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IST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의 응용 현황 (Applications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김동욱;김세송;정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7-809
    • /
    • 2017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에 대한 간략하게 설명하고, MNIST (숫자 손 글씨 데이터 셋)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을 통해 GAN 구조 구조의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GAN이 어떻게 응용이 되고있는지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살펴본다. 본 고에서는 GAN 논문들을 크게 이미지 스타일 변경, 3D 오브젝트 추정, 손상된 이미지 복원, 언어의 시각화,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숫자 인식을 위한 PCA 기반 pRBFNNs 패턴 분류기 설계 (Design of PCA-based pRBFNNs Pattern Classifier for Digit Recognition)

  • 이승철;오성권;김현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55-3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필기체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법(PCA) 기반 방사형 기저함수 신경회로망(pRBFNNs) 패턴 분류기를 설계한다. 제안된 패턴 분류기는 PCA를 이용한 데이터 전처리 단계와 pRBFNNs를 이용한 분류 단계로 구성된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PCA를 사용하여 주어진 데이터의 정보손실을 최소화한 특징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분류 단계인 pRBFNNs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제안된 분류기의 조건부에서는 Fuzzy C-Means(FCM)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으로 구성하였고, 연결가중치는 1차 선형식을 사용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최소자승법(LSE)을 사용하여 다항식 계수를 구하였다. 제안된 분류기의 성능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필기체 숫자데이터인 MNIST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제안된 분류기의 결과를 기존 다른 분류기들과 비교한다.

적응적 가중치를 이용한 RAM 기반 누적 신경망 (A RAM-based Cumulative Neural Net with Adaptive Weights)

  • 이동형;김성진;권영철;이수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6-224
    • /
    • 2010
  • RAM 기반 신경망은 빠른 처리 속도와 하드웨어 구현의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반면에 메모리의 포화 문제, 반복학습, 일반화 패턴 추출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누적 다중 판별자를 가지는 3차원 뉴로 시스템(3DNS) 등이 제안되었지만 메모리 포화 문제는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응적 가중치를 가지는 AWN (Adaptive Weight Neuron)을 사용한 적응적 가중치 누적 신경망(AWCNN)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AWN으로 3DNS을 개선하여 인식률과 메모리 포화 문제 해결을 향상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평가는 전처리 과정 없이 NIST의 MNIST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AWCNN은 3DNS보다 1.5%이상의 향상된 인식률을 보였고 일반화 패턴을 이용한 인식에서는 모든 입력 패턴의 교육된 것과 비슷한 성능을 얻었다.

이미지의 질과 왜곡을 고려한 적대적 생성 신경망과 이를 이용한 비정상 검출 (Anomaly Detection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considering Quality and Distortion of Images)

  • 서태문;강민국;강동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71-179
    • /
    • 2020
  •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컨볼루션 신경 회로망은 이미지 분류, 객체 검출, 이미지 생성 등의 문제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비전 카메라를 사용한 결함 검사는 다른 결함 검사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에 공장 자동화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고, 딥러닝의 지도학습은 전통 기계학습 방식의 결함 검사 성능을 월등히 뛰어넘었다. 하지만, 딥러닝의 지도학습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 주석 작업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이미지 생성 과업에서 큰 성공을 보여주고 있는 변분 오토인코더와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활용하여 비지도 방식의 비정상 검출을 위한 신경망 회로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MNIST, 용접 결함 데이터에 적용하여 비정상 검출 성능을 검증하였다.

RAM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필기체 숫자 분류 연구 (A Study on Handwritten Digit Categorization of RAM-based Neural Network)

  • 박상무;강만모;엄성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1-207
    • /
    • 2012
  • RAM 기반 신경망은 2진 신경망(Binary Neural Network, BNN)에 복수개의 정보 저장 비트를 두어 교육의 반복 횟수를 누적하도록 구성된 가중치를 가지지 않는(weightless) 신경회로망으로서 한 번의 교육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효율성이 뛰어난 신경회로망이다. 지도 학습에 기반을 둔 RAM 기반 신경망은 패턴 인식 분야에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 비지도 학습에 의해 패턴을 구분해야 하는 범주화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은 모델로 분류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RAM 기반 신경망으로 패턴 범주화를 수행한다. 제안된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RAM 기반 신경망은 입력 패턴에 따라 자율 학습하여 스스로 범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RAM 기반 신경망이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이 모두 가능한 복합 모델임을 증명한다. 실험에 사용한 학습 패턴으로는 0에서 9까지의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로 구성된 MNIST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기계학습 옵티마이저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Optimizers)

  • 주기훈;박치현;임현승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66-776
    • /
    • 2020
  • 최근 기계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가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에서 최적의 하이퍼 파라미터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하이퍼 파라미터 중에서 옵티마이저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데이터에서 주요 옵티마이저들의 성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가장 기본이 되는 SGD부터 Momentum, NAG, AdaGrad, RMSProp, AdaDelta, Adam, AdaMax, Nadam까지 총 9개의 옵티마이저의 성능을 MNIST, CIFAR-10, IRIS, TITANIC, Boston Housing Price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전체적으로 Adam과 Nadam을 사용하였을 때 기계학습 모델의 손실 함숫값이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1 score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AdaMax는 학습 중에 불안정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으며, AdaDelta는 다른 옵티마이저들에 비하여 수렴 속도가 느리며 성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치 정규화와 CNN을 이용한 개선된 영상분류 방법 (An Improved Image Classification Using Batch Normalization and CNN)

  • 지명근;전준철;김남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5-42
    • /
    • 2018
  • 딥 러닝은 영상 분류를 위한 여러 방법 중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 러닝 방법 가운데 합성곱 신경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류함에 있어 배치 정규화 방법이 추가된 CNN을 이용하여 영상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류를 더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뉴럴 네트워크에 배치 정규화 계층 (layer)를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배치 정규화는 각 계층에 존재하는 편향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각 배치의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SHREC13, MNIST, SVHN, CIFAR-10, CIFAR-100의 5개 영상 데이터 집합을 이용하여 영상분류 실험을 하여 정확도와 mAP를 측정한다. 실험 결과 일반적인 CNN 보다 배치 정규화가 추가된 CNN이 영상 분류 시 보다 높은 분류 정확도와 mAP를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적대적 공격에 견고한 Perceptual Ad-Blocker 기법 (Perceptual Ad-Blocker Design For Adversarial Attack)

  • 김민재;김보민;허준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871-879
    • /
    • 2020
  • Perceptual Ad-Blocking은 인공지능 기반의 광고 이미지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온라인 광고를 탐지하는 새로운 광고 차단 기법이다. 이러한 Perceptual Ad-Blocking은 최근 이미지 분류 모델이 이미지를 틀리게 분류하게 끔 이미지에 노이즈를 추가하는 적대적 예제(adversarial example)를 이용한 적대적 공격(adversarialbattack)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적대적 예제를 통해 기존 Perceptual Ad-Blocking 기법의 취약점을 증명하고, MNIST, CIFAR-10 등의 데이터 셋에서 성공적인 방어를 수행한 Defense-GAN과 MagNet이 광고 이미지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보인다. 이를 통해 Defense-GAN과 MagNet 기법을 이용해 적대적 공격에 견고한 새로운 광고 이미지 분류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 다양한 적대적 공격 기법을 이용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적대적 공격에 견고한 이미지 분류 기술을 통해 공격 이전의 이미지 분류 모델의 정확도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방어 기법의 세부사항을 아는 공격자의 화이트박스 공격(White-box attack)에도 일정 수준 방어가 가능함을 보였다.

민첩한 활성함수를 이용한 합성곱 신경망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Agile Activation Function)

  • 공나영;고영민;고선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7호
    • /
    • pp.213-220
    • /
    • 2020
  • 합성곱 신경망은 합성곱층과 완전연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곱층과 완전연결층의 각 층에서는 비선형 활성함수를 사용하고 있다. 활성함수는 뉴런 간에 신호를 전달할 때 입력신호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신호를 전달하고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 있는 뉴런의 정보전달 방법을 모사하는 함수이다. 기존의 활성함수는 손실함수와 관계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 최적해를 찾아가는 과정이 늦어지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활성함수를 일반화한 민첩한 활성함수를 제안하였다. 민첩한 활성함수의 매개변수는 역전파 과정에서, 매개변수에 대한 손실함수의 1차 미분계수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손실함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심층신경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MNIST 분류문제를 통하여 민첩한 활성함수가 기존의 활성함수에 비해 우월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래디언트 기반 재복원공격을 활용한 배치상황에서의 연합학습 프라이버시 침해연구 (Federated Learning Privacy Invasion Study in Batch Situation Using Gradient-Based Restoration Attack)

  • 장진혁;류권상;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987-999
    • /
    • 2021
  • 최근 데이터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로 인해 연합학습이 이슈화되고 있다. 연합학습은 학습데이터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로부터 안전하다. 이로 인해 분산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을 내기 위한 응용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연합학습과정에서 전송되는 그래디언트로부터 학습데이터를 복원하는 재복원공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더는 연합학습도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 본 논문은 다양한 데이터 상황에서 데이터 복원 공격이 얼마나 잘되는지 수치적,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데이터가 1개만 존재할 때부터 크게는 클래스 안에 데이터가 여러 개 분포해 있을 때로 나누어 재복원공격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을 위해 MSE, LOSS, PSNR, SSIM인 평가지표로 MNIST 데이터를 활용해 수치로 확인한다. 알게 된 사실로 클래스와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MSE, LOSS,이 높아지고 PSNR, SSIM이 낮아져 복원성능이 떨어지지만 몇 개의 복원된 이미지로 충분히 프라이버시 침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