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4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39초

Mastoparan B의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에 미치는 소수성도와 양친매성의 영향 (The Effect of Hydrophobicity and Amphiphilicity on the Mastoparan B-induc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Hemolytic Activity)

  • 이봉헌;김광호;장태식;박남규;박장수;강신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1_2호
    • /
    • pp.26-30
    • /
    • 1998
  • Tetradecapeptide인 Mastoparan B(MP B)와 이의 [Ala]-MP B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을 측정하여 MP B의 활성에 미치는 소수성도(hydrophobicity)와 양친매성(amphiphilicity)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P B와 소수성도가 MP B 보다 큰 [$Ala^2$]-, [$Ala^4$]-MP B 유도체가 큰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수성도가 MP B보다 작은 [$Ala^6$]-MP B 유도체의 활성은 MP B와 비슷하거나 작게 나타나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일수록 항균 활성을 크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MP B 보다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 [$Ala^9$]-MP B는 Ala에 의한 Trp의 치환때문에 MP B 보다 작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혈 활성 측정 결과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 [$Ala^2$]-, [$Ala^4$]-MP B 유도체가 각각 100.0%와 69.4%로써 용혈 작용을 크게 나타냈으나, 소수성도가 작은 [$Ala^6$]-MP B 유도체는 6.1%로써 가장 작은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고 Trp 대신 Ala으로 치환한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 [$Ala^9$]-MP B는 MP B 보다 작은 26.0%의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용혈 작용은 소수성도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양친매성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 PDF

Cloisite 30B와 멜라민포스페이트를 함유한 Poly(oxydiethylene adipate urethane) Composites의 합성과 열분해 특성 (Synthesis and Thermal Degradation of Poly(oxydiethylene adipate urethane) Composites Containing Cloisite 30B and Melamine Phosphate)

  • 신승욱;이상호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43-650
    • /
    • 2012
  • 폴리우레탄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oly(oxydiethylene adipate)-diol(PAD), 4,4'-MDI, Cloisite 30B(30B), melamine phosphate(MP)를 사용하여 poly(adipate urethane)(PAU)과 PAU/30B(30B 2.7 wt%), PAU/MP(MP 2.2 wt%), PAU/30B/MP(30B 2.2 wt%, MP 2.2 wt%) 복합체를 합성하고 열분해 특성을 연구하였다. PAU 복합체에서 Cloisite 30B와 MP의 분산을 안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adipic acid와 diethylene glycol의 에스테르 반응 단계에서 Cloisite 30B와 MP를 도입하였다. $250^{\circ}C$ 이하에서 PAU 복합체가 순수 PAU보다 더 빠르게 열분해 되었다. 고온에서는 30B와 MP에 의하여 열안정성이 개선되어 분해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00^{\circ}C$ 잔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Effects of 4MP Doping on the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Stability of ALD Grown ZnO Thin Film Transistor

  • Kalode, Pranav Y.;Sung, M.M.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71-471
    • /
    • 2013
  • Highly stable and high performance amorphous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 transistors (TFTs) were fabricated using 4-mercaptophenol (4MP) doped ZnO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he 4 MP concentration in ZnO films were varied from 1.7% to 5.6% by controlling Zn: 4MP pulses. The carrier concentrations in ZnO thin films were controlled from $1.017{\times}10^{20}$/$cm^3$ to $2,903{\times}10^{14}$/$cm^3$ with appropriate amount of 4MP doping. The 4.8% 4MP doped ZnO TFT revealed good device mobility performance of $8.4cm^2V-1s-1$ and on/off current ratio of $10^6$. Such 4MP doped ZnO TFTs were stable under ambient conditions for 12 months without any apparent degradation in their electrical properties. Our result suggests that 4 MP doping can be useful technique to produce more reliable oxide semiconductor TFT.

  • PDF

안골격형과 교합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S AND DENTAL OCCLUSIO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relati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occlus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pretreatment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study models of patients' records present in the files of Orthodontic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mandibular plane-sella nasio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38^{\circ}$ (high SN-MP angle) or equal to or less than $26^{\circ}$ (low SN-MP angle). Patients in the mixed dentition and with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excluded for ease of assessing tooth size / arch circumference relationships and then 30 high SN-MP and 11 low SN-MP patients were selected among them. The mean age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as high SN-MP, $12.8{\pm}1.23$ years and low SN-MP, $13.0{\pm}1.48$ yea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tooth size of high SN-MP patients was nearlly identical to the low SN-MP patients. 2. The mean maxillary arch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low SN-MP group compared with high SN-MP group and a smilar, but smaller, mean increase was present in mandible.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xillary circumference required and the mean maillary circumference present ranged from -4.8mm in the high SN-MP group to -1.3mm in the low SN-MP group. A small range of means occurred in the mandible (high SN-MP: -4.0mm to low SN-MP: -1.8mm). 4.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arch length was nearly identical in the high and low SN-MP groups. 5. The mean incisor inclination was increased as the SN-MP angle decreas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6. The men distanc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from anterior border of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as nearly similar between high and low groups. 7. The mean mandibular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from high SN-MP to low SN-MP patients.

  • PDF

Studies on the Sedative Alkaloids from Zizyphus spinosus Semen

  • Han, Byung-Hoon;Park, Myung-Hwan;Park, Jeong-Hill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8
    • /
    • 1985
  • A number of sedative alkaloids were isolated from Sanjoin(酸棗仁), the seeds of Zizyphus vulgaris Lamark var. spinosus Bunge (Rhamnaceae) which is an important Chinese medicinal material used to treat insomnia and sometimes to treat sleepiness. Those compounds were designated as Sanjoinine-A, B, C, D, etc. depending on the order of increasing polarity. Sanjoinine-A, $C_{31}H_{42}N_4O_4$, $mp\;249^{\circ}$, $[{\alpha}]^{27}_D-316$, Sanjoinine-B, $C_{30}H_{40}N_4O_4$, $mp\;212{\sim}4^{\circ}$, Sanjoinene, $C_{29}H_{35}N_3O_4$, $mp\;281{\sim}2^{\circ}$, $[{\alpha}]^{22}_D-272$, Sanjoinine-D, $C_{32}H_{46}N_4O_5$, $mp\;256{\sim}8^{\circ}$, $[{\alpha}]^{22}_D-53.6$, Sanjoinine-F, $C_{31}H_{42}N_4O_5$, $mp\;228{\sim}9^{\circ}$, $[{\alpha}]^{22}_D-215$, and $Sanjoinine-G_1,\;C_{31}H_{44}N_4O_5,\;mp\;236{\sim}8^{\circ},\;[{\alpha}]^{22}_D-68.6$, were found as 14-membered cyclic peptide alkaloids, $Sanjoinine-G_2,\;C_{30}H_{42}N_4O_4,\;mp\;182^{\circ},\;[{\alpha}]^{22}_D-79.2$, as being open chain peptide alkaloid, and Sanjoinine-E, $C_{19}H_{21}NO_2$, $mp\;166^{\circ}$, $[{\alpha}]^{20}_D-146.2$, N-Methylasimilobine, $C_{18}H_{19}NO_2$, $mp\;193{\sim}5^{\circ}$, $[{\alpha}]^{20}_D-204$, Sanjoinine-Ia, $C_{18}H_{19}NO_2$, $mp\;155{\sim}7^{\circ}$, $[{\alpha}]^{20}_D-140$, Sanjoinine-Ib, $C_{19}H_{21}NO_4$, $mp\;184^{\circ}$, Sanjoinine-K, $C_{16}H_{19}NO_3$, $mp\;159{\sim}61^{\circ}$, $[{\alpha}]^{20}_D+35$, Caaverine, $C_{17}H_{17}NO_2$, $mp\;204^{\circ}$, $[{\alpha}]^{20}_D-80$, and Zizyphusine, $C_{20}H_{24}NO_4$, $mp\;214{\sim}6^{\circ}$, $[{\alpha}]^{20}_D+317$ as being aporphine alkaloids. The heat treatment of the cyclic peptide alkaloids produced their isomeric products which showed enhanced sedative activit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isomeric products will be discussed.

  • PDF

Controlling Electrical Properties in Zinc Oxide Thin Films by Organic Concentration

  • 윤관혁;한규석;정진원;성명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9.2-209.2
    • /
    • 2013
  • We proposed and fabricated zinc oxide thin-film transistors (TFTs) employing 4-mercaptophenol (4MP) doped ZnO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hat results in highly stable and high performance. The 4MP concentration in ZnO films were varied from 1.7% to 5.6% by controlling Zn:4MP pulses. The n-type carrier concentrations in ZnO thin films were controlled from $1.017{\times}10^{20}/cm^3$ to $2.903{\times}10^{17}/cm^3$ with appropriate amount of 4MP doping. The 4.8% 4MP doped ZnO TFT revealed good device mobility performance of 8.4 $cm^2/Vs$ and the on/off current ratio of 106. Such 4MP doped ZnO TFTs exhibited relatively good stability (${\Delta}V_{th}$: 2.4 V) under positive bias-temperature stress while the TFTs with only ZnO showed a 4.3 ${\Delta}V_{th}$ shift, respectively.

  • PDF

추세분석을 통한 미래 MP3 플레이어의 감성디자인 방향 모색 (A Direction of Emotion Design for Future MP3 Players by Trend Analysis)

  • 이유리;양종열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511-521
    • /
    • 2007
  •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선호를 바탕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디자인이 출시될 미래시점에서 소비자가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 컨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추세분석(trend analysis)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추세분석을 통하여 미래 소비자의 감성에 부합하는 MP3 플레이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과 내용으로서 먼저, 소비자의 지속적인 선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시점에서 소비자가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추세분석방법을 모색하였다. 실증연구로서 2000년부터 2007년 7월까지 출시된 MP3 플레이어 228개를 수집하여 디자인의 속성과 그 속성의 수준을 결정하고 SPSS프로그램의 동질성분석을 이용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의 소비자 역시 감성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추세가 주류를 이룰 추세이다. 따라서 MP3 플레이어 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기반으로 작용할 추세이다. 이를 기반으로 MP3 플레이어디자인을 4가지 추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것은 1. 고가격의 PMP기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MP3 플레이어디자인 개발 2. 기본기능의 MP3 플레이어디자인 개발 3. 새로운 컨버젼스 제품디자인 개발 4. 플래시 기반 제품디자인 개발이다.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의 추세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디자인을 추론할 수 있다면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H2O로 발포된 멜라민포스페이트-폴리우레탄폼 복합체 합성과 열적 특성 분석 (Synthesis of Melamine Phosphate-Polyurethane Composite Foam Blown by Water and Characterization of Its Thermal Properties)

  • 박경규;이상호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441-448
    • /
    • 2014
  • 멜라민포스페이트(MP)가 분산된 폴리우레탄폼 복합체(MP-PUF)를 만들고, MP-PUF의 모폴로지, 독립기포율, 열전도율, 열분해온도 등을 분석하였다. MP-PUF는 MP가 분산된 폴리아디페이트디올(f=2), 폴리에테르-폴리올(f=4.6)과 PMDI(f=2.5)를 원료로 사용하고 발포제로 $H_2O$ 양을 변화시키며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폼의 MP 함량은 $1.43{\pm}0.30wt%$로 고정하였다. $H_2O$의 양이 증가할수록 순수한 폴리우레탄폼(PUF)의 열전도율은 낮아지고 MP-PUF의 열전도율은 커졌다. PUF와 MP-PUF의 열안정성은 $H_2O$ 양이 5 php에서 최대가 되었다가 그 이상에서는 낮아졌다. 특히, MP-PUF는 발포과정에 생성된 우레아기와 MP의 영향으로 열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MP-PUF의 잔량이 50%가 되는 온도가 $370{\sim}450^{\circ}C$, 잔량이 30%가 되는 온도는 $700^{\circ}C$ 이상으로 PUF에 비하여 각각 25, $70^{\circ}C$ 이상 높아졌다.

사춘기 최대 성장 단계 예측을 위한 SMI 및 MP3 단계별 골연령 평가 (Skeletal Age Assessment of SMI and MP3 Stages to Predict the Pubertal Growth Spurt)

  • 이연주;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3-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청소년 표준 골연령 도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SMI 및 MP3 단계별 골연령을 조사하여 최대 성장기에 해당하는 단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성장 중인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 치료방법 및 시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장 발육평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363명의 환자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 소아 청소년의 표준 골연령 도표를 바탕으로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해 판정된 골연령을 조사하였다. 동일한 방사선 사진에서 평가된 SMI 및 MP3 단계에 따른 평균 골연령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춘기 최대 성장기가 남아에서는 SMI 4 - 5단계 및 MP3 FG - G단계, 여아에서는 SMI 3 - 4단계 및 MP3 F - FG단계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단일 칩 다중 프로세서상에서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은 OpenMP 구현 및 주요 디렉티브 변환 (Implementation and Translation of Major OpenMP Directives for Chip Multiprocessor without using OS)

  • 전우철;하순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4호
    • /
    • pp.145-157
    • /
    • 2007
  • 단일 칩 다중 프로세서의 경우 표준화된 병렬 프로그래밍 방법이 없는데 OpenMP를 사용하면 병렬 프로그래밍이 쉬우므로 OpenMP는 단일 칩 다중 프로세서를 위한 매력적인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그런데 단일 칩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조는 대상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시스템마다 다른 방식으로 OpenMP를 구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는 단일 칩 다중 프로세서를 위한 OpenMP 구현과 주요 디렉티브의 효과적인 변환을 제안하여 특수한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OpenMP 디렉티브의 추가적인 확장 없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실험은 대상 플랫폼인 CT3400에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