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tra veneriformi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해산 이매패에 기생하는 흡충, Acanthoparyphium tyosenense Yamaguti, 1939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 유지은;김영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27-428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간석지 산 패류에서의 흡충류 분류와 생활사 그리고 패류의 병해를 구명할 목적으로 1999년 3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만경강 하구 역에 위치한 심포 지선 간석지 애서 채집한 갯우렁이(Lunatia fortuni)와 큰구슬우렁이에서 Cercaria yamagutii Ito, 1957 동죽(Mactra veneriformis)과 맛조개 및 바지락에서 Acanthoparyphium tyosen Yamaguti,1939의 피낭유충을 검출하고, 이를 실험실에서 감염실험을 실시한 바, 지금까지 Yamaguti(1939) 와 Ito(1956), 김 등(1984, 1988)이 밝히지 못한 Acanthoparyphium tyosene의 전 생활사가 밝혀졌기에 보고한다. (중략)

  • PDF

Thermally-activated Mactra veneriformis shells for phosphate removal in aqueous solution

  • Yeon-Jin, Lee;Jae-In, Lee;Chang-Gu, Lee;Seong-Jik, Park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calcium-rich food waste, Mactra veneriformis shells (MVS), as an adsorbent for phosphate removal, and its removal efficiency was enhanced by the thermal activation process. The CaCO3 in MVS was converted to CaO by thermal activation (>800 ℃), which is more favorable for adsorbing phosphate. Thermal activation did not noticeably influenc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MVS. The MVS thermally activated at 800 ℃ (MVS-800), showed the highest phosphate adsorption capacity, was used for further adsorption experiments, including kinetics, equilibrium isotherms, and thermodynamic adsorpti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pH, competing anions, and adsorbent dosage, were also studied. Phosphate adsorption by MVS-800 reached equilibrium within 48h, and the kinetic adsorption data were well explained by the pseudo-first-order model. The Langmuir model was a better fit for phosphate adsorption by MVS-800 than the Freundlich model,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MVS-800 obtained via the Langmuir model was 188.86 mg/g. Phosphate adsorption is an endothermic and involuntary process. As the pH increased, the phosphate adsorption decreased, and a sharp decrease was observed between pH 7 and 9. The presence of anions had a negative impact on phosphate removal, and their impact followed the decreasing order CO32- > SO42- > NO3- > Cl-. The increase in adsorbent dosage increased phosphate removal percentage, and 6.67 g/L of MVS-800 dose achieved 99.9% of phosphate remova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hermally treated MVS-800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sorbent for removing phosphate.

서해 송도 갯벌에서의 동죽(Mactra veneriformis: Bivalvia)의 성장과 생산 (Growth and Production of Mactra veneriformis (Bivalvia) on the Songdo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03-41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해 인천 연안의 송도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동죽(Mactra veneriformis)의 성장과 생산을 조사하였다. 표품은 1989년 3월부터 1990년 9월까지 월별로 채집하였다. 각장은 1989년 3월부터 8월까지 단일 규모 모드를 보였보였다. 1989년 9월부터는 1990년 9월부터는 작은 개체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이중모드를 보 였다. 서식밀도는 다소 불규칙적으로 변동하였으나, 대체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 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989 연도군의 서식밀도는 1990년 2월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 다. 각장은 봄에 성장이 빠르고, 산란기 이후 여름과 가을에 둔화되며, 겨울에 성장을 멈추었다. 성장률은 연령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중량은 산란기 직전에 늦봄에 최 대값을 보이고, 가을에 2차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윤장과 이로부터 역계산한 육질부 건중량으로 연성장을 분석하였다. 각장은 vov bertalanffy 성장 모델에, 건중량은 Gompertz 성장모델에 잘 적합되었다. 1985년군의 L∽가 가장 높고, 1986년 군이 가장 낮았다. 중량의 성장률은 2∼3세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1984년군과 1985년군의 W ∽와 성장률이 높았고, 1986년군과 1987년군이 낮았다. 최대성장률이 나타나는 연령은 1986년군과 1987년군이 더 빨랐다. 각장과 중륭의 상대 성장률은 연령에 따라 지수함 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육질부 건중량의 생물량은 모든 연령군에서 봄에 높았다가 산란 기 이후 감소하여 겨울에 최저치를 보였다. 생물량은 1990년 8월에 134.6g·m/SUP -2/ 으로 가장 높았다. 1989년도군이 가입한 이후에는 1989년군의 생물량이 총 생물량의 변동을 지배하였다. 1989년 3월부터 1990년 3월까지의 연소연량은 67.9g·m/SUP -2/· y/SUP -1/이었다. 조사기간동안 1989년도군의 누적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1984년군이 가장 적었다. 생산량은 봄과 가을에 증가하였고, 여름과 겨울에 0의 값을 보였다.

  • PDF

문합(文蛤)의 기원에 관한 고찰 (Bibliographic study about the origin of Meretrix)

  • 정종길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rigin of Meretrix. Method : Bibliographies about Meretrix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origin. Based on this analysis, the li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mineral were presented. Results : Based on the Meretrix, the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to make a lis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origin was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hape of the currently cultivated or distributed drugs, the status of the distributed drugs and the status of the distributed products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summarizing the adverse effects and sensitivities of the efficacy and prestige are as follows: 1. The origin of the Meretrix corresponded to the fall of the mollusks Merethrix metrix L. and Cyclina sinensis Gmelin, which are mollusks belonging to the reference family Veneridae. Their Herbal name is CONCHA CYCLINAE SEU MERETRICIS and they have therapeutic effects on cough, asthma, thirsty and chest heavies. 2. Munhap (文蛤) is a different name of GALLA CHINENSIS. It has therapeutic effects on various skin diseases. Conclusions : The Meretrix means two herbs. The first one is CONCHA CYCLINAE SEU MERETRICIS, the other is GALLA CHINENSIS. They should b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ir clinical use.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2. 우점종의 시ㆍ공간적인 분포양상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2.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93-105
    • /
    • 2004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중요 우점종에 대한 시ㆍ공간적인 분포 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 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25,491 개체가 채집되었고, Le Bris Index에 근거한 상위 15위의 우점종은 19,072개체의 밀도를 나타내 74.8%를 점유하였다. 백금갯지렁이과(Nephtyidae)의 다모류 3종과 칠게아과(Macrophthalminae)의 갑각류 2종은 동일한 속(genus)이 면서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서식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전 갯벌의 중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이매패류의 동죽(Mactra veneriformis), 맛조개(Solen strictus), 극피동물 해삼류의 가시닻해 삼(protankyra bidentata), 갑각류의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등이었다. 5종의 중요 우점종에 대하여 공간에 따른 개체밀도를 비교한 결과, H. filiformis와 동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맛조개, 칠게와 가시닻해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것은 중요 우점종이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출현 개체밀도에서 공간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H. flzyomis와 동죽은 조위와 퇴적상에 무관하게 갯벌의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칠게는 펄이 많은 상부에서 밀도가 높았고, 맛조개, 가시닻해삼은 갯벌의 중ㆍ하부인 모래펄에서 우세한 밀도로 출현하여 이를 반영하고 있다.

인천연안 간석지산 연체동물 유해집단(遺骸集團)의 구조와 생태학적 의미 (Molluscan Death Assemblages and Their Ecological Implications on a Tidal Flat, Inchon, Korea)

  • 홍재상;박흥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94-102
    • /
    • 1998
  • 본 조사는 인천지역 조간대 지역에 분포하는 연체동물 유해집단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계절 분포, 밀도, 회분중량과 크기-빈도 분포, 생존곡선 등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또 현생 생물군집과 비교하였다. 조사 기간 중 복족류 16 종과 이매패류 12 종을 포함하여 총 28 종이 동정되었다. 유해집단을 구성하는 종들의 대부분이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종 다양성은 이매패류보다 복족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 회분중량의 변화는 동죽의 분포에 따라 좌우되었다. 천공성 복족류에 의한 천공은 주로 패각의 각정부분을 선호하고 있었다. 우점종인 접시조개류(Moerella rutila), 동죽, 왕좁쌀무늬고둥 등 3 종에 대한 크기-빈도 분포와 생존곡선에 관해 분석하였다. 접시조개류인 Moerella rutila는 각 연급군별 유사한 사망률이 나타나는 분포를 나타냈으며, 겨울철 어린 개체의 사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죽과 왕좁쌀무늬고둥의 경우 연급군별 사망률이 다른 두 개의 굴곡을 가지는 분포를 나타냈다. 이들은 크기-빈도 분포에서도 이중모드(bimodality)를 나타냈는데, 이는 각 연급군의 가입과 계절적인 사망률의 변화에 기인한다. 유해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화석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만 해결한다면 현생생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체군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1. 군집의 구조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1. Community Structure)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90-200
    • /
    • 2001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 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평균 708.1 개체/$m^2$와 214.9 gWWt/$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출현 종 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과 극피동물이 대표적인 분류군이었다. 조위에 따른 저서동물의 출현 경향은 종 수와 개체수는 갯벌의 하부로 갈수록 뚜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생물량은 갯벌의 중부에서 가장 높았다. 척전 갯벌의 집괴분석 결과에 의하면, 3개의 정점군과 4개의 종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정점군은 조위에 따라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 정점 그룹으로 나뉘었고, 종군은 다음과 같았다: 1) 중하부 광역분포 종군으로 Heteromastus filifomis-Mactra veneriformis-Solen strictus-Ilyoplax finggi 군집, 2) 상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chemulpoensis-Macrophthalmus gaponicus 군집, 3) 중부 분포 종군으로 Glycera subaenea-Decorifer matusimana-Tritodynamia 군집 ,4)하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polybranchia-Borniopsis tsurumaru-Asthenognathus inaequipes-Protankyra bidentata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동죽의 호흡률, 여수율 및 질소배설에 미치는 부니의 영향 (Effects of Silt and Clay on the Rates of Respiration, Filtration and Nitrogen Excretion in Shellfish, Mactra veneriformis)

  • 이정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8
    • /
    • 1994
  • 최근 연안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척 및 매립공사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니가 간석지 생물에 주는 영향을 정량하기 위하여 간석지 생물 중 비교적 호흡량이 큰 동죽을 대상으로 염분 $10\%0,\;20\%0,\;30\%0$과 수온 $15^{\circ}C,\;20^{\circ}C,\;25^{\circ}C$의 실험조건에서 부니농도 0, 10, 25, 50, 100 및 250ppm을 적용시켜 동죽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동죽개체의 비체중호흡률은 각장이 클수록 감소하는데 수온과 염분이 낮을수록 감소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2. 정상해수(염분 $30\%0$)에서 동죽집단의 평균호흡률, 여수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등은 수온의 저하에 따라 현저한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3. 부니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호흡률은 감소하는데, 그 감소경향은 회귀직선(R=a+b LogC)으로 표시되며 $30\%0-25^{\circ}C$의 실험구가 저온-저염분 실험구보다 호흡률 감소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 여수율에 미치는 부니의 영향도 호흡률과 마찬가지로 부니 증가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이며 회귀직선(LogF=a+b LogC)으로 표시되었다. 5. 부니농도 50ppm에서 적용일수별 동죽의 누적폐사율(M)은 적용일수(T)에 따라 $M=0.0186T^{2.7965}$로 표시되며 $50\%$ 폐사를 가져오는 일수는 16.8일로 계산되었다. 6. 부니농도 50ppm에서 적용일수별 대사율변동을 보면 대조구 및 실험구 모두 감소경향을 나타내지만 실험구의 호흡률 및 암모니아질소배설률은 대조구보다 더 큰 감소를 보였다.

  • PDF

울진바다목장에서 형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Fisheries Resources Caught by Dredg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 윤병선;박정호;윤상철;양재형;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35-944
    • /
    • 2014
  • To elucidate the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biomass and siz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was investigated at the 4 stations from 2009 to 2010 based on the dredge sampling.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41 fishery resource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2,554,633\;ind./km^2$ and mean biomass was $32,946kg/km^2$. A total 36 fishery resource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3,198,793\;ind./km^2$ and mean biomass $41,177kg/km^2$ in 2009 and it were sampled a total 31 species, mean $1,910,473kg/km^2$ and $24,716kg/km^2$ in 2010. The major individual-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1% of total individuals, were Gomphina veneriformis (2,491,818 ind., 82.2%), Umbonium costatum (221,973 ind., 8.7%), Mactra chinensis (49,879 ind., 2.0%), Glossaulax didyma hayashii (49,879 ind., 1.9%), Blepharipoda liberate (37,714 ind., 1.5%) and Paguridae spp. (27,266 ind., 1.1%). The major biomass-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1% of total biomass, were G. veneriformis (25,124 kg, 76.3%), G. didyma hayashii (2,596 kg, 7.9%), M. chinensis (2,024 kg, 6.1%), Ovalipes punctatus (921 kg, 2.8%) and Glossaulax didyma didyma (567 kg, 1.7%).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of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s was divided into 2 different groups of the fishery resource community (Group A-St.1, Group B-Sts. 2, 3, 4). The 2009 and 2010 mean Shell length (mm) of G. veneriformis was 37.73 mm, 29.76 mm and M. chinensis was 62.03 mm, 44.94 mm, respectively.

이매패류의 폐사에 미치는 현탁부이의 영향 (EFFECTS OF SUSPENDED SILT AND CLAY ON THE MORTALITY OF SOME SPECIES OF BIVALVES)

  • 장선덕;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1
    • /
    • 1978
  • 현탁부이가 백합, 가무락 및 동죽의 폐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별로 현탁부이의 농도(100, 500 및 1,000 ppm)와 침지시간(12, 18 및 24 시간)에 따른 일별 생존율을 조사하고, 또 그들의 패각개폐운동과 총대사능을 측정비교하였다. 1. 일반적으로, 현탁부이의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폐사가 빨리 시작되고 폐사율도 높았다. 2. 동죽이 가장 먼저 폐사하기 시작하였고 $50\%$ 폐사기간이 가장 짧았으며 (1,000 ppm에서 37일) 다음은 가무락(42일), 그리고 백합이 가장 늦고 길었다(50-51일). 3. 특히 백합은 부이농도 100 ppm에서는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고 또 500 및 1,000 ppm 부이현탁해수에서도 침지시간이 짧고 (1일 $12\~18$시간) 맑은 물을 갈아주면 폐사없이 생존할 수 있었다. 4. 패각개폐운동은, 동죽의 경우, 어떤 실험농도의 부이해수에서나 개폐상태를 특속하였고, 가무락은 다소 개폐하는 반면에 백합은 거의 개폐상태를 유특하였다. 5. 총대사활성은 동죽이 가장 높고 다음은 가무락이며 백합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각농도의 부이처리군과 대조군간에서 아가미조직의 산소소비능은 큰 차이가 없었다. 6. 결론적으로, 백합, 가무락 및 동죽이 부이현탁시에 받는 영향은 패각개폐운동, 총대사활성 등과 같은 종별 생리적 차이 및 현탁부이농도와 침지시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높은 농도에서 계속하여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폐사현상이 초래되는 점은 분명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