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ivation of millet in Mahan-Baekje Villages: Archaeobotanical examination of Osan site, Jangheung, Korea

전남 마한백제계 취락의 서속(黍粟) 재배와 농경 체계: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 RYU Ara (Dept. of Culture and Sports, Hampyeong County Office) ;
  • KIM Sebin (Mokpo National University Museum) ;
  • OH Byungwook (Jeon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
  • KIM Minkoo (Dept. of Anthropology,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Received : 2023.02.10
  • Accepted : 2023.05.1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Although foxtail and broomcorn millet have been cultivated since the Neolithic Age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how the importance of millet cultivation changed over time. The discovery of millet has been rare in the Mahan-Baekje villages in the Jeonnam region, and archaeological discussions on ancient farming have centered around rice farming. However, a large amount of millet was found at the Osan site in Bongrim-ri, Jangheung, showing that the tradition of millet cultivation continued during the AD 3-4 centuries. In contrast to rice farming, which requires low-lying wetlands, hot and humid summers, and a large labor force, millet cultivation has few restrictions in terms of growing environment and labor mobilization. Regarding harvesting seasons, the crops at the Osan site can be divided into fall harvesting (rice, legumes, millet) and summer harvesting (wheat). Regarding field locations, the crops are divided into wetland crops (rice) and dryland crops (wheat, legumes, millet). The operation of the dual agricultural system contributed to subsistence resilience and agricultural production, making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social and climatic crises.

조와 기장 같은 서속류(黍粟類) 잡곡은 신석기시대부터 재배되었지만 이후 서속 재배의 중요성이 생계경제상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고찰은 많지 않다. 특히 전남지역의 마한백제계 유적에서는 서속의 출현사례가 적어, 이 지역 고대 농경에 관한 논의는 벼농사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AD 3~4세기 무렵에 점유된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에서는 다량의 조와 기장이 발견되어 서속 재배의 전통이 역사시대에도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저습지, 고온다습한 기후,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벼농사와 대조적으로 조와 기장 재배는 생육환경과 노동력 동원상의 제약이 적다. 오산유적의 농경은 가을걷이와 여름걷이 곡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경작지 입지 상 가을걷이는 다시 쌀과 서속을 두 개의 중심축으로 하면서 두류 등 다른 작물이 부가되는 형태이다. 상호보완적 성격이 강한 벼농사와 서속 재배의 이원적 체계 운용은 환경적,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는 생계 위기의 효과적 관리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RF-2022S1A5A2A01038452).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한국편」.
  2. 김도헌, 2009, 「청동기시대 농경의 확산과 사회변화에 대한 시론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영남학」 15, pp.307~342. https://doi.org/10.36034/yncdoi.2009..15.307
  3. 김민구, 2009, 「화재 주거지 출토 탄화물을 통한 식량자원 구성의 복원: 해남 신금 유적의 예」, 「한국고고학보」 71.
  4. 김민구, 2010,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한국고고학보」 75, pp.46~71. https://doi.org/10.1080/00228958.2010.10516697
  5. 김경택.김민구.류아라, 2012, 「부여 송국리 유적 수혈의 기능: 제14차 발굴 자료의 검토」, 「고문화」 79, pp.29~50.
  6. 김범철, 2006, 「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錦江 중.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한국고고학보」 58, pp.40~65.
  7. 김승옥, 2014, 「취락으로 본 전남지역 마한 사회의 구조와 성격」, 「백제학보」 11, pp.33~72.
  8. 김연옥, 1998, 「기후 변화」, 민음사.
  9. 김장석, 2008, 「송국리단계 저장시설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고고학보」 67, pp.4~39.
  10. 김재홍, 2010,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 지역성」,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서경문화사.
  11. 농촌진흥청, 2020a, 「밀」 농업기술길라잡이 44.
  12. 농촌진흥청, 2020b, 「조.기장」 농업기술길라잡이 192.
  13. 류아라, 2016, 「작물유체로 본 삼한의 '오곡(五穀)'」, 「호남고고학보」 52, pp.14~25.
  14. 박정재, 2013, 「남한 지역의 홀로세 중후기 기후변화」, 「기후연구」 8(2), pp.127~142.
  15. 서현주, 2000, 「湖南地域 原三國時代 貝塚의 現況과 形成背景」, 「호남고고학보」 11, pp.79~111.
  16. 안승모, 2005, 「韓國 南部地方 新石器時代 農耕 硏究의 現狀과 課題」, 「한국신석기연구」 10, pp.7~25.
  17. 안승모, 2006, 「上芳村 炭化穀物의 經濟的 解釋」, 「한국상고사학보」 54, pp.81~114.
  18. 안승모, 2012, 「동아시아 조.기장 기원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서경문화사.
  19. 안승모, 2013, 「한반도 출토 작물유체 집성표」, 「농업의 고고학」, 사회평론, pp.275~302.
  20. 안현중, 2010, 「全北 西部地域 原三國時代 住居址 出土 炭化作物에 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윤호필, 2013, 「경작유구를 통해 본 경지이용방식의 변천 연구」, 「농업의 고고학」, pp.153~183.
  22. 윤호필.고민정, 2006, 「밭유구 조사법 및 분석방법」, 「야외고고학」 1, pp.33~72.
  23. 이경아, 2005,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에 대한 觀點의 再檢討」, 「한국신석기연구」 10, pp.27~49.
  24. 이경아, 2015,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활용 연구 성과와 과제」, 「고고학지」 21, pp.105~128.
  25. 이태진, 2008, 「한국사회사연구 -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지식산업사.
  26. 이현혜, 1990, 「三韓社會의 농업 생산과 철제 농기구」, 「역사학보」 126, pp.45~70.
  27. 이현혜, 1997, 「韓國 古代의 밭농사」, 「진단학보」 84, pp.1~36.
  28. 이희경, 2010,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한국고고학보」 75, pp.98~125.
  29. 이희경, 2022,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희진, 2012, 「土壤分析을 통해 본 韓半島 初期 水田農耕의 일면」, 「한국고고학보」 82, pp.84~113.
  31. 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14, 「보성강 상류권역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32. 정유진, 2010,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한국상고사학보」 69, pp.19~38.
  33. 전남문화재연구원, 2015,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
  34. 조현종, 2008, 「韓國 初期 稻作文化 硏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최성락.김건수, 2002,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배경」, 「호남고고학보」 15, pp.57~82.
  36. 刘长江.靳桂云.孔昭宸, 2009, 「植物考古-种子和果实研究」, 科学出版社.
  37. 小畑弘己, 2008, 「マメ科種子の同定法」, 「極東先史古代の穀物 3」, 熊本大学, pp.225~252.
  38. 赵志军, 2010, 「植物考古学 : 理论, 方法和实践」, 科学出版社.
  39. 椿坂恭代, 1993, 「アワ.ヒエ.キビの同定」, 「吉崎昌一先生還暦記念論集 先史学と関連科学」, 吉崎昌一先生還暦記念論集刊行会, pp.261~281.
  40. Bronk Ramsey, C., 2017, OxCal 4.3 manual (http://c14.arch.ox.ac.uk/oxcalhelp/hlp_contents.html).
  41. Dal Martello, R., 2022, The origins of multi-cropping agriculture in Southwestern China: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ird to first millennium B.C. Yunnan. Asian Archaeology 6, pp.65~85. https://doi.org/10.1007/s41826-022-00052-2
  42. He, K., Lu, H., Zhang, J., Wang, C., & Huan, X., 2017, Prehistoric evolution of the dualistic structure mixed rice and millet farming in China. The Holocene 27(12), pp.1885~1898. https://doi.org/10.1177/0959683617708455
  43. Lee, G-A, 2003, Changes in Subsistence Patterns from the Chulmun to Mumun Periods: Archaeobotanical Investigation, Dept of Anthropolog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44. Park, J., Kim, M., Lim, H. S., and Choi, J., 2013, pollen and sediment evidence for late-Holocene human impact at the Seonam-dong archaeological site, Gwangju, Kore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193, pp.110~118. https://doi.org/10.1016/j.revpalbo.2013.01.012
  45. Prasad, R. 2005, Rice-Wheat Cropping Systems, Advances in Agronomy 86, pp.255~339. https://doi.org/10.1016/S0065-2113(05)86006-7
  46. Reimer, P. J., W. E. N. Austin, E. Bard, A. Bayliss, P. G. Blackwell, C. Bronk Ramsey, M. Butzin, H. Cheng, R. L. Edwards, M. Friedrich, P. M. Grootes, T. P. Guilderson, I. Hajdas, T. J. Heaton, A. G. Hogg, K. A. Hughen, B. Kromer, S. W. Manning, R. Muscheler, J. G. Palmer, C. Pearson, J. van der Plicht, R. W. Reimer, D. A. Richards, E. M. Scott, J. R. Southon, C. S. M. Turney, L. Wacker, F. Adolphi, U. Buntgen, M. Capano, S. M. Fahrni, A. Fogtmann-Schulz, R. Friedrich, P. Kohler, S. Kudsk, F. Miyake, J. Olsen, F. Reinig, M. Sakamoto, A. Sookdeo & S. Talamo, 2020, The IntCal20 Northern Hemisphere Radiocarbon Age Calibration Curve (0-55 cal kBP). Radiocarbon, 62, pp.725~757.
  47. Tang, Y., J. M. Marston & X. Fang, 2022, Early millet cultivation, subsistence diversity, and wild plant use at Neolithic Anle, Lower Yangtze, China. The Holocene 32, pp.1003~1014. https://doi.org/10.1177/09596836221109004
  48. Weber, S. A. & D. Q. Fuller, 2008, Millets and their role in early agriculture. Pragdhara 18, pp.69~90.
  49. Weber, S. A., H. Lehman, T. Barela, S. Hawks & D. Harriman, 2010, Rice or millets: early farming strategies in prehistoric central Thailand.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2, pp.79~88. https://doi.org/10.1007/s12520-010-0030-3
  50. Zhang, J., Lu, H., Gu, W., Wu, N., Zhou, K., Hu, Y., Xin, Y., & Wang, C., 2012, Early mixed farming of millet and rice 7800 years ago in the Middle Yellow River region, China. PLOSone 7(12), e5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