaTech based on the Foreign Case Studies)

  • 유병태;백종배;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117
    • /
    • 2016
  • Natural disasters can cause major accidents in chemical facilities where they can lead to the release of hazardous materials which in turn can result in fires, explosions or toxic dispersion. Technological disasters triggered by natural disasters are referred to as NaTech(Natural Disaster Triggered Technological Disaster). These trend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atastrophic future disasters and the potential for mass human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released during disasters.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d some method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by conducting case study of major NaTech. First, establish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hemical accident for stakeholders and improving disaster manuals and standard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Second, activating information service of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 to know. Third, improving the integrated chemical accident database including NaTech accidents.

Considerations of the Optimized Protective Action Distance to Meet the Korean Protective Action Guides Following Maximum Hypothesis Accidents of Major KAERI Nuclear Facilities

  • Goanyup Lee;Hyun Ki Kim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8권1호
    • /
    • pp.52-57
    • /
    • 2023
  • Backgroun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operates several nuclear research facilities licensed by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The emergency preparedness requirements, GSR Part 7, by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request protection strategy based on the hazard assessment that is not applie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In developing the protection strateg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n accident scenario and its consequence. KAERI has tried the hazard assessment based on a hypothesis accident scenario for the major nuclear facilities. During the assessment, the safety analysis report of the related facilities was reviewed, the simulation using MELCOR, MACCS2 code was implemented based on a considered accident scenario of each facility, and the international guidance was consider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optimized protective actions were 300 m evacuation and 800 m sheltering for the High-Flux Advanced Neutron Application Reactor (HANARO), the evacuation to radius 50 m, the sheltering 400 m for post-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 (PIEF), 100 m evacuation or sheltering for HANARO fuel fabrication plant (HFFP) faci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optimized protective actions and its distances for the KAERI facilities for the maximum postulated accidents wer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emergency plan and procedures and implementing an emergency exercise for the KAERI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