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3T3-E1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Comamonas sp. Strain DJ-12로부터 Protocatechuate의 분해에 관여하는 pmcABCDEFT 유전자군의 구조 분석 (Structure Analysis of pmcABCDEFT Gene Cluster for Degradation of Protocatechuate from Comamonas sp. Strain DJ-12)

  • 강철희;이상만;이경;이동훈;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5-200
    • /
    • 2005
  • Comamonas sp. strain DJ-12의 pmcABCDEFT 유전자군은 protocatechuate (PCA)의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PCA 4,5-dioxygenase, 4-carboxy-2hydroxymuconic semialdehyde (CHMS) dehydrogenase, 2-pyrone04,5-dicarboxylate(PDC) hydrolase, 4-oxalomesaconate (OMA) hydratase, 그리고 4-oxalocitramalate (OCM) aldolase 등의 효소들을 생산하는 유전자들과 transporter의 역학을 하는 유전자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 유전자군은 Comamonas sp. strain DJ-12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얻은 PCR 산물들을 T-vector에 ligation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MT1, pMT2, pMT3, pMT4, pMT5, pMT6, pMT7, pMT8, pMT9, pMT10을 제조하였다. 이들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CA 4,5-dioxygenase 유전자는 alpha(pmcA)와 beta(pmcB) 두 개의 subunit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각각 450 bp와 870 bp이었다. CHMS dehydrogenase 유전자(pmcC)는 960 bp, PDC hydrolase 유전자(pmcD)는 918 bp이였으며, OMA hydratase 유전자(pmcE)는 1029 bp, OCM aldolase 유전자 (pmcF)는 689 bp, 그리고 transporter 유전자(pmcT)는 1,398 bp이였다. 이들 pmc 유전자들은 pmcT-pmcE-pmcF-pmcD-pmcA-pmcB-pmcC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었다. Comamonas sp. strain DJ-12의 pmcABCDEFT 유전자산물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Comamonas testosteroni BR6020 및 Psedomonas ochraceae NG.J1와 $94{\~}98\%$의 높은 유사성을 보였고, 그 유전자들의 배열 순서도 동일하였다. 그러나 Sphingomonas paucimobilis SYK-6, Sphingomonas sp. LB126, 그리고 Arthrobacter keyser 12B와는 아미노산 서열이 $52{\~}74\%$의 유사성을 보였고, 그 유전자의 배열 구조도 상이하였다.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mt-rGTH)에 의한 암컷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 (Maturation Induction by Manchurian Trout Recombinant Gonadotropin Hormone (mt-rGTH) in Femal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박우동;손영창;배준영;윤성종;손맹현;고바야시 마키토;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61-266
    • /
    • 2008
  • 연어과 어류인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r-mtFSH 또는 r-mtLH) 투여에 따른 암컷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성성숙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양식산 암컷 뱀장어를 해수에 적응시킨 후 매주 복강에 재조합 호르몬을 농도별(0.1, 1, 10 ${\mu}g/m{\ell}$/fish)로 10주 반복 주사하였다. 매주 증체중을 측정하였고, 생식소중량지수 [GSI;(생식소중량/체중량$\times$100]와 혈중 성호르몬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GSI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구에서 혈중 testosterone (T)과 estradiol-17$\beta$(E2)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지만, 재조합 호르몬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투여2주와 4주 후에 T와 E2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mt-rFSH(1, 10 ${\mu}g/m{\ell}$/fish) 또는 mt-rLH(0.1, 1, 10 ${\mu}g/m{\ell}$/fish)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난경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목어 재조합 생식선자극호르몬이 암컷 뱀장어의 초기 난성숙 발달을 유도함을 시사한다.

  • PDF

Infection with Citrobacter rodentium in μMT Knockout Mice

  • Jo, Minjeong;Hwang, Soonjae;Rhee, Ki-J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8
  • ${\mu}MT$ knockout mice are genetically deficient in the transmembrane domain of mu chain of the immunoglobulin M (IgM) heavy chain, resulting in the absence of mature B cells. ${\mu}MT$ knockout mice is an in vivo model system used to clarify the role of B cells in various diseases.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PEC) induces acute and chronic diarrheal disease, especially in children of developing countries. The formation of attaching and effacing (A/E) lesion is a prominent pathogenic factor in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EPEC infection. The A/E lesion is modulated by genes located on the pathogenic island locus of enterocyte effacement (LEE) which encode a type III secretion system (T3SS) and A/E lesion-related effector proteins. Citrobacter rodentium is a murine pathogen utilized in studying the pathogenic mechanisms of EPEC in human infections. Citrobacter rodentium produce A/E lesion to attach to intestinal epithelium, thus providing a murine model pathogen to study EPEC.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athogenesis of Citrobacter rodentium in the ${\mu}MT$ knockout mice.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mu}MT$ murine model in the context of C. rodentium pathogenesis and describe in detail the role of B cells and antibodies in this disease.

Effects Of Grass/Legume Pasture on Forage Production, Forage Nutritive Values and Live Weight Gain of the Grazing Heifer

  • Seo, Sung;Lee, J.K.;Shin, D.E.;Chung, E.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289-292
    • /
    • 1997
  • A grazing trial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grass/legume pastures on forage production, legume proportion, nutritive value, and animal performance. The pasture mixtures were mainly orchardgrass (OG) + ladino clover (T1), OG + alfalfa (T2), perennial ryegrass + alfalfa (T3), and grass alone mainly OG (T4). The pastures were rotationally grazed 7 times with heifers which had an initial liveweight of about 243 kg in 1991 and 1992. The average plant height at each grazing was 32.4 cm. The annual dry matter yield ranged from 9.19 MT in T4 to 9.61 MT/ha in T3,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mixture combinations was found. The proportion of ladino clover in T1 mixtures rapidly increased from 21% to 68% during the grazing season. However, the proportion of alfalfa in T2 and T3 ranged from 12% to 23%.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alcium, respectively, in the forages were highest in T1 (23.2%, 0.68%) and lowest in T4 (18.5%, 0.13%), while crude fiber content showed the opposite trends. Liveweight gain was greatest on T1 (1.073 kg) and lowest on T4 (643 kg). It was concluded that pasture mixtures containing legume (ladino clover) can increase forage nutritive value and animal performance.

녹비작물재배후 플라스틱필름 멀칭에 따른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방제 및 수량특성 변화 (Effect of Soil Mulching after Green Manual Crops on Control of Common Scab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all Potato)

  • 송창길;강봉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9-109
    • /
    • 2000
  • 제주지방에서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방제 및 수량증대를 위해 전작물로 녹비작물(콩, clover, pioneer, orchardgrass)을 '98년 5월 21일부터 7월 28일까지 재배하여 생육최성기에 파쇄, 경운하고 P.E 투명필름(0.01mm)으로 멀칭후 터널 설치, 태양열 토양소독을 실시한 포장에 가을감자를 재배하여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작물로 재배한 청예수량은 pioneer BSSF(64.3MT/ha)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콩((25.0MT/ha), clover, orchardgrass 순이었다. P.E 필름멀칭+터널설치중의 상승한 평균지온은 토양깊이 5cm에서 54$^{\circ}C$, 10cm에서 45$^{\circ}C$, 20cm에서 44$^{\circ}C$였다. 콩, red clover 재배구가 비닐멀칭에 의한 토양소독효과로 인하여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발병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초장, 엽록소함량치, 지상부생체중, 괴경수량 등의 생육형질은 녹비작물재배 및 비닐멀칭처리에 의해 양호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콩, red clover, pioneer 855F 재배후 감자재배구가 괴경수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을감자 지상부 및 괴경 중의 T-N, K, Ca함량도 녹비작물재배 및 P.E 필름멀칭에 의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토양중의 T-N, 유기물함량, K함량은 녹비작물재배 및 P.E 필름멀칭후에 높아졌다가 가을감자 수확후에는 시험시작전 토양의 상태로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 PDF

기계적 자극이 MC3T3-EI 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chanical Stress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MC3T3-E1 Cells)

  • 배성민;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1-299
    • /
    • 1996
  • 교정력은 치아이동과 악골성장을 조절하는 기계적 자극이며, 이러한 기계적 자극에 골세포가 반응하므로써 치조골과 악골의 개조가 일어난다. 이러한 기계적 자극은 크게 압축력과 인장력으로 대별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장력 및 압축력의 서로다른 기계적자극이 세포활성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골세포주 MC3T3-E1 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well당 $2{\times}10^4$개의 세포를 넣어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때 Diaphragm pump을 사용하여, $25g/cm^2$$300g/cm^2$의 압축력과 $-25g/cm^2$$-300g/cm^2$의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가하였다. 배양한 후 각각 4일, 6일, 10일, 14일, 18일, 20일째에 ALP활성을 측정한 결과 같은 크기의 압력에서는 인장력에 비해 압축력을 가한 경우에서 ALP활성도가 증가되었으나, 세포는 기계적 자극의 양상 즉 압축력과 인장력을 구별하여 다르게 반응을 하지는 않는 것 같았다. 인장력과 압축력 모두에서 ALP활성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군 수준으로 돌아왔다. 이는 기계적 자극은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왕성한 시기에 세포활성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압축력과 인장력에 관계없이 기계적 자극의 양이 클수록 ALP활성도의 최고치 도달시간이 지연되어, 기계적 자극의 세기는 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ytoskeletal Patterns, In Vitro Maturation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 of Rabbit GV Oocytes

  • Ju, J.C.;Chen, T.H.;Tseng, J.K.;Tsay, C.;Yeh, S.P.;Chou, P.C.;Chen, C.H.;Liu, C.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695-1701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ptimize the in vitro maturation (IVM) and culture (IVC) systems of rabbit oocytes. Cytoskeletal structures in the germinal vesicle stage (GV) and during IVM are also investigated. Ovaries were transported from local slaughterhouses and th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collected from ovarian follicles (${\geq}1mm$). COC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CM199-based medium ($T_1$, TCM-199) supplemented with $NaHCO_3$, glucose, sodium pyruvate and FSH ($T_2$), $T_2+E_2+LH$ ($T_3$), $T_3+FBS$ ($T_4$), or $T_1+E_2+LH+FSH+FBS$ ($T_5$), for IVM. In Experiment 1, COCs were retrieved from the follicles and 51 GV oocytes were fixed in the fixative (MTSB-XF) for nuclear and cytoplasmic examinations. In Experiment 2, progressive changes of both the nucleus and the cytoskeleton were examined at 0, 6, 16, and 20 h after IVM. Maturation (MR) and developmental rates were assessed in Experiment 3. Cytoplasmic microtubules (MT) were clearly observed in rabbit GV oocyt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describes the appearance of MT structures in the GV stage ooplasm. Tremendous variations in cytoskeletal alteration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vitelline ring (VR), which is constantly visible and unchanged during maturati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does not occur at 6 h after onset of maturation culture. When the oocytes for IVM were collected within 2 h, results from Experiment 3 showed that rates of nuclear maturation were 42, 8, 42, 37 and 65% at 16 h of IVM for $T_1$ through $T_5$, respectively, in which $T_1$, $T_4$ and $T_5$ had significantly greater MR than those in other groups (p<0.05). Morula/blastocyst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ranged from 20 to 63% with significantly greater rates in $T_3$, $T_4$ and $T_5$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ocytes recovered from slaughterhouse ovaries can be matured and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in vitro, but the MR remained low in this study. Addition of $E_2$ and LH in the medium may be beneficial for cytoplasmic maturation, but FBS exerts a nega- tive role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s when energy substrates are provided in the IVC media.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improving the MR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GV stage rabbit oocytes.

한국 근해 참조기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Small Yellow Croker in Korean Waters)

  • 강창익;김수암;윤성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2-290
    • /
    • 1992
  • 한국근해 참조기의 지난 20여년 동안의 어획자료를 사용하여 잉여생산량 모델에 의해 추정된 MSY를 비교하여 보면, Shaefer와 Fox 모델에 의하여 추정된 값들은 각각 37,000mt와 33,450mt였고, Zhang 모델에 의하여 자원량과 순간어획사망계수를 적용시킨 MSY는 45,328mt, 자원량과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40,160mt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 현상은 이 모델들이 각기 독립된 다른 자료를 이용하여 MSY를 추정하였으나, 추정된 값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참조기자원을 가입당생산량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를 사용하여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해 보면, 가능한 최대 가입당 생산량이 43g임에 비하여 현재의 $t_c=0.604, F=1.11$에서의 가입당생산량은 약 20g정도에 불과하다 여기서 $t_c$를 현재 상태로 고정시킨 후. 가입당생산량을 높이는 방안을 생각해 보면, F를 현재의 1.11에서 0.4 정도로 낮추어야 하나, 가입당생산량의 큰 증가는 없다. 즉, 현재의 20g에서 25g밖에 증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의 어획강도(F)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t_c$를 현재의 0.604세에서 3세 부근으로 조정하면 최대의 가입당생산량(43g)을 얻을 수 있고, 이 $t_c$ 값은 역시 $F_{0.1}$, 방법에서 추정된 적정어획체장을 연령으로 환산한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Zhang모델을 이용한 자원의 회복 방안에서 참조기 자원의 최대생산가능 자원량$(B^*_{MSY})$를 유지시키려면 F를 약 0.5 수준으로 낮추어야 하고. 이 수준에서 약 8년 뒤에는 자원량이 적정 수준에 거의 접근하게 된다.-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와 온도에 대해서 복상어의 trypsin은 고등어의 두 trypsin보다 알칼리성측과 고온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저해제에 의하여서는 복상어 trypsin이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또한 BA-p-NA 합성기질에 대한 친화성에 있어서는 고등어의 두 trypsin이 복상어의 trypsin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 아미노산 조성은 세 효소 모두 비슷하였으나, 고등어 trypsin B의 경우 arginine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산성아미노산과 염기성아미노산의 비는 복상어 trypsin이 3.57, 고등어 trypsin A는 3.36, 그리고 고등어 trypsin B는 2.23이었다./TEX>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으며, 그 저해의 정도는 고등어 trypsin-A와 B가 보다 심하게 받았다. 또 이들 효소들은 antipain, leupeptin, TLCK(to-syllysine chloromethyl ketone) 및 SBTI(soybean trypsin inhibitor)에 의하여 현저한 저해를 받았고, PMSF(phenylmethane sulfonylfluoride), DFP(diisopropyl fluorophosphate) 및 benzamidine에 의하여 어느정도 저해를 보여 모두 serine-계의

  • PDF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1. 생육특성 및 생초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1. Growth Characteristics and Fresh Matter Yield)

  • 김원호;서성;정의수;신동은;박태일;고종민;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8
    • /
    • 2002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경기 수원(축산연), 전북익산(호시), 경남 밀양(영시)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수원지역 보리의 출수기는 4월 30일에서 5월 4일까지고 익산지역은 4월 24일에서 5월 3일 그리고 밀양지역은 4월 17일에서 29일까지였다. 그리고 황숙기 수확시 생초수량은 수원, 익산 그리고 밀양에서 각각 24.07∼29.88, 23.18∼32.07 그리고 17.16∼28.11톤/㏊ 범위였다.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도 각각 8.78∼9.98, 6.66∼12.73 그리고 7.23∼11.57톤/㏊ 범위였다.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백서의 심근병증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N CARDIOMYOPATHY IN EXPERIMENTALLY INDUCED DIABETIC RATS)

  • 안진수;이재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488-499
    • /
    • 1996
  • Diabetes mellitus revealed a chronic disorder of lipid, carbohydrate and protein metabolism characterized by insulin deficiency, and a striking tendency toward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icroangiopathy, nephropathy, neuropathy and recently cardiomyopathy etc. The mechanism of heart failure in patients with diabetic cardiomyopathy is not clear but diabetic cardiomyopathy usually occurs in persons with long standing diabetes. After diabetes induced in made Sprague- Dawley strain rats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60mg/kg), cardiac tissue with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was examined at 3 days, 1, 2, 4, 6 weeks later under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H&E stain of control group, myocardiac cells were shorter than skeletal muscle cell, which was branched out and connected each other at terminal with striation, intercalated disk and nucleus at center of cell. 2. In MT stain of control group, a few of collagen fibrile were seen at periva scular interstium, but wasn't seen between skeletal muscle fiber, and cardiac muscle was seen in various size. 3. In MT stain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llagen fiber deposition at perivascular interstiums were seen periodically. 4. In MT stain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llagen fiber deposition at interstitial matrix between perimyocardiac cells were seen at 3 day, 4 weeks and 6 weeks after DM induction. 5. In H&E stain of experimental group, partial degeneration of myocardiac cells was seen after 4 weeks of DM induction. From above results,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increased collagen around perivascular and between intercellular matrix in hea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