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I reconstruc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초

우리나라의 종양성형학적 유방암 수술에 대한 최신 동향 (Recent Perspectives on Oncoplastic Breast Surgery in Korea)

  • 강태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63-569
    • /
    • 2020
  •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종양성형학적 수술이란 종양학적 안정성과 성형적 만족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수술을 일컫는 용어이다. 처음 시작한 서양에서는 적은 절개나 절제, 미세침습수술을 지향하기 보다 유방축소술을 기본으로 제거될 조직에 병변을 포함하도록 계획한다. 충분한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 절제연에 대한 고민, 수술 중 병리 검사의 필요성 등도 줄면서 종양학적 안전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개개인의 체형에 대한 병변의 종양학적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최소 절제 비율에 따라 전위 또는 보충으로 나뉘게 된다. 환자의 기본 체형은 인종적인 영향을 받는 유방암의 특징으로, 유럽,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평균 크기가 대개 36D(600 ㎤) 이상으로, 유방고정술이나 유방축소술이 주로 사용되고, 성형 측면의 최대 목표인 대칭을 위해서는 반대측 유방의 축소도 흔히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대학교병원 유방암 환자 671명의 평균 분포를 분석해 본 결과, 평균은 33A (75%, <35B)로, 대략 체적은 300 ㎤ (75%, <400 ㎤)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서양과는 다른 수술법이 선택될 수 밖에 없다. 수술 전 MRI를 이용한 범위의 확인을 통한 대상 선정과 함께 초음파와 피부 표식을 이용한 정확한 절제 범위의 계획도 중요하다. 병리적 판독 기준도 절제연 음성이면 종양학적 안정성에 충분하다는 것으로 관점이 바뀐 것은 보존 수술에 유리한 측면이 된다. 동결절편검사는 여전히 고급 전문 인력,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고 있어 편리하고 안전한 병변의 절제에 도움이 될 만한 새로운 방법들이 필요하여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최근 연구로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margin probe, 형광 색소를 결합한 Aqueous Quantum-Dot-Molecular Probes 등을 들 수 있다. 합병증 측면에서 박리 면적이 늘어나는 종양성형학적 수술의 단점을 보강할 수 있는 최근 기술로 초음파 에너지 기구들이 유용하고, 수술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혈종이나 장액 저류의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과 흡사한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증 -1l례 보고 -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Mimicking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 최재성;곽재건;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0-34
    • /
    • 2003
  • 급성 대동맥 박리증과 대동맥 침투성 궤양은 근내혈종과 함께 급성 대동맥 증후군을 구성하는 치명적 질환이나 그 병태생리와 자연경과가 다르고 치료전략이 다를 수 있어 정확한 감별진단을 요한다. 그러나 서로 임상양상이 비슷하고 초음파나 CT, MRI등의 진단방법으로도 명확히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는 약 10년간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71세 여자로 내원 3일전에 갑자기 시작된 전흉부 통증 및 오심, 구토를 주소로 입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내막박리편은 보이지 않았으며, 상행대동맥 및 무명동맥간, 대동맥궁, 하행 흉부대동맥에 걸친 근내혈종(intramural hematoma)과 양측성 혈흉 및 혈성 심낭삼출 소견이 보였고, 무명 동맥간의 하방 약 1 cm 거리에 상행대동맥의 앞쪽으로 국소적인 궤양소견이 보여 상행대동맥에 생긴 침투성 궤양 및 이로인한 대동맥 파열로 진단하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수술장 소견에서는 무명동맥 기시부 하방 1cm 정도에 약 0.5cm크기로 내막이 찢어져 있었고 외막을 열고 오래된 혈종을 제거하니 거의 폐쇄되어있던 가성내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내막 파열 부위와 교통하였다. 이처럼 대동맥 박리증이 침투성 궤양과 흡사한 임상양상 및 진단 소견을 보일 수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전 절제술로 치료한 근위 비골의 거대 세포종 (Giant Cell Tumor of the Proximal Fibula Treated by En Bloc Resection)

  • 서정탁;최성종;김영균;김정일;김휘택;유총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0-205
    • /
    • 2003
  • 목적: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환자 5명에 대한 임상 양상,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관찰(평균 2.2년: 1.1~5년)이 가능하였던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 단순 방사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 검사, 핵의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비골 신경을 보존하면서 일괄 절제술 및 대퇴 이두근을 이용한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진찰 소견으로 국소 재발의 유무를 판단하였으며 내반 스트레스 검사로 슬관절 외측 불안정을 측정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23세(21~29세)였으며 남자 1예, 여자 4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병변부의 동통이 주증상이었으며 2예에서는 종물이 촉지되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 자기 공 명 영상 검사상 T1 강조영상에서 병변내의 저 신호 강도와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 강도를 보였고, Technetium-99 m을 이용한 골주사 검사상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골섭취 소견이 관찰되었다. 1예에서 수술 후 일시적 비골 신경 마비를 보인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예에서 비골 신경 마비 및 종양의 국소 재발은 보이지 않았다. 최종 추시 관찰시 5예중 1예에서 다소의 외측 불안성이 있었으나 기능상 문제가 없었으며 나머지 4예에서는 내반 스트레스 검사상 안정성을 보였다. 결론: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은 비골 신경을 보존하면서 일괄 절제술 및 대퇴 이두근을 이용한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보존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Preservation of the Remnant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안진환;하권익;정윤성;양일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7-104
    • /
    • 2000
  • 목적 : 대부분의 후방 십자 인대 부전시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이 남아 있어 골-슬개건-골 이식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할 때 이식물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이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 인대의 경골 터널을 정확히 만들고,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유지하면서 관절경 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1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저자에 의해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실시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44례 중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31.8세(최저 14세, 최고 56세)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7.8개월(최단 12개월, 최장 61개월)이었다. 이식물로 이중 고리 자가 슬괵건 29례, 이중 고리 동종 슬괵건 4례, 동종 아킬레스 건-골 이식 4례가 이용되었다. 결과 : 술전 보였던 주관적 증상은 많이 소실되었으며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60.4, 술 후 평균 88.1로, KT 관절계 검사는 술 전 평균 11.0mm, 술 후 평균 2.3mm로 향상되었다. 술 후 시행한 자기공명촬영술상 이식물은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조직과 하나의 인대로 유합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경골 터널을 만들 수 있으며,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은 이식물과 함께 치유되어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만성 족관절 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Brostr{\ddot{o}}m$ 변형 술식 (The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송하헌;심대무;이병창;김동철;조용우;양정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8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gical results of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and to assess whether or not associated injuries may affect postoperative satisfa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patients with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from August 1998 to March 2002. Average age was 29.3 years. All patients were performed pre & postoperative ankl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 stress anterior drawer and varus test using Telos device, MRI and intraoperative arthroscopic evaluations before ligament reconstruction. Results: Of the 24 cases, 23 cases was improved more than average 12 points on AOFAS scales. On modified scales of Hamilton, 3 excellent, 20 good, 1 fair results. On stress view, average 2.2 mm difference was improved on anterior drawer test and average 1.7 degree on varus test. Associated injuries were 8 osteochondral defects, 4 anterior impingements, 2 loose bodies, 2 os subfibulare, 2 os submalleolare and 2 partial ruptures of peroneus brevis. 8 cases with no associated injuries rated excellent or good. Conclusion: The modified $Brostr{\ddot{o}}m$ procedure is believed to be an effective and successful method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that didn't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Because associated injuries in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ay affect postoperative satisfaction, appropriate detection and treatment may need for postoperative satisfaction.

  • PDF

정복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의 드문 예: 내측광근의 단추구멍손상 - 증례 보고 - (A Rare Case of Irreducible Knee Dislocation: Vastus Medialis Obliqus-Buttonholing of Medial Femoral Condyle - A Case Report -)

  • 김형수;박승림;강준순;이우형;김기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4
    • /
    • 2001
  • 정복되지 않는 슬관절 탈구 중 내측 광근에 의한 단추구멍 손상에 의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이에 대한 신속한 정복이 지연된 슬관절 탈구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저자들은 슬부의 후외방 전위와 대퇴골 내과의 돌출을 보이는 환자를 자기 공명 영상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해 관절 절개술을 이용하여 정복술 및 양측 십자인대 복원술로 치료한 환자를 경험하였다. 술후 10개월에 환자는 경도의 후방 불안정이 있었으나 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 PDF

MREIT of Postmortem Swine Legs using Carbon-hydrogel Electrodes

  • Minhas, Atul S.;Jeong, Woo-Chul;Kim, Young-Tae;Kim, Hyung-Joong;Lee, Tae-Hwi;Woo, Eung-Je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36-442
    • /
    • 2008
  •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MREIT) has been suggested to produce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of a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such as the human body. In most previous studies, recessed electrodes have been used to inject imaging currents into the object. An MRI scanner was used to capture induced magnetic flux density data inside the object and a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was applied to the data. This paper reports the performance of a thin and flexible carbon-hydrogel electrode that replaces the bulky and rigid recessed electrode in previous studies. The new carbon-hydrogel electrode produces a negligible amount of artifacts in MR and conductivity images and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e can fabricate the electrode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Adding a layer of conductive adhesive, we can easily attach the electrode on an irregular surface with an excellent contact. Using a pair of carbon-hydrogel electrodes with a large contact area, we may inject an imaging current with increased amplitude primarily due to a reduced average current density underneath the electrodes. Before we apply the new electrode to a human subject, we evaluated its performance by conducting MREIT imaging experiments of five swine legs. Reconstructed conductivity images of the swine legs show a good contrast among different muscles and bones. We suggest a future study of human experiments using the carbon-hydrogel electrode following the guideline proposed in this paper.

핵의학 영상기기의 최근 진보 (Recent Advances in Nuclear Medicine Imaging Instrumentation)

  • 정진호;최용;홍기조;민병준;호위;강지훈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2호
    • /
    • pp.98-111
    • /
    • 2008
  • This review introduces advances in clinical and pre-clinic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providing noninvasive functional images of biological processes. Development of new collimation techniques such as multi-pinhole and slit-slat collimators permits the improvement of system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SPECT. Application specific SPECT systems using smaller and compact solid-state detector have been customized for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with higher performance. Combined SPECT/CT providing improved diagnostic and functional capabilities has been introduced. Advances in PET and CT instrumentation have been incorporated in the PET/CT design that provide the metabolic information from PET superimposed on the anatomic information from CT. Improvements in the sensitivity of PET have achieved by the fully 3D acquisition with no septa and the extension of axial field-of-view. With the development of faster scintillation crystals and electronics, time-of-flight (TOF) PET is now commercially available allowing the increase in the signal-to-noise ratio by incorporation of TOF information into the PET reconstruction process. Hybrid PET/SPECT/CT systems has become commercially available for molecular imaging in small animal models. The pre-clinical systems have improved spatial resolution using depth-of-interaction measurement and new collimators. The recent works on solid state detector and dual modality nuclear medicine instrumentations incorporating MRI and optical imagers will also be discussed.

Chemical Shift Artifact Correction in MREIT

  • Minhas, Atul S.;Kim, Young-Tae;Jeong, Woo-Chul;Kim, Hyung-Joong;Lee, Soo-Yeol;Woo, Eung-Je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1-468
    • /
    • 2009
  •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enables us to perform high-resolution conductivity imaging of an electrically conducting object. Injecting low-frequency current through a pair of surface electrodes, we measure an induced magnetic flux density using an MRI scanner and this requires a sophisticated MR phase imaging method. Applying a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to measured magnetic flux density data subject to multiple injection currents, we can produce multi-slice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When there exists a local region of fat, the well-known chemical shift phenomenon produces misalignments of pixels in MR images. This may result in artifacts in magnetic flux density image and consequently in conductivity imag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hemical shift artifact correction in MREIT based on the well-known three-point Dixon technique. The major difference is in the fact that we must focus on the phase image in MREIT. Using three Dixon data sets, we explain how to calculate a magnetic flux density image without chemical shift artifact. We test the correction method through imaging experiments of a cheese phantom and postmortem canine head. Experimental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method effectively eliminates artifacts related with the chemical shift phenomenon in a reconstructed conductivity image.

요골 전완부 감각신경 유리건피판술 후 생긴 근육탈출증의 증례보고 (A Case of Forearm Muscle Herniation after Radial Forearm Sensory Tendocutaneous Free Flap)

  • 이백권;김민철;전영준;오득영;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205-207
    • /
    • 2008
  • Purpose: Although muscle hernia has been well described in the lower-extremity, muscle hernias in the upper extremity are extremely rare. As with lower extremity muscle hernias, the forearm muscle hernia may result from forced exertion of strenuous activity or following blunt traum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port an extraordinary case of forearm muscle hernia after radial forearm sensory tendocutaneous free flap with references. Methods: A 58-year-old male patient received wide excision and radical neck dissection and lower lip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sensory tendocutaneous free flap for squamous cell cancer on the lower lip. 16 weeks after the operation, he complained of protruding mass on the forearm and the size was increasing. In postoperative 18 weeks, MRI showed herniation of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or unaesthetic cause and preventing progress, the authors performed direct fascial closure and Mesh graft. Results: In 12 months after the surgery there was no recurrence and the patient remained symptom-free. Conclusion: Pain on extremity exertion and unaesthetic buldge of forearm due to forearm muscle hernia were the primary indications for surgery which consist of direct closure, fasciotomy, fascia lata onlay graft, fascia lata inlay graft, etc. The authors experienced uncommon forearm muscle hernia after radial forearm free flap and satisfying result of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