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Evaluation of Basic CPR on Guard Major Collegian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광주·전남지역 경호학과 대학생의 심폐소생술(CPR) 교육평가

  • Received : 2011.10.15
  • Accepted : 2011.10.3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guard major collegians who are composed of factor in medical emergency system. In the case of cardiac failure, it is to make its basic data develop its education program of CPR which can increase the patient's survival rate before his hospitalization. The subject of study is composed of 120 persons who are 94 boy-collegians(78.3%) and 26 girl-collegians(21.7%) in sex and 66 first-grade collegians(55.0%) and 54 second-grade collegians(45.0%) in a school yea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es of artificial respiration and the thorax pressure after the education of basic CPR in sex(p<0.01). The practices of artificial respiration in boy-collegians($93.72{\pm}4.21$) is higher than in girl-collegians($82.31{\pm}6.36$) and the practices of thorax pressure in boy-collegians($92.45{\pm}4.44$) is higher than in girl-collegians($88.08{\pm}6.49$). The satisfaction degree of boy-collegians($4.33{\pm}0.59$) is higher than that of girl-collegians($3.73{\pm}0.67$) after theory & practice education of basic CPR(p<0.01).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and educate its knowledge & technology in proportion to collegians characteristics of sex and school year. Also,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develop a subject of the accident provided the practical education of CPR for guard major collegians.

광주 전남지역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Skill Reporter Mannequin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전과 교육후의 심폐소생술 술기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94명(78.3%)과 26명(21.7%)이었고 학년별로는 1학년 66명(55.0%), 2학년이 54명(45.0%)이었다. 심폐소생술 교육전 인공호흡의 술기는 $26.04{\pm}9.26$에서 교육후 $91.25{\pm}6.68$로 높아져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전 흉부압박의 술기는 $24.33{\pm}8.55$이었으나 교육후 $91.50{\pm}5.25$로 높아져(p<0.01) 심폐소생술 교육은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술기에 많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는 $4.33{\pm}0.59$, 여학생은 $3.73{\pm}0.67$의 수치를 보여 남학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학 경호학과의 교육과정에 심폐소생술 내용을 추가하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따르는 교육 공간 및 실습기자재의 확보 등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0). Guideline 2005 for CPR and ECG.
  2. Eisenburger, P., Safar, P. (1999). "Life supporting first aid training of the public-review and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Vol.41, pp.3-18. https://doi.org/10.1016/S0300-9572(99)00034-9
  3. Holmberg, M , Holmberg, S., Herlitz, J. (2000).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Vol.47, pp.59-70. https://doi.org/10.1016/S0300-9572(00)00199-4
  4. Steen, S., Liao, Q., Pierre, L., Paskevicius, A., Sjoberg, T. (2003). "The critical importance of minimal delay between chest compressions and subsequent defibrillation: a haemodynamic explanation." Resuscitation, Vol.58, pp.249-258. https://doi.org/10.1016/S0300-9572(03)00265-X
  5. 강경희, 양혁준, 이근, 윤성태, 임준, 임정수, 염석란 (2006).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참가자와 비참가자의 특성 비교 및 교육 참가 예측인자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17, No.6, pp.539-544.
  6. 권용선 (2005).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7. 김경미 (2007).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실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8. 김두현 (2004). 경호학개론. 백산출판사, 서울.
  9. 김율 (2006). "중학교 재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평가,"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Vol. 10, No.1, pp.71-77.
  10. 김희정 (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1. 박대성, 윤영현, 김정술 (2008).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치위생과학회지, Vol.8, No.4, pp.381-386.
  12. 박찬우, 조준휘, 옥택근, 김윤성, 최기훈, 서정열, 안휘철, 안무업, 조병렬, 김용훈, 박정현 (2006).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적절성 및 효과,"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17, No.1, pp.1-7.
  13. 보건복지부 (2011). http://www.mw.go.kr
  14. 송은영 (2004). 서울시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15. 오석남, 신태건, 홍종근, 심민섭, 송근정 (2010).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동반자에 대한 면담 설문을 통한 심폐소생물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응급의학회지, Vol.21, No.5, pp.554-560.
  16. 이문희 (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7. 이정순 (2006). 병원 간호사의 심폐소생술과 재세동기 현황조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 최혜정, 전수경, 유은미 (2011).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과 태도," 한국치위생학회지, Vol. 11, No.2, pp.223-232.
  19. 한정석, 고일선, 강규숙, 문성미, 김선희 (1999). "간호학생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Vol. 6, No.2, pp.493-506.
  20. 홍기훈, 민석기, 정구영 (2010). "목격자 심폐소생술 후에 발생한 위파열 일례,"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1, No.4, pp.504-506.
  21. 황성오, 임경수 (2001).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구조술. 군자출판사,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