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ha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한성시대(漢城時代)의 백제(百濟)와 마한(馬韓) (Hanseong Period of Baekje and Mahan)

  • 최몽룡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5-38
    • /
    • 2003
  • The history of Baekje Kingdom, one of the Three kingdom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the change of sociopolitical center, including its capital as follows: Hanseong Period (18 BC ~ AD 475), Ungjin Period (AD 475~538), and Sabi Period (AD 538~660). Though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covers more than two thirds of the whole history of Baekje Kingdom (493 years), history and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Hanseong Period is still unclear and even ambiguous comparing to the Ungjin and Sabi periods. Most of all, it is because of quite limited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available. In addition, negative attitude of the Korean academic circles to the early records of Samguksaki(三國史記) has been a critical obstacle to the study of early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Author, who has attempted to combine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in order to reconstruct the history and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early Baekje, specifically the Hanseong Period, has held positive attitude to the early records of the Samguksaki as far as possible. He(Author) came to realize tha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ahan (馬韓) society, one of the Three Han (三韓) Society was more than essential in the study of Baekj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Mahan Society represented by Mojiguk(目支國) ruled by King Jin(辰王) has been located in the middle and/or south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3rd~2nd century BC through the end of the 5th century or early 6th century AD. Mahan already occupied central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Han River Valley when King Onjo(溫祖王) first set up the capital of Baekje Kingdom at Wiryeseong (慰 禮城) considered to be modern Jungrang~Songpa-gu area of Han River Valley. From the beginning of the Baekje history, there had been quite close interrelationships between Baekje and Mahan, and the interrelationships had lasted for around 500 years.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attempt to understand and study Hanseong period of Baekje, without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identity of Mahan. According to the Samguksaki, Baekje moved its capital three times during the Hanseong Period (18 BC ~ AD 475) within the Han River Valley as follows: Wiryeseong at Jungrang-gu area of the Han River (河北慰禮城, 18 ~ 5 BC), Wiryeseong at Songpa-gu area of the Han River(河南慰禮城, 5 BC ~ AD 371), Hansan at Iseongsan fortress site(Historical site No. 422, 漢山, AD 371~391), and Hanseong at Chungung-dong of Hanam city(漢城, AD 391~475). Before 1990s, archaeological data of the Hanseong Period was quite limited, and archaeological culture of Mahan was not well defined. Only a few burial and fortress sites were reported to be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early Baekje, and a few settlement and jar burial sites were assumed to be those of Mahan without clear definition of the Mahan Culture. Since 1990s, fortunately, a number of new archaeological sites of Hanseong Baekje and Mahan have been reported and investigated. Thanks to the new discoveries, there has been significant progress in the study of early Baekje and Mahan. In particular, a number of excavations of Pungnap-dong Fortress site(Historical site NO. 11, 1996~2003), considered to be the Wiryeseong at south of the Han River, the second capital of the Hanseong Baekje, provided critical archaeological evidence in the study of Hanseong Period of Baekje. Since the end of the 1990s, a number of sites have been reported i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as well. From these sites,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representing distinctive cultural tradition of Mahan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unstamped fortresses, pit houses cut into the rock, houses with lifted floor(掘立柱 건물), and potteries decorated with toothed wheel and bird's footprint designs. These cultural traditions reflected in the archaeological remains played a critical role to define and understand archaeological identity of the Mahan society. Moreover, archaeological data from these new sites report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r made it possible to postulate a hypothesis that the history of Maha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the change of its sociopolitical center in relation with the Baekje Kingdom's political Situation as follows: Cheonan (天安) Period, Iksan(益山) Period, and Naju(羅州) Period. The change of Mahan's sociopolitical cen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expansion of the Hanseong Baekje.

역사문화제와 역사축제의 통합 및 발전 방안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history festival history.)

  • 손정관;안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09-316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 지역의 고대 마한역사문화제에 대한 축제를 독자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것을 통합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보는 데 있다. 또한 마한의 역사, 문화를 통해 관광객 유치와 홍보를 통해 집중적인 마한문화를 알리는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독자적으로 열리고 있는 문화제 및 축제를 보다 효율적이고 집중될 수 있는 총합적 방향성과 향후 발전 방안에 도움이 되고 상호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는 발전 제시와 심층 분석을 통해 미래적인 고대 역사문화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마한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주민 및 전문가들의 실증분석을 통해 차후 통합된 마한문화를 관광지를 발전시키고 관광객 유치를 위해 연구를 통해 현황과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트럼프 시대 미국 해군력 현황과 전망 (US Navy'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in Trump's Era)

  • 이춘근
    • Strategy21
    • /
    • 통권41호
    • /
    • pp.5-29
    • /
    • 2017
  • The Mahan's seapower theory has been the basis of US Navy to date as it can enjoy the supremacy status in all of the seas of the world. His theory is very straightforward. A nation can be a great country in the world just through the use of maritime commerce that could be protected by a strong and powerful navy. Mahan's theory on seapower was substantiated in the Spanish-American War with respect to how important the naval power is. The best thing to make US a great nation was to make sure that flow of international trade is smooth, and the unhindered trade could be made possible only by the destruction of enemy's fleet that may obstruct the SLOCs. That's why Mahan insisted that a strong navy was needed and a decisive battle by the navy's fleet at sea should be encouraged as a way of ensuring the safety of the SLOCs. The newly-arrived Trump administration seems to be in line with the Mahan's theory seapower in its policy on naval forces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US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Pivot to Asia policy that has been adopted by the previous administration through an increase in its naval fleet forces. The number of US navy ships will be 355 in 2030, rendering it much more powerful navy than before. The catch phrase "3rd Fleet Forward" proposed by the president Trump indicates that two carrier strike groups will be pres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being able to make the confrontation between US and China more tense than before. The presence of the US naval forces in the area may function as some sort of pressure against China that Trump insisted had been responsible for the closure of 60,000 factories and the loss of 3,000,000 jobs in the United States.

분묘 출토 토기로 살펴본 마한의 성장과 지역성 (The Growth and Locality of Mahan(馬韓) Seen through the Pottery in Tombs)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126-155
    • /
    • 2016
  • 이 글에서는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마한 토기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유개대부호, 원저소옹, 와질토기, 원통형토기 등은 낙랑을 포함하는 북방지역의 문물을 입수하기 위해 범한반도남부, 즉 '한(韓)'의 차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교류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다. 특히, 중서부지역, 충청내륙 및 영남지역을 연결하는 루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단계까지 철기문화는 한반도 남부지역이 유사하다. 내륙 루트 이외에도 서해안을 따라 연안항로도 이용된 흔적이 원통형토기, 유개대부호와 함께 사용된 뚜껑의 변화형 등에서 보인다. 이러한 문물교류의 결절점에 위치한 아산만 일대에서 마한의 중심적인 세력이 등장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이후 이중구연호 등 마한 독자 형식의 토기 양식이 성립하는 것은 3세기부터이다. 3세기 이후 마한의 토기는 묘제의 선택에 따라 지역별로 달라지는데, 분구묘와 주구토광묘 축조 전통의 구분과 대개 일치한다. 그러나 분구묘 축조 집단에서도 지역에 따라 이중구연호 등 특정 기종을 선호하는 등의 차이가 보이며 좁은 범위 안에서 특수한 양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토기류는 상호 교류의 과정에서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며 매장의례에도 사용된다.

혈압의 역학적 연구와 지속성(tracking)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tracking phenomenon of blood pressure)

  • 서일;남정모;강형곤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2호
    • /
    • pp.191-200
    • /
    • 1993
  • 이 연구는 혈압에 대한 역학적인 연구의 특성 및 중요성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아동의 혈압에 지속성 현상이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지속송에 대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서 상관분석, 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McMahan의 방법, 그리고 Blomqvist가 제안한 방법등을 우리나라 일부지역에서 6년간 추적관찰된 아동혈압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오차를 교정한 상관분석은 계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정된 상관계수 행렬이 시간의 차(lag-difference)에 따라 단조함수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지속성에 대한 해석상의 어려움이 있다. McMahan 모형은 지속성을 역학적인 관점에서 타당성이 이다고 생각되는 상대 순위의 유지도란 개념으로 정의하고 또한 전체자료에 대한 공분산구조를 모형에 반영하여 요약된 지속성에 대한 지표를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계산이 복잡하고 성장곡선모수의 치수를 결정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Blomqvist 모형은 지속성을 초기 시점에서의 측정값과 전체 시계열자료에서의 변화율간의 선형적인 관계로부터 정의하고 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평균으로서의 회귀에 대한 영향을 수학적으로 교정하였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정값이 양수가 아닌 경우 역학적인 관점에서의 해석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 PDF

반복측정된 자료에 대한 새로운 지속성 지수 (A new measure of tracking in repeated measurement data)

  • 강형곤;김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10권1호
    • /
    • pp.189-201
    • /
    • 1997
  • 반복측정된 자료에 있어 어떤 특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일정수준을 유지할 경우 지속성 현상이 있다고 한다.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이 지속성 현상을 갖는다면 조기에 위험요인에 대한 처치를 통하여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역학 연구에서 지속성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성을 전체 관찰시점을 통한 일치도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지도를 정의하고 반복측정된 자료로부터 지속성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지속성 지수를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통계량과 지속성 지수로 널리 이용되는 McMahan의 지수를 비교하여 본고에서 제안한 지수가 더 높은 검정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제안통계량을 실제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제안통계량은 지속성 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함을 보았다.

  • PDF

삼한의 복식에 대한 연구 -"삼국지" 魏志 동이전을 통하여- (A Study of Costume in Three Han Era - researching into the "Samkukgy"Tongyjeon -)

  • 정혜경
    • 복식
    • /
    • 제51권4호
    • /
    • pp.113-128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stume of Three Han to be recorded in -$\ulcorner$Samkukgy$\urcorner$ Tongyjeon. They were written tattoos, broad head, physique, hair style, dress. accessories-lnsu, beads, head dress, shoes and cloths in Tongy-j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Tattoos were common in Three Han. Those may be carved by chinese ink on body except a face. Broad head was Byonhan and Jinhan s customs. The physique of Mahan and Byonhan s men was tall and big. The hair style was just topknot not to put on a hat in Mahan, long hair In Byonhan and short hair for slaves in Jinhan. And then tattoos, flat head and skull, long hair style were the southern style. The dresses were two piece style-po and trousers. The shoes were made of leather. Those were the northern style. Eui-Chek, In-Su were royal gift of china. And they put valuable on beads, not gold, silver and golden embroidery cloths. This was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And so we can find the variety of cultures at that time. The varieties came from the southern, northern, china and unique style.

  • PDF

완주 상운리 고분군 보존관리와 문화재 지정을 위한 정책방안 검토 (A Review of Policy Measure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ncient Tombs in Sangun-ri, Wanju and Their Designation as Cultural Heritage)

  • 소재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132-144
    • /
    • 2022
  • 전북지역 마한의 시작과 성장의 양상을 비교적 잘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적은 단연 완주 상운리 고분군이라 할수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후 보존조치 유적으로만 일부지역이 존치되고, 이 일대에 대한 추가 조사나 지정에 대한 노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일부지역에 대한 보존조치 유적 공원 외에는 겨우 현상만 유지되고 있다. 근래에는 마한문화권 유적 정비와 관련하여 적극적인 보존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 유적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요 유적에 대한 지정 보존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예산 투입과 추가적인 조사 및 학술적 가치의 재조명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단계별로 보존 전략을 세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먼저 기존에 조치된 보존지역과 연접지역을 조사하여 도 기념물로 시급하게 지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근거로 주변에 추가로 확인된 분구묘를 조사하여 사유지를 매입하여야 하며, 중장기 관리계획을 수립한 상태에서 사적으로 지정하여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후 주변지역에 대한 계속적인 추가 조사와 지정을 통해 사적지와 연접한 지역의 경관복원과 함께 역사적 정체성을 확고히 함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보존계획을 추가로 반영해야 한다. 이는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의 노력들이 수반되어질 때 가능하다.

전남 마한백제계 취락의 서속(黍粟) 재배와 농경 체계: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Cultivation of millet in Mahan-Baekje Villages: Archaeobotanical examination of Osan site, Jangheung, Korea)

  • 류아라;김세빈;오병욱;김민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48-60
    • /
    • 2023
  • 조와 기장 같은 서속류(黍粟類) 잡곡은 신석기시대부터 재배되었지만 이후 서속 재배의 중요성이 생계경제상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고찰은 많지 않다. 특히 전남지역의 마한백제계 유적에서는 서속의 출현사례가 적어, 이 지역 고대 농경에 관한 논의는 벼농사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AD 3~4세기 무렵에 점유된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에서는 다량의 조와 기장이 발견되어 서속 재배의 전통이 역사시대에도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저습지, 고온다습한 기후,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벼농사와 대조적으로 조와 기장 재배는 생육환경과 노동력 동원상의 제약이 적다. 오산유적의 농경은 가을걷이와 여름걷이 곡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경작지 입지 상 가을걷이는 다시 쌀과 서속을 두 개의 중심축으로 하면서 두류 등 다른 작물이 부가되는 형태이다. 상호보완적 성격이 강한 벼농사와 서속 재배의 이원적 체계 운용은 환경적,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는 생계 위기의 효과적 관리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Flexible Electronics Devices for Smart Card Applications

  • Hou, Jack;Kimball, Bob;Vincent, Bryan;Ratcliffe, Bill;Mahan, Mik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5-77
    • /
    • 2008
  • Flexible electronics devices such as plastic display, thin film battery, membrane switch, organic memory for smart card applications will be presented. The performance and power consumption of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will be compared for OTP requirement in smart card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y RF coupling through an antenna provides a potential power solution to smart cards. Finally, the general trend of smart card future developments will b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