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luscan Death Assemblages and Their Ecological Implications on a Tidal Flat, Inchon, Korea

인천연안 간석지산 연체동물 유해집단(遺骸集團)의 구조와 생태학적 의미

  • Hong, Jae-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Park, Heung-Sik (Biological Oceanograph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홍재상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 박흥식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Received : 1998.01.19
  • Accepted : 1998.04.16
  • Published : 1998.05.30

Abstract

Temporal changes, density, calcimass, mode of occurrence, size-frequency histogram and survivorship curves were studied for the molluscan death assemblages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The living and death assemblage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taxonomic compositions and their numerical abundances. A total of 28 species (16 taxa in gastropods and 12 in bivalves) were identified. Most of the dead shells were the species inhabiting that intertidal mud flat.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gastropods than in bivalves. Seasonal variation of the calcimass was influenced by the mactrid bivalve, Mactra veneriformis. Shell-boring naticid gastropods preferred selecting the umbo areas of various valves. Size-frequency distribution and size-specific survivorship curves were analyzed for the dominant species. Survivorship curve of the tellinid bivalve, Morella rutila was convex-up in shape, which is congruent with the expected equilibrium condition but indicates higher mortality in winter. Whereas the survivorship curves of Mactra veneriformis and Reticunassa festiva were semi convex-up with dual modes, suggesting a disequilibrium due to the changes in recruitment and seasonal mort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ad shell assemblages may be useful in getting population information like live molluscan assemblages, if solved for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aphonomic processes.

본 조사는 인천지역 조간대 지역에 분포하는 연체동물 유해집단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계절 분포, 밀도, 회분중량과 크기-빈도 분포, 생존곡선 등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또 현생 생물군집과 비교하였다. 조사 기간 중 복족류 16 종과 이매패류 12 종을 포함하여 총 28 종이 동정되었다. 유해집단을 구성하는 종들의 대부분이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종 다양성은 이매패류보다 복족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 회분중량의 변화는 동죽의 분포에 따라 좌우되었다. 천공성 복족류에 의한 천공은 주로 패각의 각정부분을 선호하고 있었다. 우점종인 접시조개류(Moerella rutila), 동죽, 왕좁쌀무늬고둥 등 3 종에 대한 크기-빈도 분포와 생존곡선에 관해 분석하였다. 접시조개류인 Moerella rutila는 각 연급군별 유사한 사망률이 나타나는 분포를 나타냈으며, 겨울철 어린 개체의 사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죽과 왕좁쌀무늬고둥의 경우 연급군별 사망률이 다른 두 개의 굴곡을 가지는 분포를 나타냈다. 이들은 크기-빈도 분포에서도 이중모드(bimodality)를 나타냈는데, 이는 각 연급군의 가입과 계절적인 사망률의 변화에 기인한다. 유해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화석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만 해결한다면 현생생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체군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