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VAR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2초

UHPLC-ESI-qTOF-MS Analysis of Cyclopeptide Alkaloids in the Seeds of Ziziphus jujuba var. spinosa

  • Kang, Kyo Bin;Jang, Dae Sik;Kim, Jinwoong;Sung, Sang Hyu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7권2호
    • /
    • pp.45-49
    • /
    • 2016
  • An UHPLC-ESI-qTOF-MS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cyclopeptide alkaloids in the seeds of Ziziphus jujuba var. spinosa (Semen Ziziphi Spinosae), which is a commonly used herb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Considering the basicity of cyclopeptide alkaloids, a specific separ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an UHPLC system. The compounds were detected by DAD and ESI-qTOF-MS, and their fragmentation patterns were also acquired by MSE technologies. Peak-picking of major compounds was performed with nine previously isolated compounds and two reference standard compounds. Tandem MS fragmentation behaviors of type-Ia and -Ib cyclopeptide alkaloids were investigated with the acquired data to develop a strategy for dereplication of other cyclopeptide alkaloid compounds in Z. jujuba var. spinosa. Two more cyclopeptide alkaloi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with UHPLC-ESI-qTOF-MS using this metho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와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제주산 민트 에센셜오일 성분 분석 (Analysis of Mint Essential Oils from Jeju Island, Kore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현호봉;부경환;강혜림;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75-181
    • /
    • 2015
  • 제주에서 생산된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3종으로 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와 headspace-GC-MS (HS-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결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각각에서 1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intensity를 기초로 보았을 때, 페퍼민트에서는 peperitenone oxide, 스피아민트에서는 carvone과 limonene, 오데코롱민트에서는 linalool이 주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HS-GC-MS 분석에서는 GC-MS와 비교하였을 때 alcohol과 acetat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고, 검출되는 성분의 수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피아민트와 오데코롱민트의 주 화합물은 GC-MS에서 검출된 것과 같았고, 페퍼민트에서만 GC-MS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던 menthol이 주요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오데코롱민트 에센셜 오일에서 linalyl acetate와 linalool의 함량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MS-VAR 모형을 이용한 글로벌 경기변동의 동조화 및 구조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ovements and Structural Changes of Global Business Cycles using MS-VAR models)

  • 이경희;김경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3호
    • /
    • pp.1-22
    • /
    • 2016
  • 본 연구는 MS-VAR 모형을 이용하여 1971년 1분기부터 2016년 1분기까지 분기별 실질 GDP의 국제적 동조화 및 구조적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질 GDP에서 모형 또는 개별 시계열에서 발생되는 경기변동현상은 마코프 국면전환 분석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국가별 실질 GDP를 이용한 MS-VAR 모형의 동조성과 비대칭성을 현저하게 보여 주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을지라도 MS-VAR 모형에서 글로벌 오일쇼크위기가 끝나는 1988년 2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7년 3분기 등에서 경기수축국면(불경기)이 나타나는 구조적 변화가 현저하게 존재하였다. 1988년 2분기 전의 경우 독일과 일본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국과 일본, 미국과 독일, 한국과 미국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후에는 미국과 독일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 미국과 캐나다, 독일과 캐나다, 한국과 일본 등의 순으로 높았다. 셋째, 경기확장과 경기수축국면은 동시적으로 국가간에 대규모로 구조적 변화를 발생시켰다. 1973년과 1974년의 1차의 글로벌 오일쇼크 이후에 동시에 발생한 2차의 전세계 오일쇼크가 대규모의 국제적 실질 GDP의 동조화를 일으킨 주요 원인이었다. 또한 이용되는 G7 국가들이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아시아의 외환위기 동안에 한국과 관련된 동조화가 미약하게 나타났을지라도 글로벌 금융위기기간인 2007년 말에는 한국과 G7 국가간에 현저한 동조화를 나타내었다. 넷째, 실질 GDP를 이용한 국면전환과 더불어 1973년 이후는 국가별로 발생하는 고유의 충격으로 인해 동시적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론은 이용가능한 많은 이론적 및 실증적 증거와 일치하였으며, 과거 30년의 거시경제적 변동은 주로 전세계적인 충격에 의해 발생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글로벌 경기변동은 대규모의 비대칭적 충격이 일반적 변동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할 지라도,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별 고유의 충격으로 인한 주요 국제적 동조화 및 구조적 변화를 보여 주었다.

  • PDF

生長點 培養에 依한 민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의 器內 大量 增殖 및 土壤 活着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Soil Adjastment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rough Apical Meristem Culture)

  • 정우규;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1-179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each stage in apical meristem culture for mass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e source material, shoot tip segments were taken from three-years old graft trees.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vitro on basal MS, GD, WS, half strength MS(1/2MS) and half strength GD(1/2GD)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or growth regulators(BA, IBA) and inorganic nutrients.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1. In culture establishment stage, ratio of culture establishment was 96.7% and the best resuit was obtained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2. In shoot multitication stage, both shoot multiplication and growth were achieved in average 5.6cm. These results were obtained on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3. In roothing stage, phloroglucinol(PG) acted as IBA synergist in root initiation. The most faverable combinations for root development was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62mg/l PG and 0.2mg/l IBA, and ratio of rooting was 58.0%. 4. In Vitro form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aper pots in greenhouse with 85% of relative humidity. 96% of survival rate was obtained from artificial soil mix having same volume of sand, vermiculite, peat, and soil.

  • PDF

한국산(韓國産) 부자류(附子類) 생약(生藥)에 관한 연구( IV. )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의 diterpene alkaloid에 대하여- (Studies on Korean Aconitum Species ( IV ). -Alkaloids of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 정보섭;이현선
    • 생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1-187
    • /
    • 1988
  • $Two\;C_{19}-diterpene\;alkaloids$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conitum psedolaeve var. erectum Nakai, and identified as lycoctonine and septentriodine by UV, IR, MS and NMR data.

  • PDF

희귀 수종 시로미의 액아줄기 유도 미세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Tree Species,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 via Axillary Bud Culture)

  • 한무석;박소영;문흥규;강영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68-572
    • /
    • 2010
  • 희귀수종 시로미(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K. Koch.)의 기내증식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당년생 신초를 재료로 증식에 미치는 배지염류, 싸이토키닌 효과와 기내발근에 미치는 배지 및 오옥신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액아 마디로부터의 줄기 유도는 WPM 배지가 MS 배지보다 양호한 반응을 나타냈다. WPM 배지의 염류농도에 따른 줄기유도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본배지에서 비교적 건전한 줄기가 유도되었다. 다경 유도에는 zeatin이 BA보다 효과적인 반면에 줄기 생장은 BA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식된 줄기로부터 기내 발근은 1/2MS 배지보다는 WPM 배지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0 mg/L IBA 처리 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발근묘는 인공 배양토에서 4 주후 93% 이상이 활착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희귀종 시로미의 기내배양을 통한 증식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LC/MS-based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the Bark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Their Effects on Regulation of Adipocyte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 Baek, Su Cheol;Choi, Eunyong;Eom, Hee Jeong;Jo, Mun Seok;Kim, Sil;So, Hae Min;Kim, Seon-Hee;Kang, Ki Sung;Kim, Ki 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235-240
    • /
    • 2018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Betulaceae), also known as Asian white birch, is an endemic medicinal tree, the bark of which has been used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In our continuing search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Korean natural resources, a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bark of B. platyphylla var. japonica led to the isolation of 7-oxo-${\beta}$-sitosterol (1) and soyacerebroside I (2) from its ethanol extract as main components by liquid chromatography (LC)/mass spectrometry (MS)-based analysis. The structures of isolate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of $^1H$ and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data and physical data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s and LC/MS analys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the isolated compounds, 7-oxo-${\beta}$-sitosterol and soyacerebroside I, were isolated in B. platyphylla var. japonica.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solates on the regulation of adipocytes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ese isolates (1 and 2) produced fewer lipid droplets compared to the untreated negative control in Oil Red O staining of the mouse mesenchymal stem cell line without altering the amount of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oth compounds showed marginal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but did not affect osteoblast differentiation.

Effective in Vitro Propagation by Bulb Scale Segments Culture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 Ko Jeong-Ae;Choi Jeong-Ran;Xudong He;Kim Hyun-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2-435
    • /
    • 2006
  • A rapid and mass propagation method for multiple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bulb scale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were developed. In vitro different parts of bulb scale as explants were cultured on 11 kinds of MS (1962)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to induce shoot and callus. A combination of 2.0 mg/L 6-BA and 2.0 mg/L IBA on MS medium was the most favorable and induced the highest production (80%) of shoot formation after 30 days. We also found that the middle part of bulb scale was the best for mass propag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of which production could reach 64.4%.

꿩고비(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기내 포자체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부위와 배지구성물질 (Effect of explant parts and medium components on in vitro regeneration in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 권혁준;신소림;이철희;김수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48-453
    • /
    • 2017
  • 본 연구는 꿩고비 포자체의 기내증식을 위한 배양재료 및 배지 구성물질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자체의 유묘를 부위별로 나누어 활성탄 0.1%를 첨가한 1/2MS 배지에 다져서 배양한 결과, 근경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우수하였다. 곱게 다진 근경을 농도를 달리한 MS 배지에 배양한 결과, 1/8MS 배지에서 포자체 형성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2MS 배지에서는 배양한 절편이 모두 괴사하였다. 상기의 연구를 토대로 1/8MS 배지에 sucrose와 $NaH_2PO_4$의 농도를 조절하여 배양한 결과 sucrose 2%, $NaH_2PO_4\;50mg{\cdot}L^{-1}$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활성탄 0.1%를 포함한 변형 1/8MS 배지(sucrose 2%, $NaH_2PO_4\;50mg{\cdot}L^{-1}$, agar 0.8%, pH 5.8)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소엽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및 향신료로서의 관능적 평가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nd Sensory Evaluation as Natural Spice)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5
    • /
    • 2000
  • 건조된 소엽의 정유를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24가지의 휘발성 향미성분이 확인되었다. 탄화수소류는 4종, 알데히드류는 전체 peak area의 19.95%로 3종이 확인되었다. 알콜류 8종, 산류 3종, 에스터류 4종 및 기타 2종 확인되었다. 소엽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L-perillaldehyde로 여겨진다. 소엽가루가 누린내 및 비린내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 하였다. 소엽을 0.05%,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돼지고기대조군과 후추 0.1%첨가군에 비하여 돼지고기의 누린내가 감소되었다. 소엽의 독특한 향기는 0.2% 첨가하였을 때 가장 강하였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3가지 소엽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닭고기대조군에 비하여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05%, 0.1% 및 0.2%첨가군에서 닭고기의 누린내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닭고기에 소엽을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향이 강하게 감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는 후추 0.1%첨가군과 3가지 소엽첨가군 모두 좋게 평가되었다. 고등어의 비린내는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2%첨가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소엽 0.1%첨가군도 고등어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소엽을 첨가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