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Subject

검색결과 1,660건 처리시간 0.031초

이영희의 의상작품에 응용된 한복의 요소 (Design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pplied in the Works of Lee Young-Hee)

  • 김혜경;홍정화;조현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9
    • /
    • 2001
  • The fashion designers in Korea can achieve the winning position in the competitive international market of fashion industry by adapting our own traditional beauty to the modem fashion design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styl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works of the active Korean fashion designer, Lee Young-Hee, focusing on the subject how she incorporated the modem fashion with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se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costume used in the designer's works found from the major fashion magazines, FASHION TODAY, WWD, ELLE, BAZAAR, Marie Claire, Areumdown-Uri-Ot, The Beauty of Korea and FASHION SHOW from 1993 to 1999. The collected research data, 95 works, was coun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borrowed from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tems and their application techniques. Othe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such as color, fabric and pattern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ee Young-Hee has adapted many different kinds of major Korean clothing items including 'chima', 'paji', 'po', and 'chogori'. Also it was apparent to note th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tems were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her fashion design works expressing the beauty of oriental grace, naturalism, sophistication, and above all, the modem sense.

  • PDF

임산(臨産) 이경맥(離經脈)에 대한 연구 - 맥리(脈理)와 임상활용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Imminent Labor Pulse - A Focus on Pulse Theory and Clinical Practicality -)

  • 류정아;백상룡;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150
    • /
    • 2013
  • Subject : The Imminent Labor Pulse(臨産 離經脈, extra-meridian pulse approaching labor) is one of many practical clinical knowledges, unique to Traditional Korean(Eastern) Medicine. Objective : This research explores the origin and change of perception on the subject throughout history, with objective to sort out practical knowledge applicable in the clinic of today. Also, it draws clinical meaning of pulse diagnosis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theorie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clinical researches. Method : First, the Imminent Labor Pulse was examined based on major publications such as the "Nanjing", "Maijing" and theories of major doctors. Second, this previous study was examined through clinical observation research. Third, further research was carried out on pulse theor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dical theories. Fourth, their clinical practicality and points of further research were sorted out. These points need to be examined through additional clinical research. Conclusion :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study of the Imminent Labor Pulse. From the Imminent Labor Pulse which indicated the beginning of the first period of labor in the "Maijing", it developed into trying to grasp the beginning of the second period of labor which is the actual time of labor, through "Zhubingyuanhoulun" and "Shizaizhifang". By Xueji, another pulse that could be felt on the middle finger of the mother had been discovered. The middle finger is where the Pericardium Meridian flows. The child's connection to the uterus becomes disconnected on the first period, but that with the Pericardium meridian which provides blood meridian to the Taichongmai of the child continues throughout labor until the umbilicus chord is cut. Therefore, this middle finger pulse could serve as showing the heart condition of the mother and child during labor. The time of it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child's heartbeat need to be clinically examined.

치과 기공사의 이직에 관한 실태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with Regard to the Separation of Dental Technicians)

  • 민병국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1
    • /
    • 1990
  •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nd study on 92 Dental Technicians who had had some experience of working or being employed at dental craft-shops or craft-rooms in Seoul area and had transferred to other types of occupation, with regard to their reasons for changing their profession. For an approach to the study, som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including 3 aspects of in quiriesmental,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s-were administered, an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ages in which transferring to other kinds of job happened occurred mostly from 20 to 30(78.26%) an a group of subjects whose ages ranged from 20 to 30 years old. And, with regard to their experience of working or being employed at dental craft-shops or craftrooms, the transfer of their profession to the other kinds mosty happened in a group of subjects(94.56%) whose experience of working in the dental field is less than 4 years. 2. The reason of transfer with reference to the mental background was mostly mattered in a group that expressed "Excessive Work Duties"(34.78%), and most lowly mattered in a group of subjets who had "Certain Relations with Dentists"(8.70%). Thus, it appeared that the biggest reason of transfer by the mental background was, due to the excessive duty work, not to have Sufficient time to be usualized by dental technicians for their own purpose. 3. With reference to the economical background, a group that declared there was "No Wage Standards in Ratio to Their Labor" was the most in the separation rate as shown 45.56%. And, a group suspecting "No Guarantee for Their Living after Retirement" Showed a separation rate, 9.78%. In other words, the reason for transfer was that they did not receive due wage according to their amount of labor. 4. With reference to the social background, a group making a subject for no good working environments or conditions had a separation rate, 41.30%, which was the most among others, and a group with a subject of "The Rarity of Employment because of Excessive Supply of Dental Technicians" had the rate, 10.87%, which was the lowest. This meant that the major cause of transfer by the social background was a phenomenon for dental technicans to escape from unclean working places.

  • PDF

대학교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 I, 화학 II 교과의 연계성 및 일반화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II, and the General Chemistry, and Colleg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Subject)

  • 문숙희;이상좌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12-123
    • /
    • 2011
  • 화학은 단계별로 개념이 연계 발전되는 학문 체계를 가지므로 고등학교의 화학 I II의 교육 내용은 대학 일반화학과 연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은 심화 선택 최상위 과목인 화학II를 배우지 않고도 이공계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이 일반화학을 수강하면서 얼마나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교재의 내용 연계성 및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화학I에서는 일반화학 필수 개념의 약 27%밖에 소개하고 있지 않지만, 화학II에서는 약 62%의 내용이 일반화학과 연계되었다. 전남 M대학의 학생들 중 화학II를 배우지 않은 약 70%의 학생들은 일반화학을 배울 때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했고, 학업성취도도 상대적으로 낮았을 뿐 아니라, 화학에 대해 흥미도도 낮게 조사되었다.

교육과목에 나타난 시각디자인 교육의 변화 (A Study of Changes o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in Major Subjects)

  • 전성복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9-118
    • /
    • 1999
  • 우리나라에 대학교육이 시작되고 지금의 발전된 대학들의 모습이 있기까지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디자인 교육도 해방직전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 속에 다양한 전공들이 생겨났다. '도안과'라는 전공으로 시작되어 지금은 컴퓨터 정보화 시대를 반영이라도 하듯 멀티미디어디자인 전공까지 탄생하기에 이르는 맡은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고과과정도 개정을 거듭하게 되었고 그 속의 교육과목 또한 그 시대를 반영하면서 변화 되어왔다. 시각디자인 전공도 그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시각디자인 전공은 시각에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매체의 수용을 해야하는 전공의 특성상 컴퓨터라는 새로운 매체를 어떻게 수용하여 가르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기존의 교육과목과 컴퓨터그래픽디자인 교육과목을 적절히 수용하여 활용하는 대학교육이 하루 빨리 정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PDF

우리나라 보건지소 조직, 기능 및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Function and Management of Health Subcenters in Korea)

  • 정영일;강성홍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7-89
    • /
    • 1992
  • This study is aimed both to reorient the Health net-works focused to Health Subcenters in times of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 Korea and to collect the fundamental data such as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 The materials are collected from 134 out of 258 sampling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s with a questionaire by mailing(respond rate 51.9%). The major findings of this fundamental data are as follows. 1. Current average number of outpatients cared by a director of Health Subcenter is found to be 21.6. 2. The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 have little deducted hours for Public Health Programme. 3. Number of the Preventive Health Programme worked by a director of Health Subcenter is from 0 to 3. The most major group worked only 1 programme marked at 69.4%. 4. The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 express approval opinin marked at 80.2% that their qualification to appoint has to finish intern course. 5. The average diagnosis allowance a month is approximately twenty hundred thousand won. 6. Most of Health Subcenter(market at 94%) adopted a self-supporting account system. 7. The most complaining subject of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 is their working environment. The second complaining subject is governmental officier's interference. 8. The average number of outpatients cared by a director of Health Subcenter is found to be certain differentials by their marriage and the duration of employment. Some proposals of development on Health Subcent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1. The reorganization on Health Subcenter under line of National Health Center Net-work 2. The psychological reorientation of directors of Health Sucenter and officers. 3. Autonomy management of Health Subcenter. 4. Reorientation of status on directors of Health Subcenter.

  • PDF

SW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선 요구 분석 (Needs of Improving the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Strengthening SW Education)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19
  •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에서 SW교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학생 1,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W교육 시간을 늘리고, SW교육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양 과정에서의 SW를 활용한 교수법과 교재를 개발하고, 그것을 위한 시수가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전공 과정에서는 교과 내용학 보다는 교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 내용이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심화 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일 수 있도록 엔트리 등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심화과정에서의 필수 과목을 줄이고 선택과목을 늘림으로써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A Case Stud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oftware Subjects for Humanities College Students

  • Seo, Joo-Young;Shin, Seung-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67-277
    • /
    • 2022
  • 최근 대학에선 '컴퓨팅사고'를 포함해 '프로그래밍, 데이터분석 및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SW 기초교육의 주제가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SW 기초과목의 다양화는 단순히 배우는 내용이 다름이 아닌 과목별 교육 목표 및 교육 효과의 차별화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A 대학 인문대학생을 위해 운영 중인 '컴퓨팅사고'와 '데이터분석기초'의 두 SW 기초과목의 교육 목표에 따른 교육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사례연구이다. 두 과목 모두 '컴퓨팅사고 기반 SW 융복합 역량 배양'이란 공통 교육 목표에 따라 '컴퓨팅사고 효능감' 지표들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기초교육이 목표인 '컴퓨팅사고'는 주로 '일상 문제' 해결에, 전공심화교육이 목표인 '데이터분석기초'는 '일상 문제' 와 함께 '전공 문제'의 해결 방법에도 자신감이 상승하는 교육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가자의 특성과 교육효과 (Participant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ffects for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Training Courses)

  • 강대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35-82
    • /
    • 2014
  •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50대와 40대의 대졸수준의 도시출신으로 농업분야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다수로서, 월 200-300만원미만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주로 남성이 농사지식, 개인적능력개발, 담당업무처리능력 개발 목적으로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이버교육이나 농업에 대한 선행학습경험이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고, 학습양식은 구체적-순차적형, 두 가지 이상 복합형이 많았다. 사이버 농업기술교육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나 학업성취는 우수하고, 내용구성이나 현업적응도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이며, 운영지원과 영향력, 학습과정은 보통수준이었다. 한과목이하 이수집단보다 두과목이상 이수집단이 영향력 평가가 긍정적이었고, 수료증과정과 공개과정 모두를 이수한 집단이 공개과정만 이수한 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과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인력의 확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공간 제공, 교육생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 system 도입,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와 사전 제시, 흥미유발과 지원을 도울 사이버 튜터 및 인터넷 전화 활용을 제안하였다.

광주·전남지역 경호학과 대학생의 심폐소생술(CPR) 교육평가 (Education Evaluation of Basic CPR on Guard Major Collegian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 장철원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66-272
    • /
    • 2011
  • 광주 전남지역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Skill Reporter Mannequin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전과 교육후의 심폐소생술 술기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94명(78.3%)과 26명(21.7%)이었고 학년별로는 1학년 66명(55.0%), 2학년이 54명(45.0%)이었다. 심폐소생술 교육전 인공호흡의 술기는 $26.04{\pm}9.26$에서 교육후 $91.25{\pm}6.68$로 높아져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전 흉부압박의 술기는 $24.33{\pm}8.55$이었으나 교육후 $91.50{\pm}5.25$로 높아져(p<0.01) 심폐소생술 교육은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술기에 많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는 $4.33{\pm}0.59$, 여학생은 $3.73{\pm}0.67$의 수치를 보여 남학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학 경호학과의 교육과정에 심폐소생술 내용을 추가하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따르는 교육 공간 및 실습기자재의 확보 등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