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Field

검색결과 4,490건 처리시간 0.03초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의 체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in the Granduate School of Education)

  • 강환국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8권1호
    • /
    • pp.122-137
    • /
    • 1995
  • The Environmental Education(E.E.) is very important fiel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the first important problem of E.E. in school is no special teacher.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stem of E.E.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 The aims of E.E. major are training of E.E. teacher and developing research of E.E. 2. The curriculum of E.E. major is consisted of E.E. theory and E.E. content. 3. The student of E.E. major is admited a university graduate of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 4. The professor of E.E. major is organized a specialist of E.E.

  • PDF

미래를 향하는 한국 마이크로 패키징 학회지의 과거와 현재 연구영역에 관한 연구 (Past and Present Research Topics within the Korean Micoelectronics and Packaging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이현정;손일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17
    • /
    • 2015
  • After its inception in 1994, the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has continued to make significant strides in the number and quality of publications within its field. The interest in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research has become more critical as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continue its increasing trend towards thinner and lighter devices that tests the boundaries of electronic devices. This study utilizes social network analysis of all published literature in the Journal for the past 22 years. Using the keywords and abstracts available within each individual article, the publications within the Journal has focused on major topics covering (1) flip chip, (2) reliability, (3) Cu, (4) IMC (intermetallic compounds), and (5) thin film. Using the social network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within articles, flip chip was closely associated with reliability, BGA (ball grid array), contact resistance, electromigration in many of the published research works within the Journal. From the centra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flip chip, reliability, Cu, thin film, IMC, and RF (radio frequency) to have a high degree of centrality suggesting these key areas of research have relatively high connectivity with other research topics within the Journal and is central to many of the research fields within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area. The cohesiveness analysis showed research clustering of five major cohesive sub-groups and was mapped to better understand the major area of research within this field.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converges many disciplin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continued evolution within this field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rapidly changing industry environment and the consumer needs.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4년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 홍성애;이진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1399-1408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courses and to activate the fashion business. A total of 82 different departments related to fashion and apparel were selected from four-year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curricula recently posted on their internet websit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ore than half (53.7%) of the 82 departments were offering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for 3 credits and 4 class hours. College affiliation of the departments that offered curricula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was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the arts (34), human ecology (22), natural sciences (14), humanities/culture (9), and others (3). Human ecology category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average class hours (3.9),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7.6), and the percentage of the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out of all major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department (19.9%). All 82 department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of: fashion design (32), clothing (28), and fashion business (22). The clothing category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average credits (2.8), class hours (3.8), the number of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7.6), and the percentage of the classes that offer clothing construction education out of all major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department (19.9%).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construction area wer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categories of: basic theory and sewing, clothing construction, flat pattern, draping, tailoring and advanced clothing construction, pattern CAD, sewing science and apparel manufacturing process, and clothing construction for special needs. Among these categories, the draping category constituted 21.7% as the largest par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classes offered by 4 academic years were analyzed into 8 different categories.

외국대학과 연계한 글로벌 현장실습의 모형에 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Global Field Placement Model co-working with Local Partner University: Based on Kumoh Institute of Technology Case Study)

  • 이석문;정연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9-136
    • /
    • 2016
  • 국내 현장실습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글로벌 현장실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와 대학의 참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학생의 글로벌 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선진기업의 발달된 기술과 경험뿐만 아니라 글로벌 역량을 필요로 하는 산업 수요에 적합한 외국어 능력과 글로벌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마인드 및 전공 실무능력 배양, 궁극적으로 해외 취업까지 연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글로벌 현장실습을 위해서는 학생의 전공과 관련 있는 기업체 발굴 및 현장실습 커리큘럼 개발, 학생의 안전을 포함한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대학의 자원은 매우 제한적인 부분만 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파트너대학과 연계한 현장실습 프로세스 개발 진행으로 글로벌 현장실습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금오공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KODISA Academic Journal Strategy: Synopsis in 2016 and Vistas of the Future

  • Hwang, Hee-Joong;Youn, Myoung-Kil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5-11
    • /
    • 2016
  • Purpose - The Education Ministry has plans to select top 10 percent academic journals among the domestic registration journals in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designate them as outstanding academic journals. To reflect this trend, KODISA has set its sights on paper publication rate and citation index with pushing forward globalism. First, this study will arrange the process of globalism and the current state of paper submission,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academic journals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fiel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KODISA has preceeded in examining and publishing research papers related to distribution field through indirectly or stimulating academic advancement. KODISA covers the whole fields in social science as well a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that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field not limiting only within the range of distribution field. That is, the new subject that contributes to the progress in distribution field with original research can be a priority criteria in KODISA journal publication. Results - The major fields in papers published in KODISA can be categorized broadly as distribution field with economic and business administration point of view. Therefore, the distribution field with economic point of view includes the issues such as regulations, system, industry, market environment, distribution system, trade, and macroeconomics, etc. The business administration point of view in distribution includes distribution strategy, distribution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channe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firm, etc. Conclusions - The aim of KODISA in 2020 is to be a global academic journal as SCI level of each journal in KODISA, JDS(Registration journal), IJIDB(Registration candidate), EAJBM(Registration candidate), JAFEB(Cabell's Registration journal). The KODISA journals have already settled as the largest academic society and journals of Korea in 2016 currently fro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a by the most gross in publication circulation, volumes, and types. Hereafter, KODISA will focus on the improvement for the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Impact Factor and Centrality index as qualitative growth as well as quantitative expansion. By doing so, KODISA will be a forum for developmental academic debate with attracting the world's greatest scholars' papers. Furthermore, they will be recognized journals and grow as the first-rate academic journal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고속 전력선통신의 현장성능 분석 (Field Testing of High-Speed Power Line Communications)

  • 김상조;이병구;김근영;김석호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227-230
    • /
    • 2009
  •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field testing of high-speed power line in-home networking in Korea are reported. When multiple networks share a common channel, they can interfere destructively and reduce system capacity. This is major problem in-home power line communications, especially in MDU deployments. The effects of neighboring network interference in power line communications are reported.

  • PDF

특허정보 기반의 바이오 기술개발 트렌드 분석 및 유망기술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Based Biotechnology Research Trend and Promising Research Themes)

  • 감주식;김무웅;현병환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2호
    • /
    • pp.25-56
    • /
    • 2013
  •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국가들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한 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성장동력산업을 지정하여 효과적인 투자 및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주요 신성장동력으로는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으며, 점차 치열한 경쟁구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국가별로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향후 파급효과를 나타낼 미래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연구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분야 도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허를 통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위해 IPC 코드에 기반한 기술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분야의 국내외 특허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 기술개발 트렌드를 파악하고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미국과 우리나라의 특허등고선을 비교분석하여 바이오분야의 전반적 기술개발 분야를 도출한 후,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술분야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기술 동향 파악으로 바이오 유망기술분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심선주;백하영;엄정선;정하얀;지혜미;황시내;한지혜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30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밝히고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치위생(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실습병원의 특성 4문항, 전공만족도는 7문항, 병원특성 및 전공만족도는 12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 여부는 학과 내 교수님들과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선후배 간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교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실습병원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현장 임상실습의 주 당 실습시간이 적절했다고 대답할수록, 실습생들과 직원들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현장임상실습의 총 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전공과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학과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과목 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학)과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현장임상실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전공교과목 편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토로이드형 분말코어의 Major B-H Loop 측정 (Major B-H Loop Measurement of Toroidal Shape Magnetic Powder Core)

  • 손대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6-80
    • /
    • 2014
  • 토로이드 형태의 자성분말합금 코어의 경우 major B-H loop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십 kA/m 이상의 높은 자화력을 인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측정과정에서 일차코일에 권선된 에나멜 동선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측정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토로이드 형태의 자성분말합금 코어 major B-H loop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수십 kA/m 이상의 자화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최대 전류가 $100A_P$인 전력 증폭기와 측정 시간 중에 높은 전류에 의하여 코일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자기 이력 곡선을 측정 할 수 있게 실시간으로 B-H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자속밀도 B 와 자화력 H 값을 계산하고, 이 값들로 부터 주요 자기 특성인 최대자속밀도 $B_{max}$, 최대 자화력 $H_{max}$, 보자력 $H_c$, 잔류자속밀도 $B_r$ 및 형상인자(FF)를 계산하여 가상계측기(VI)창으로 표시 할 수 있게 하였다. 제작된 장치를 이용하여 외경이 134 mm, 내경이 77 mm, 높이가 42 mm인 자성분말코어에 일차 코일을 직경이 1 mm인 에나멜 동선을 401회 권선하고 이차 코일을 직경이 0.2 mm인 에나멜 동선 5회 권선하여 측정을 하여 본 결과 최대 인가 자기장을 50 kA/m까지 인가하면서 자기이력곡선을 측정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