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PEG-V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PEG-V(ISO/IEC 23005) 표준적용이 가능한 전자코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Nose System applicable to MPEG-V(ISO/IEC 23005) Standardization)

  • 임해진;최장식;전진영;변형기
    • 센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88-393
    • /
    • 2016
  • MPEG-V(ISO/IEC 23005) standardizes normative sensory effects metadata and sensory devices command for adapting the sensory effects between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MPEG-V(Virtual) standardization has been carried out by 3DG(Dimensional Graphics) ad-hoc group inside MPEG Working Group(ISO IEC JTC1/SC29/WG11). For the scent effect, one of the sensory effects within MPEG-V, we proposed an olfactory interaction model including electronic nose and scent display to the ad-hoc group. Recently, we proposed types and elements related to the electronic nose as a sensor defined in MPEG-V standard for olfactory interaction. At the 114th MPEG meeting, the types and elements were consequently reflected on MPEG-V CD(Committee Draft) 4th edition.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 electronic nose system applicable to MPEG-V standard by using MPEG-V schema, encoder, and decoder in order to assess their adequacy.

MPEG-2 전송 스트림 프로토콜을 이용한 MPEG-4 데이터의 전송 (Carriage of MPEG-4 over MPEG-2 Transport Stream Protocol)

  • 안상우;최진수;김용석;김문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01-10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PEG-4 데이터를 MPEG-2 A/V 스트림에 효율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mp4 파일로부터 MPEG-4 객체인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OD(Object Descriptor),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및 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해 낸 후, MPEG-2 T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MPEG-4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MPEG-2 A/V 스트림과 동기화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

  • PDF

MPEG 오디오의 채널 확장 기술 (Channel Expansion Technology in MPEG Audio)

  • 방희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14-721
    • /
    • 2011
  • MPEG 오디오에서는 오디오 신호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해서 마스킹 효과, spectral band replication을 이용한 고주파 성분 합성, parametric stereo를 이용한 채널 확장 등의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최신 기술에 해당하는 채널 확장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MPEG 오디오 코덱 중 이 기술을 이용하는 HE-AAC v.2, MPEG Surround, Spatial Audio Object Coding(SAOC), Unified Speech and Audio Coding (USAC)에 대해 기술 소개 및 방송의 적용 예를 기술한다.

다중 감각 미디어 응용 포맷의 구성 방법 연구 (A Study on Multiple Sensorial Media Application Format)

  • 오정엽;김상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30-340
    • /
    • 2016
  • 본 논문은 MPEG-A(ISO/IEC 23000) 표준으로 새로이 제정된 다중 감각 미디어 응용 포맷의 구조와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다중 감각 미디어 응용 포맷은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와 더불어 감각 효과 메타데이터의 효과적인 저장, 재생,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포맷을 구성하기 위해, MPEG-4 파트 12(ISO/IEC 14496-12)의 ISO 기본미디어 파일 포맷과 MPEG-V 파트 3(ISO/IEC 23005-3)의 표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PEG-V 파트 3의 감각효과 메타데이터(SEM)의 샘플화를 위해 SEM XML 문서의 분할과, 분할된 샘플을 이진화하는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이진화 방법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MPEG-V 이진표현 방법과 Binary MPEG format for XML(BiM)이 gzip방법에 비해 압축율과 처리시간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MPEG-DASH 기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 구성 방안 (MPEG-DASH based 3D Point Cloud Content Configuration Method)

  • 김두환;임지헌;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60-669
    • /
    • 2019
  • 최근 3차원 스캐닝 장비 및 다차원 어레이 카메라의 발달로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 자율 주행과 같은 응용분야에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AR/VR 분야에서는 3차원 영상을 포인트 데이터로 표현하는 콘텐츠가 등장하였으나, 이는 기존의 2차원 영상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부호화/복호화와 저장 및 전송과 같은 다양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MPEG-I(MPEG-Immersive) V-PCC(Video 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그룹에서 제안한 V-PCC 부호화기를 통해 생성된 V-PCC 비트스트림을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표준에서 정의한 세그먼트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3차원 좌표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그널링 메시지에 깊이 정보 파라미터를 추가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 플랫폼을 설계하고, 제안한 기술의 알고리듬 측면에서 확인한다.

실감효과 재현을 위한 MPEG RoSE 표준화 (MPEG Standard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 주상현
    • 방송과미디어
    • /
    • 제14권2호
    • /
    • pp.113-122
    • /
    • 2009
  • RoSE(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기술은 A/V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시청각 효과 이외에 바람/향기/진동 등의 실감효과를 팬/발향기/진동의자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미디어의 실감효과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2007년 10월 82차 MPEG회의에 처음 제안된 RoSE프레임워크는 SE(sensory effects), USP(user sensory preferences), SDC(sensory device capabilities), SDCom(sensory device commands)의 표준아이템이 상호 연동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는다. 지난 2월 87차 MPEG로잔(Lausanne)미팅에서는 이들을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하는 MPEG-V(ISO/IEC 23005) 프로젝트의 Part 2(control information)와 Part 3(sensory information)으로 분리 배치하고 오는 7월 89차 런던 미팅에서 CD(committee drait)를 목표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한 이들 4개의 표준 아이템 구성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MPEG 에서 진행되어 온 RoSE표준화 과정을 소개한다.

Review on codec-agnostic approach for MPEG V-PCC

  • Tianyu, Dong;Jang, Euee S.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0-512
    • /
    • 2020
  •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method on the codec-agnostic design of MPEG V-PCC. The codec-agnostic approach designed V-PCC can use any video codec for compression. Thus, adoption with other codecs beside HEVC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sign issues that related to MPEG EVC and JPEG. We provided a strategy on choosing and targeting different video codecs for V-PCC.

  • PDF

MPEG-V 표준 실감미디어 테스트베드에 기반을 둔 문화재 360 콘텐츠 시범 서비스 플랫폼 (360 Content Pilot Service Platform of Cultural Assets Based on MPEG-V Standard Realistic Media Testbed)

  • 심태섭;유수빈;신상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66-67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MPEG-V 표준 실감미디어 테스트베드에 기반을 둔 문화재 360 콘텐츠 시범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MPEG-V 국제 표준은 바람(wind), 지속광(light), 섬광(flash)와 같은 실감효과메타데이터(SEM; sensory effect metadata) 에 대한 표준 포맷과 장비와의 통신 규약 등을 정의한 것으로, 360VR 콘텐츠와 융합할 경우 체험자로 하여금 실재감(presence)과 몰입감(immersion)의 증대가 가능하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문화재 360 콘텐츠를 재현할 수 있도록 특화된 형태로 설계와 구축을 수행하고, 실감효과메타데이터(SEM; sensory effect metadata)와 콘텐츠를 재현시키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하드웨어는 실감효과 재현 장치로, 소프트웨어는 콘텐츠 플레이어와 실감효과 재현 서버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플랫폼을 활용한 시범서비스 사례와 플랫폼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 언급한다.

V3C 비트스트림 기반 ISOBMFF 캡슐화 실험 (ISOBMFF encapsulation experiment based on the V3C bitstream)

  • 남귀중;김준식;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54-156
    • /
    • 2021
  • 최근 3차원 영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영상에 대한 압축과 전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EC 산하 Moving Picture Expert Group(MPEG)에서는 기존의 2차원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고밀도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하는 방안인 V-PCC와 3DoF+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방안인 MPEG Immersive Video(MIV)를 표준화 중에 있다. V-PCC와 MIV는 압축 방법의 유사성으로 인해 동일한 Volumetric Visual Video-based Coding(V3C) 형식으로 저장된다. 압축된 V3C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ISO based Media File Format(ISOBMFF) 캡슐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의 Carriage of V3C data 표준에 따라 V3C 데이터를 ISOBMFF로 캡슐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생성된 ISOBMFF 데이터를 V3C 데이터로 복원한 뒤, 디코딩 하여 확인하였다.

  • PDF

IM1 프레임워크 상에 MPEG-4 비디오 디코더 통합 (An Integration of Mpeg-4 Video Decoder and IM1 Decoder Framework)

  • 민옥기;정영우;이광의;김학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260-262
    • /
    • 2000
  • MPEG-4에서는 다양한 객체를 취급하기 위하여 시스템 부분(Part1)이 차지하는 비중이 MPEG-1이나 MPEG-2에서 보다 훨씬 높아졌다. 이러한 MPEG-4의 시스템 부분을 구현한 참조 모델을 IM1이라고 한다. IM1에는 다양한 오디오/비디오(A/V) 객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디코더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어떤 A/V 객체든 이 프레임워크에 맞추어 디코더를 구현하면 IM1 프리젠터에서 플레이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 현재 IM1 버전 3.8에서는 H.263 비디오, G.723 오디오, JPEG 이미지, AAC 오디오를 지원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MPEG-4 비디오 디코더를 IM1 디코더 프레임워크를 맞추어 설계, 수정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