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3초

A Study on MTL Device Design and Motion Tracking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 Oh, Am-Su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05-212
    • /
    • 2019
  • Motion tracking and localization devices are an important building block of motion tracking system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This study is about improving the accuracy of motion and location for enhancing user immersion in experience type VR environment to position track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propose and test a design of such a device. The module data test of the attitude and heading reference system shows that the implementation with the MPU-9250 sensor is successful and adequate to be used with short operation time. We consider various sensor hardware dependencies of VR, and compare various correction methods and filtering methods to lower the motion to photon (MTP) time that user movement is fully reflected on the display using sensor devices. The Kalman filter is used to combine the accelerometer with the gyroscope in the sensing unit.

일화기억을 구성하는 맥락 요소에 대한 탐구: 시공간적 맥락과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적, 의도적 맥락의 내측두엽-대뇌피질 네트워크 특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episodic memory: dissociating distinct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episodic encoding from spatio-temporal contexts based on medial temporal lobe-cortical networks)

  • 박종현;나윤진;유수민;이승구;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33권2호
    • /
    • pp.109-133
    • /
    • 2022
  • 일화기억은 핵심 이벤트와 그에 연합된 맥락으로 구성된다. 해마와 해마 주변 영역이 일화기억의 부호화에서 맥락을 표상하는 역할에 관해 연구되어왔지만, 시공간적 맥락 외에 다양한 맥락-특이적 정보들에 대한 표상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자기기능공명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맥락정보(예, 육하원칙 - 누가, 왜,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내측두엽 및 대뇌피질 신경연결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명의 얼굴과 하나의 사물로 구성된 실험 이벤트를 보면서 여섯가지 맥락 부호화 과제를 수행하였다.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정보를 활용해 내측두엽의 세부 영역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였고 맥락 기억 과제별 기능적 신경연결성 네트워크를 탐색하였다. 일반선형화 모델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맥락정보를 처리할 때보다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을 연합할 때 내측두엽의 세부영역,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영역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활성화를 보이며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영역들과 내측두엽 영역이 맥락조건간 차이에 관여하는 기능적 연결성 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맥락부호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해마세부영역들과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등 간의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정보들을 다변량 패턴분석의 주요입력변수로 선정하였고, 기계학습을 통해 맥락 조건 간 연결성 패턴분류를 시도하였다. 네트워크 패턴분류에서도 시공간 맥락 조건과 각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처리 조건 간에는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화기억에서 특정 맥락을 처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특성과 맥락 조건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

다중신호레벨튜닝 기법을 사용한 Mode S 확장스퀴터 수신기의 복조부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e S Extended Squitter Demodulator with Multi-signal Level Tuning Method)

  • 신희성;윤준철;서종덕;최상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97-707
    • /
    • 2015
  • 본 논문은 CNS/ATM의 감시 기술 중 하나인 ADS-B 1090ES 시스템의 수신기 복조부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된 복조부는 국제 기술문서 RTCA DO-260B와 EUROCAE ED-129에서 요구하는 모든 성능을 만족하며, 수신감도, 다이내믹 레인지 등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기존에 다중 진폭 샘플 복조 방식 중 베이스라인 다중 샘플 기술을 적용한 단일신호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중신호레벨튜닝 기법을 제안하여 단일신호처리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송신출력 편차 및 수신기 하드웨어 제작 공정에 따른 균일하지 못한 수신 감도 레벨 차이에 대한 수신율 저하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측정 결과 제안된 기법을 적용한 수신기는 다이내믹 레인지 0~-87dBm의 성능과 MTL -90dBm이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ADS-B 1090ES 지상수신 장비의 국제 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기준보다 -3dBm 낮은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와 유사한 변조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널리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E.R.I. 수술법을 이용한 소건막류의 치료 (Treatment of Bunionette Deformity with S.E.R.I. (simple, effective, rapid, inexpensive) Operation)

  • 김선용;박광환;이진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the S.E.R.I. (simple, effective, rapid, inexpensive) operation for the bunionette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5 and February 2009, 22 patients (26 feet) who had been treated for the bunionette deformity with minimally invasive osteotom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ly,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shoes selectivity, disappearance of callus and patient's satisfaction level by Coughlin scoring system were evaluated. Radiologically, the bunionette was classified as four types according to the Fallat classification. The 4-5$^{th}$ intermetatarsal angle (4-5$^{th}$ IMA), the 5$^{th}$ metatarsophalangeal angle (5$^{th}$ MPA) and the length of 5th metatarsal bone (5$^{th}$ MTL) were analyzed at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 up visit. Results: VAS improved from $6.8{\pm}1.8$ points to $2.2{\pm}1.8$ points (p<0.05). AOFAS score improved from $54.0{\pm}14.2$ points to $90.0{\pm}4.8$ points (p<0.05). There was no change in shoes selectivity. 9 feet (34.6%) were satisfied with excellent results, 16 feet (61.5%) with good results and 1 foot (3.9%) with fair results. The average 4-5$^{th}$ IMA was corrected from $10.1{\pm}2.3^{\circ}$ to $4.4{\pm}1.7^{\circ}$ (p<0.05). The average 5$^{th}$ MPA was corrected from $11.5{\pm}8.6^{\circ}$ to $-0.1{\pm}4.1^{\circ}$ (p<0.05). The average 5$^{th}$ MTL was changed from $66.1{\pm}4.3$ millimeters to $64.1{\pm}4.4$ millimeters (p=0.069). There was no malunion, nonunion or delayed union and other peri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S.E.R.I. operation is less invasive and easy technique. This procedure is recommend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bunionette deformity.

크로스 토크를 갖는 통계적 전력선 채널 하에 MIMO-OFDM 광대역 전력선 통신 (MIMO-OFDM BPLC over Statistical Power Line Channels with Cross-Talk)

  • 유정화;최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565-157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응용 등을 타깃으로 한 3상 4선 전력선 채널상의 MIMO-OFDM 광대역 전력선 통신방식 (BPLC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을 검토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실제전력선 채널 환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확정적 페이딩 채널 모델 (Zimmennann 모델, MTL 모델 등) 대신 통계적 전력선 페이딩 채널 모델을 채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3상 4선식 전력선을 이용한 $2{\times}2$ MIMO 및 $3{\times}3$ MIMO 방식을 설계하며, 특별히 MIMO 채널 내 안테나 링크 간 크로스 토크의 유무에 따른 전송 용량 손실과 이에 의거한 시스템 성능 분석을 실시한다. 부반송파 간 주파수간섭을 줄여주기 위해 공간주파수 부호화 전송방식을 채택하며 전력선 채널에 적합한 최대비 합성법 (MRC maximum ratio combining)으로 다중 안테나 및 다중 경로 페이딩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펄스 잡음지수의 변화, 용량 손실 비율의 변화, 서로 다른 수신 신호 합성기법 (최대비 합성, 등가이득 합성, 선택적 함성)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비교분석한다.

Regulation of gastrointestinal hormones during laxative activity of gallotannin-enriched extract isolated from Galla Rhois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of SD rats

  • Kim, Ji Eun;Kang, Mi Ju;Choi, Jun Young;Park, Jin Ju;Lee, Mi Rim;Song, Bo Ram;Kim, Hye Ryeong;Park, Ji Won;Choi, Hyeon Jun;Bae, Su Ji;Hwang, Dae Youn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23-231
    • /
    • 2018
  • Regulation of gastrointestinal hormones have been reported in animal models for constipation undergoing laxative therapy when administered herbal products. We undertook to investigate whether the laxative activity of gallotannin-enriched extracts isolated from Galla Rhois (GEGR) affects the regulation of gastrointestinal hormones, by examining the concentration of four hormones and the activation of their receptors in the loperamide (Lop)-induced constipation model. Stool parameters, including number, weight and water content, were significantly recovered in the Lop+GEGR treated group, relative to the Lop+ vehicle treated group; however, foo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wer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Also, a similar recovery was detected for thickness of mucosa, muscle and flat luminal surface in the Lop+GEGR treated group. Furthermore, concentration of the four gastrointestinal hormones evaluated, namely, cholecystokinin (CCK), gastrin (GAS), somatostatin (SS) and motilin (MTL), were lower in the Lop+vehicle treated group than the No treated group, but were remarkably enhanced in the Lop+GEGR treated group. Moreover, the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of MTL and SS receptors were recovered after GEGR administrat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ndicate that the laxative effects of GEGR treatment may be tightly related with the regulation of gastrointestinal hormones in the Lopinduced constipation model.

DMNQ S-52, a new shikonin derivative, inhibits lymph node metastasis via inhibition of MMPs production

  • Lee, Soo-Jin;Kim, Sung-Hoo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283-293
    • /
    • 2005
  • Our previous study showed that a novel synthetic shikonin derivative, 6-(1-hydroxyimino-4-methylpentyl)5,8-dimethyoxy 1,4-naphthoquinone S-52 (DMNQ S-52) induced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ts anti-metastatic activities as compared with shikonin because DMNQ S-52 was synthesized for overcoming weak points of shikonin such as high toxicity, low solubility and deleterious effects. DMNQ S-52 showed the weaker cytotoxicity $(IC_{50};\;12.3{\pm}1.6\;{\mu}M)$ against Lewis lung carcinoma (LLC) cells than that of shikonin $(IC_{50};\;4.2{\pm}1.1\;{\mu}M)$. DMNQ S-52, at non-toxic concentrations $(less\;than\;10\;{\mu}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vasion and migration of LLC cells. DMNQ S-52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MP-9, MTl-MMP and uPAR. Moreover, daily i.p. administration of DMNQ S-52 at dose of 5 mg/kg in mice resulted in a potent inhibition of the primary tumor size of LLC in the lung as well as the metastasis of lymph nod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MNQ S-52 has therapeutic potential to inhibit metastasis via inhibition of MMP family and uPA/plasminogen system.

토양선충 Caenorhabditis elegans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발현을 이용한 시간에 다른 카드뮴의 독성영향 (Time-dependent Toxic Effects of Cadmium Chloride on the Stress-related Gene Expressi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Soil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 노지연;이정경;권혁두;최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1호
    • /
    • pp.11-16
    • /
    • 2008
  • 카드뮴은 환경과 인체 위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오염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선충인 Caenorhabditis elegans에 카드뮴을 12시간과 48시간으로 나누어 처리하여 시간에 따른 장, 단기적 독성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생리학적 수준으로 성장 및 생식을 조사하고, 분자수준에서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들의 시간에 따른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생식에서는 단기노출(12시간) 시 그 영향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mtl-2의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가 증가하였다 장기 노출(48시간) 시에는 cyp35a2, ape-1, sod-1, ctl-2 유전자가 대조군에 비해 약 $2{\sim}4$배 가량의 발현 증가 결과를 조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통해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고 민감한 생체지표가 된다는 것과 토양선충 C. elegans는 환경중 오염물질에 대한 장기, 단기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좋은 생물학적 모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외부 전자파에 의한 LAN 케이블의 유도전압 (Induced Voltages on LAN Cables Due to Incident Electromagnetic Fields)

  • 주재철;박범준;김종국;이현영;임계재;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19-726
    • /
    • 1999
  • 임의의 방향에서 입사하는 외부 전자파와 다중 전송선로와의 결합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다중 전송선 방 정식을 FDTD 기법으로 전개하고 선로에 유도되는 전압을 시율레이션하였다. 테스트 선로로는 Ethernet 방식 의 고속 LAN 구축시 사용되는 UTP Category 5 케이블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된 STP Category 5 케이블 을 사용하였다. TEM 생을 이용하여 유도전압을 측정한 실험결과와 시율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잘 일치함 을 확인하였다. 또한 차폐된 STP Category 5에 대해 차폐 호일의 접지상태 및 접지저항의 변화에 따른 차폐 효과를 비교한 결과, 차폐 호일의 양단을 모두 접지하고 접지저항을 작게 할 때 차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 났다

  • PDF

Genetic Diversity of Amylomyces rouxii from Ragi tapai in Java Island Based on Ribosomal Regions ITS1/ITS2 and D1/D2

  • Delva, Ega;Arisuryanti, Tuty;Ilmi, Miftahul
    • Mycobiology
    • /
    • 제50권2호
    • /
    • pp.132-141
    • /
    • 2022
  • Amylomyces rouxii is commonly found as amylolytic fungi in tapai fermentation. However, its diversity is rarely reported despite being often used for food production in Southeast Asia.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 rouxii from Ragi tapai in Java Island, Indonesia. We isolated the fungus from samples obtained from Ragi tapai producing centers in Bandung, Sumedang, Muntilan, Blora, Yogyakarta, and Bondowoso. The obtained isolates were molecularly identified based on the ribosomal regions ITS1/ITS2 and D1/D2, then analyzed for phylogenetic tree reconstruction, genetic distance, genetic variation, and haplotype networking. Six isolates showed specific morphological traits of A. rouxii. However, phylogenetic tree reconstruction on the ribosomal genes showed that the isolates were grouped into two different clades related to two species. Clade A included BDG, SMD, and MTL isolates related to A. rouxii, whereas clade B included YOG, BLR, and BDS isolates related to Mucor indicus. The genetic distances between clades for ITS1/ITS2 and D1/D2 were 0.6145 and 0.1556,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e genetic diversity of molds from Ragi tapai in Java Island and showed that the isolates are not only related to A. rouxii as reported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