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9

검색결과 770건 처리시간 0.03초

Inhibitory Effect of Amentoflavone of Selaginella Tamariscina on MMP-9 Expression through NF-${\kappa}$B and AP-1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 Ahn, Byung-Tae;Shin, Sung-Ahn;Kim, Jun-Gi;Park, Won-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249
    • /
    • 2007
  • The French paradox has been attributed t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lavonoids present in the red wine. Amentoflavone(AF) is a bi-flavonoid compound with anti-fung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 isolated AF from Selaginella tamariscina, and studied its effects on nuclear factor-B(NF-B)-mediated MMP-9 gene expression in RAW264.7 cells. AF blocked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expression of MMP-9. Zymographic and immunoblot analyses showed that AF suppressed LPS-induced MMP-9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clarify the mechanistic basis for its inhibition of MMP-9 induc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AF on the transactivation of MMP-9 gene by luciferase reporter activity using -1.59 kb flanking region. AF potently suppressed the reporter gene activity. This inhibition was characterized by down-regulation of MMP-9, which was transcriptionally regulated at NF-B site and activation protein-1 (AP-1) site in the MMP-9 promoter, two important nuclear transcription factors that are involved in MMP-9 ex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efficacy of AF in inhibiting MMP-9 expression through the transcription factors NF-B and AP-1 on LPS-induced RAW264.7 cells.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침윤 억제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invasive of PM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Saururus Chinensis)

  • 김준호;김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4-591
    • /
    • 2016
  • 삼백초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들은 삼백초 물 추출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및 물(water)과 같은 용매로 분획화하여 사용하였고, 물 분획물의 수득율이 9.25%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S assay, 항염증 활성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NO 생성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 억제는 인간구강편평세포암종 YD-10B 세포에서 RT-PCR과 zymography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MMP-2/-9 활성은 PMA에 의해 YD-10B세포에서 증가하였다. PMA 처리된 YD-10B 세포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증가된 MMP-2/-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도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73.38%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Raw 264.7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의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구강암의 암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헛개나무내의 Matrix Metalloproteinase-9 활성 억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hibitor in Hovenia dulcis Thunberg)

  • 김은호;이광수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135-141
    • /
    • 2011
  • 세포외 기질의 주요 단백질 구성요소들을 가수분해시켜 재편성(turnover)과 재형성(remodeling)에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이다. MMPs 중에서 MMP-2와 MMP-9는 catalytic domain이 fibronectin-like domain에 의해 hemopexin-like domain 부위와 떨어져 있는 점이 다른 MMP들과 다르다. MMP-9 억제제의 개발로 간암전이를 막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Hovenia dulcis Thunberg에서 MMP-9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고, 분리된 물질에 대한 MMP-9의 활성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Ethyl acetate (EA)에 의해 용출 분리된 두개의 화합물(화합물 A, 화합물 B)과 MeOH로 용출 분리된 한 개의 화합물(화합물 C)에서 MMP-9의 활성에 저해를 보였고, $^1H$$^{13}C$ NMR, GC-MS 그리고 IR로 이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화합물 A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고리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catechine 계열로 추정되었으며, 화합물 B와 C는 hydroxyl기와 methoxyl기로 치환된 벤젠 고리와 분자내 carbonyl기를 갖고 있는 nobiletin 계열의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화합물 A는 MMP-9 활성을 1.0%농도에서 76% 억제하였으며, 화합물 B는 동일한 농도에서 66%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화합물 C는 1.0%농도에서 71%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화합물 A가 MMP-9의 활성 저해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의 MMP-2, MMP-9 발현 억제 효과 (MMP-2 and MMP-9 Inhibitory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Corydalis heterocarpa)

  • 유가현;카라데니즈 파티;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80-986
    • /
    • 2021
  •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는 두해살이 풀로 노란 꽃이 피고 염주처럼 잘록한 열매를 맺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에서 서식하는 염생식물로 내건성, 내염성과 같은 독특한 생리적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민간에서 진통 경련 완화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을 이용하여 용매분획물(H2O, n-BuOH, 85% aq. MeOH, n-hexane)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에서 MMP-2, MMP-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 처리시 TIMP-1 및 TIMP-2를 증가시키면서 MMP-2 및 MMP-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주괴불주머니 용매분획물 처리시 MAPKs 신호 전달 경로인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MMPs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염주괴불주머니의 85% aq. MeOH와 n-hexane 용매분획물에서 MMP-2 및 MMP-9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MMP 억제활성이 높은 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염주괴불주머니의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373-MG 세포에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Mulberry Extracts on Secretion of MMPs and Plasmin in U-373-MG Cells)

  • 이숙희;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42-14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373-MG 세포를 이용하여 오디 추출물과 VEGF에 의한 MMPs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U-373-MG 세포에 오디 추출물을 $100{\sim}6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MMP-2의 분비는 거의 완벽하게 억제되었고 MMP-9의 분비는 약 $1.6{\sim}5.9$배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플라스민의 분비는 오디 추출물 농도 $500{\sim}600\;{\mu}g/mL$에서 $36%{\sim}58%$ 감소하였다. 오디 추출물과 VEGF를 병용처리한 경우, MMP-2의 분비는 VEGF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약 85.5% 감소하였고, MMP-9의 분비는 약 89.8% 감소하였다. 또한, U-373-MG 세포에서 오디 추출물($100\;{\mu}g/mL$)에 의한 MMP-2와 MMP-9의 분비 증가와 플라스민 분비증가는 PI 3'-kinase 경로에 의존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디 추출물이 VEGF의 과발현에 따른 암의 성장을 억제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역할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the Pathogenesis of Bronchial Asthma)

  • 이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01-112
    • /
    • 2002
  • 연구배경 : 알레르기성 천식에서 기관지 재모형의 기전이 세포외 기질 침착에 의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MMP족중 특히 MMP-9은 천식의 기관지 재모형을 유발하는 주요 단백분해 효소이다. 또한, MMP-9은 기저막을 통한 호산구와 중성구의 이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MMP가 천식의 쥐 모형에서 기도 과민성의 유발과 oval bumin 유발성 기도 염증 세포의 침윤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졌다. 그러나, TDI 유발성 천식에 있어서 MMP의 역할에 대한 유효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방법 : 특정 항원이 없는 암컷 BALB/c 쥐를 약간 변형된 Sugawara 등의 방법에 따라 ethyl acetate에 3% TDI를 녹인 용액을 5일 연속 매일 한번씩 비강내 주입하여 쥐를 감작시켰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채취하여 세포 분석과 MMPs의 측정하였고 폐조직에서 면역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MMP 억제재를 TDI 부하(challenge) 30분전에 시작하여 24시간 간격으로 3회 복강내로 (10 또는 20mg/kg) 주입하고 기도 반응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TDI 감작 부하군에서 기관지폐포 세척액 염증 세포수와 MMP-9 및 폐조직의 면역화학적 검사상 MMP-9의 발현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MMP 억제재투여후 TDI 감작 부하군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 염증 세포수와 MMP-9 및 폐조직의 면역화학적 검사상 MMP-9의 발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기도 과민성을 억제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MMP 억제재가 TDI 유발성 천식에 대한 훌륭한 치료제로서 향후 연구의 가치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Tetrabromobisphenol A Induces MMP-9 Expression via NADPH Oxidase and the activation of ROS, MAPK, and Akt Pathways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 Lee, Gi Ho;Jin, Sun Woo;Kim, Se Jong;Pham, Thi Hoa;Choi, Jae Ho;Jeong, Hye G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93-101
    • /
    • 2019
  • Tetrabromobisphenol A (TBBPA), the most common industrial brominated flame retardant, acts as a cytotoxic, neurotoxic, and immunotoxicant, causing inflammation and tumors. However, the mechanism of TBBP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is not clear.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treatment with TBBPA significantly induced the expression and promoter activity of MMP-9. Transient transfection with MMP-9 mutation promoter constructs verified that $NF-{\kappa}B$ and AP-1 response elements are responsible for the effects of TBBPA. Furthermore, TBBPA-induced MMP-9 expression was mediated by $NF-{\kappa}B$ and AP-1 transcription activation as a result of the phosphorylation of the Akt and MAPK signaling pathways. Moreover, TBBPA-induced activation of Akt/MAPK pathways and MMP-9 expression were attenuated by a specific NADPH oxidase inhibitor, and the ROS scaveng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BBPA can induce cancer cell metastasis by releasing MMP-9 via ROS-dependent MAPK, and Akt pathways in MCF-7 cells.

가와사끼병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2의 임상적 중요성 (Clinical significanc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and 2 in Kawasaki disease)

  • 윤기욱;윤신원;이정주;채수안;임인석;최응상;유병훈;이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10-518
    • /
    • 2010
  • 목 적: 가와사끼병은 급성 전신성 미세혈관염으로서, 소아의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병변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미만성 혈관염에 의한 관상동맥벽의 파괴를 시사하는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그 내인성 억제인자인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가 이러한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중에도 MMP-9이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와사끼병 환아들에서 MMP-9과 그 억제인자들인 TIMP-1, TIMP-2가 갖는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가와사끼병 환아 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급성열성 세균감염 환아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혈중 MMP-9, TIMP-1, TIMP-2의 농도를 kit를 통한 효소 면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각 임상 단계 및 관상동맥병변의 유무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기에 MMP-9과 TIMP-1은 가와사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TIMP-2는 오히려 낮았다($P$<0.05). 급성기에 증가한 MMP-9은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관상동맥 확장군과 비확장군의 비교에서는, 확장군에서 급성기 MMP-9과 TIMP-1, MMP-9/TIMP-2가 낮았으며, 아급성기로 가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다시 회복기로 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MMP-9은 급성기와 아급성기에 TIMP-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IMP-2와는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이러한 결과들은 MMP-9과 TIMP-1의 증가, 그리고 MMP-9과 TIMP-2의 불균형이 가와사끼병, 특히 그 관상동맥병변의 병태생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하겠다. 더 종합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는 큰 규모의 연구들이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9 after Photothrombotic Spinal Cord Injury Model in Rats

  • Jang, Jae-Won;Lee, Jung-Kil;Kim, Soo-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4호
    • /
    • pp.288-292
    • /
    • 2011
  • Objective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especially MMP-2 and MMP-9 have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econdary inflammatory reac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SC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MMP-9 and to determine their relationship with disruption of endothelial blood-barrier after photochemically induced SCI in rats. Methods : Fe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between 250 and 300 g (aged 8 weeks) received focal spinal cord ischemia by photothrombosis using Rose Bengal. Expressions and activities of MMP-2 and MMP-9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 and gelatin zymography at various times from 6 h to 7 days. Endothelial blood-barrier integrity was assessed indirectly using spinal cord water content. Results : Zymography and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rapid up-regulation of MMP-9 protein levels in spinal cord after ischemic onset. Expressions and activities of MMP-9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d at 6 h after the photothrombotic ischemic event, and reached a maximum level at 24 h after the insult. By contrast, activated MMP-2 was not detected at any time point in either the experimental or the control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spinal cord water content was detected in rats at 24 h after photothrombotic SCI. Conclusion : Early up-regulation of MMP-9 might be correlated with increased water content in the spinal cord at 24 h after SCI in rat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MP-9 is the key factor involved in disruption of the endothelial blood-barrier of the spinal cord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after photothrombotic SCI in rats.

목과(木瓜), 호장근(虎杖根) 및 유향(乳香) 추출물이 Raw 264.7 cell에서 LPS로 유도된 MMP-9 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Chaenomeles sinensis, Polygonum cuspidatum and Boswellia carterii on LPS-Induced MMP-9 Activation in Raw 264.7 Cell)

  • 이태진;김연희;서성일;신상우;김상찬;권영규;박종욱;권택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2
    • /
    • 2006
  •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progression of inflammation. Monocytes/macrophages are prominent at inflammation sites, and activation of these cells by stimulants such as lipopolysaccharide (LPS) leads to the production of significant amounts of MMP-9. Here, we show that LPS-induced MMP-9 production and activation was inhibited by the water extract from the fruit of Chaenomeles sinensis (CS), the root of Polygonum cuspidatum (PC), but increased by the extract from Boswellia carterii (BC).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those extracts inhibits MMP-9 activation, we examined the level of MMP-9 mRNA expression. We observ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MMP-9 expression between LPS alone and LPS plus Chaenomeles sinensis and Polygonum cuspidatum extracts-treated cells. In addition, LPS significantly up-regulated MMP-9 promoter activity in Raw 264.7 cells, which was attenuated by the CS and PS extracts. However, water extracts from Boswellia carterii increased MMP-9 expression and MMP-9 promoter activity which were induced by LPS treatment in Raw 264.7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water extracts from Chaenomeles sinensis and Polygonum cuspidatum can modulate anti-inflammatory immune response, which may be in part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MMP-9 production and/or activ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MMP-9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