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hine Industries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37초

노후된 알루미늄 압출기의 재제조 기술 개발 및 성능 개선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old Aluminum Extruder Remanufacturing Technology)

  • 윤상민;정항철;공만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95-103
    • /
    • 2023
  • The domestic remanufacturing industry is concentrated in auto part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into various industries. In the domestic aluminum industry, the extrusion process accounts for more than 40% of the total, but the old and management of the extrusion equipment is not done properly. In particular, the extruder has a structure in which equipment is not replaced until major parts are damaged or worn, 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lower process precision, productiv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compared to new equipment, and high maintenance costs. In this study, the old extruder was remanufactured for major high-risk parts through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FMEA), and the process level and performance of the extruder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remanufacturing. Compared to the existing extruder,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manufacture extruder was reduced by 93.5%, 57.9%, and 70.0%, respectively, in major process control items such as container temperature, billet temperature, and ram speed, keeping performance constant.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with complex shapes that could not be produced before due to problems such as dimensional deviation within tolerances. In this study, remanufacturing guideline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failure modes of the old extruder,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extruder was confirmed.

코팅제의 가교 밀도에 따른 고무와 코팅원단의 물성 변화 (Properties of Rubbers and Coated Fabrics according to Different Cross-linking Density of Coating Agent)

  • 김수홍;성기석;백두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19
    • /
    • 2023
  • Silicone rubber is widely used in most industries due to diverse advantages like heat stability, UV stability,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environment friendliness, inertness and so on. But there is limitation to expand applications due to relatively weak rubber strength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especially in fabric coating ap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nfluence of coating agent on performances of rubber and coated fabrics and their correlation according to different crosslinking densities of silicone rubbers. Addition cure type of silicones were formulated using crosslinked MQ-type silicone resin consisting of M (R3SiO1/2) and Q (SiO4/2) and linear polymers. Raw materials used were; 1) linear vinyl endblocked polymers and vinyl functional MQ resin as main polymers, 2) linear silicone hydride polymers as crosslinkers, 3) platinum catalyst and 4) inhibitor to control curing speed. Rubber specimens were prepared to check mechanical strength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Crosslinking density was calculated using Flory-Rhener equation using solvent swelling metho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S) were used to characterize rubber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physical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s and coated fabrics can be expected by crosslinking density of rubbers. Silicone rubber formulations that contain 20 ~ 30 wt% of vinyl MQ resin showed strongest balanced performances.

Optimization of VIGA Process Parameters for Power Characteristics of Fe-Si-Al-P Soft Magnetic Alloy using Machine Learning

  • Sung-Min, Kim;Eun-Ji, Cha;Do-Hun, Kwon;Sung-Uk, Hong;Yeon-Joo, Lee;Seok-Jae, Lee;Kee-Ahn, Lee;Hwi-Jun, Kim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59-467
    • /
    • 2022
  • Soft magnetic powder materials are used throughout industries such as motors and power converters. When manufacturing Fe-based soft magnetic composites, the size and shape of the soft magnetic powder and the microstructure in the powder are closely related to the magnetic properties. In this study, Fe-Si-Al-P alloy powders were manufactured using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parameter sets, and the process parameters of the vacuum induction melt gas atomization process were set as melt temperature, atomization gas pressure, and gas flow rate. Process variable data that records are converted into 6 types of data for each powder recovery section. Process variable data that recorded minute changes were converted into 6 types of data and used as input variables. As output variables, a total of 6 types were designated by measuring the particle size, flowability, apparent density, and sphericity of the manufactured powders according to the process variable conditions. The sensitivity of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total of 6 powd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e predic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espectively.

제조업 외국인투자기업의 매출 경로에 근거한 한국 투자 결정 요인 분석 (An Study on FDI Determinants by Foreign-Invested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ased on Their Sales Path)

  • 이영선;신호상
    • 무역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65
    • /
    • 2020
  • According to an analysis of 560 foreign-invested companies investing in South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the following three facts were found. First, the proportion of sales by manufacturing foreign-invested companies is divided into 68.5 percent of domestic sales and 31.5 percent of exports. From 68.5 percent of domestic sales, sales to Korean companies are 60.5 percent, including 37.1 percent for large companies and 23.4 perc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while only 8.0 percent for domestic consumers. Second, the investment sectors of manufacturing foreign-invested enterprises are 'machin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chemical and chemical-chemical material manufacturing-excluding pharmaceuticals',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video,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and 'vehicle and trailer manufacturing'. It overlaps with electric·electronics, petro-chemicals and automobiles, which are Korea's main industries and areas of Korean global companies. Third, 31.5 percent of the sales of foreign-invested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re exported. Foreign-invested companies export their products to use them for their parents or affiliates or to the third countries. The analysis shows that foreign-invested companies invested in Korea for B2B transactions with Korean companies. The implications are that Korea can attract foreign investments by utilizing Korean companies' demand for intermediate goods. Foreign-invested companies can invest in Korea in order to use Korea, which has signed free trade agreements with the US, the EU and ASEAN, as an export platform.

중소기업 기술 유출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n Early Warning System about Technology Leakag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143-159
    • /
    • 2017
  • 급속한 IT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 및 정보에 대한 유출 위협이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고 있다. 기업에게 있어서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은 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으로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기술 침해 사례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기술 유출은 기업에게 있어서 주가하락 등의 막대한 재무적인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에 손상을 입게 되고, 기업의 발전을 지연시키게 되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핵심기술이 기업 내 중요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있어서 기술 유출에 대한 대비는 기업의 존립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정보 보안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업 입장에서 조기에 기술 침해 위협에 대해 확인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실증 분석을 수행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술유출 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해보고,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된 요인들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여러 기법들 중 하나인 Support Vector Machine을 활용하여 기술침해 가능성을 조기에 알려주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술 유출 가능성에 대한 조기 경보 모형을 통해 기업 및 정부 관점에서 기술 유출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차원 고객충성도 세그먼트 기반의 고객이탈예측 방법론 (A Methodology of Customer Churn Prediction based on Two-Dimensional Loyalty Segmentation)

  • 김형수;홍승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1-126
    • /
    • 2020
  • CRM의 하위 연구 분야로 진행되었던 고객이탈예측은 최근 비즈니스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빅데이터 기반의 퍼포먼스 마케팅 주제로 더욱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관련 연구는 예측 모형 자체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으며, 전체적인 고객이탈예측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고객이탈관리가 모형 자체의 성능보다는 전체 프로세스의 개선을 통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이차원 고객충성도 세그먼트 기반의 고객이탈예측 프로세스 (CCP/2DL: Customer Churn Prediction based on Two-Dimensional Loyalty segmentation)를 제안한다. CCP/2DL은 양방향, 즉 양적 및 질적 로열티 기반의 고객세분화를 시행하고, 고객세그먼트들을 이탈패턴에 따라 2차 그룹핑을 실시한 뒤, 이탈패턴 그룹별 이질적인 이탈예측 모형을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일련의 이탈예측 프로세스이다. 제안한 이탈예측 프로세스의 상대적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범용이탈예측 프로세스와 클러스터링 기반 이탈예측 프로세스와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글로벌 NGO 단체인 A사의 협력으로 후원자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과 검증을 수행했으며, 제안한 CCP/2DL의 성능이 다른 이탈예측 방법론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탈예측 프로세스는 이탈예측에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객통찰력을 확보하고, 관련된 다른 퍼포먼스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인삼 재배 작업의 재해 위험 요인과 안전 대책 - 인삼 재배 농업인 대상 안전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for Ginseng Cultivation Work - An Examination Study to Develop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for Ginseng Farmers)

  • 공용구;이인석;이경숙;최경희;강다영;이주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5-557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risk factors in cultivating ginseng based on risk assessments and suggest safety measures for main risks. Background: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is one of the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and injuries. In agricultural sector, there are few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Especially, farm work has different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rops, so it needs special education materials for each crop. Among the various types of crops, ginseng contains various risk factors due to its long cultivating period and unique environment. Therefore, safety education material specified for ginseng is necessary to improve ginseng farmers' safety. Method: Risk assessment for cultivating tasks of ginseng was carried out through data obtained from various methods (site survey, interview, literature survey). To improve objectivity, the risk assessment was applied with 3-criteria (researcher estimate, interview, previous research results). Finally, the three high-risk tasks were selected and safety measures for those tasks were provided. Results: Three tasks, such as 'Mounting, maintenance and removing supports', 'Pest control' and 'Harvest', were selected as risky tasks among total tasks. (1) In 'Mounting' and maintenance and removing supports', the farmers found to be exposed to the risk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accidents related to operating the tablet machine. (2) In 'Pest control', agrichemical poison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yperthermia were main risks. Finally, (3) In 'Harvest', the farmers are mainly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of agricultural machines and risk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us, it needs to apply appropriate safety measures to those risky tasks, such as safety guidelines, convenience equipment, protective kit, and so o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gricultural safety and expected that it would be useful for further stud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produced in the form of animation, which will enhance the safety consciousness for aged farmers.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developing safety education materials for ginseng farmers which is essential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and injuries among ginseng farmers.

기계공학과에서 제시하는 Hands-on Experience 중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사례 (A Case Study of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with Emphasize on Hands-on Experience)

  • 김홍찬;김지훈;김관주;김정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4-61
    • /
    • 2007
  • 본 논문은 공학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력, 협업 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을 주 목적으로 홍익대학교 기계 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 새로이 개발한 교과목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기계 시스템 디자인공학과'는 엔지니어링 디자인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과목을 갖춘, 기존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의 새로운 이름이다.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하기위해서 기계공학과는 아날로그 기반, 산업중심의 하드한 관점에서 디지털 기반, 인간 중심의 소프트한 가치 중심으로 그 교육 접근방식을 전환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새로이 개설된 세 가지 학과목인 기계 시스템디자인 개론, 창의적 공학 설계, 제품디자인은 공통적으로 팀 프로젝트를 통해서 손으로 직접 만들고 대화하고 표현하는(이하 Hands-on experience)경험을 중요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과정에서는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과 스케치를 통한 시제작(Prototyping) 과정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다루기 힘들고 무거운 금속 소재 대신에 폴리스티렌 블록이나 카드보드와 같은 가볍고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가능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원형(Prototype)을 만들고, 팀원들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체험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Hands-on experience 중심 프로그램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협업능력을 강조한 학과목들을 통해 시각적이며 구체적인 체험을 하게 하여 전통적으로 분석적이고 수학적이며 추상적인 사고에 초점을 맞춘 공학과목들을 균형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졸업 후 그들이 산업현장에서 접하게 될 복잡하고 구체적인 엔지니어링 과제들을 해결하는 엔지니어링 감각과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습과제 모형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RP와 수동형, CNC 모형제작 방법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modeling methode of practice works -Focus on compare RP with manual processing, CNC-)

  • 신명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23-232
    • /
    • 2005
  • 컴퓨터의 보급으로 모든 산업이 자동화 및 간편화 되어가고 있는 개발 및 생산체계 환경과 경쟁적인 산업디자인 제품개발 과정에서 가장 우선하는 것은 신속성과 다양성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을 연구하는 학생들에게 사회 환경 적응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단시간에 전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학교나 기업에서 새로운 조형의 전개와 신속한 디자인 설계검토 및 생산을 위해서는 신속한 조형능력에 대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찾게 되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라 기업은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른 제품설계에서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절감에 따른 요구와 학교는 다양한 디자인전개에 따른 3차원 모형에 대한 결과물 제시 등으로 RP도입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앞으로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거나 예정하고 있는 대학에 하나의 새로운 사례로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목적은 이러한 시점에서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RP기기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디자인결과물을 어떻게 제작했으며, 수작업이나 CNC기기를 사용한 모형제작 방식과 의 차이점을 비교하려고 한다. 그 결론으로는 수동형 도구로는 곡선적인 모형으로 형태가 큰 것이, CNC기기로는 복잡하지 않으면서 정교하게 제작하려는 모형, RP는 복잡하면서 제품의 크기가 작은 것이 경제적이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페이서 테이프 생산을 위한 회전형 엠보싱 처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otary Type Embossing Process System for Spacer Tape Production)

  • 한승철;김진호;이성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458-2464
    • /
    • 2012
  • 최근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는 국가 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 생산을 위한 시스템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며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인 스페이서 테이프 생산을 위한 엠보싱 처리 시스템의 국산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시스템 향상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엠보싱처리 시스템의 국산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스페이서 테이프 생산을 위한 회전형 엠보싱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권출부, 성형부, 권치부, 세정부, 검사부로 구성된다. 이 중, 성형부의 금형을 회전형 방식으로 설계하였고, 각 구성품들을 설계하고 시제작품을 제작하여 성능 실험을 하였다. 성능 실험은 삼차원 측정기를 통해 엠보싱 형상, 직경, 엠보싱 간격 및 반대편 엠보싱과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오염물 검출 실험을 하기 위해, 검사부를 통해 첫 번째 샘플과 반복 생산한 후의 샘플에 대해 이물질 레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샘플에 이물질을 부착한 후 세정부를 통해 샘플을 세정한 후의 이물질 개수를 측정하여 오염물 세정 실험을 하였다. 또한, 시제작품에 의해 생산되는 스페이서 테이프의 생산성을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