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SS 온도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생물학적 고도처리 MLSS의 생응집성 및 침강성 파악 (Evaluation of bioflocculation and settling characteristics for MLSS from a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lant)

  • 이병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9-225
    • /
    • 2008
  • Evaluating and designing secondary clarifier require to define characteristics of influent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In this study, bioflocculation and settling characteristics for MLSS from a Biological Nutrient Removal (BNR) plant located in near Seoul were measured. MLSS concentrations in bioreactor were about 2,500mg/L in summer and about 4,000mg/L in winter, respectively. Tests showed that there was not much bioflocculation occurred in secondary clarifier. Average ESS/DSS (Effluent Suspended Solids/Dispersed Suspended Solids) was 100%. From the settling tests, ZSV (Zone Settling Velocity) and settling constant (n) in Vesilind equation were estimated at different MLSS temperatures. SVI (Sludge Volume Index) and SSVI (Stirred Sludge Volume Index) were also measu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t was found that ZSV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emperature. SVI and SSVI had very similar values at about $25^{\circ}C$ of MLSS, However, SVI had more than 2 times higher values than SSVI at below $20^{\circ}C$ of MLSS. Temperature effect must be considered to design and evaluate secondary clarifier.

섬모상담체를 이용한 혐기, 무산소, 호기공정(CNR공법)의 온도변화에 따른 하수의 질소, 인의 제거특성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Temperature in CNR Process)

  • 김영규;양익배;김인배;이영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18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removal effect of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in municipal wastewater with temperature change from 1$0^{\circ}C$ to 24$^{\circ}C$ in CNR(Cilia Nutrient Removal) process. CNR process is the process combining $A^2$/O process with cilium media of H2L company. The removal efficiencies for T-N were found to be 57.9% at 1$0^{\circ}C$ below, 53.7% at 10-2$0^{\circ}C$, 52.2%at 20-24$^{\circ}C$ and 44.4%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for T-P were 53.3% at 1$0^{\circ}C$ below, 59.1% at 10-2$0^{\circ}C$, 72.4% at 20-24$^{\circ}C$ and 50.0%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kg NH$_3$-N/kg MLSS.d) of Oxic basin was 0.088 and 0.053 at 1$0^{\circ}C$ below, 0.077 at 10-2$0^{\circ}C$, 0.097 at 20-24$^{\circ}C$ and 0.088 over 24$^{\circ}C$ respectively. The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kg NH$_3$-N/kg MLSS.d) in anaerobic and anoxic was 0.013, 0.008 respectively.

  • PDF

iMBR 공정을 이용한 수산물가공폐수 처리에 관한 실증적 고찰 (The Practical Study for the Treatment of Fish Processing Saline Wastewater Using Immersed MBR)

  • 박성균;이동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469-475
    • /
    • 2016
  • 본 연구는 실제 운영되는 수산물 가공 산업폐수의 immersed MBR (iMBR)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시설 운영 결과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수행한 것이다. 수산물 가공 산업의 특성상 일별, 월별 유량 변동이 심하여 유량조정조의 설계 및 운전방법이 중요하며, 유량조정조 교반시 포기식 교반을 적용하면 산발효 방지를 통하여 후속 응집/부상 공정의 약품비 절감이 가능하다. 동 현장은 유량조정조, 가압부상조, iMBR을 거쳐 방류하며, 이때 가압부상조를 거쳐 iMBR로 유입되는 BOD, $COD_{Mn}$, SS, T-N, T-P의 농도는 2,291 mg/L, 530 mg/L, 38 mg/L, 256.8 mg/L, 13.5 mg/L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가공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염이 함유된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는 슬러지의 침강성과 관계없는 침지식 중공사막을 이용한 iMBR 공법을 적용하는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iMBR 공정의 주요 에너지 소모 요인인 공기세정에 대한 운영 값의 검토 결과 SADm값이 $0.31m^3/hr{\cdot}m^2$ membrane area이었으며, SADp값은 $26.5m^3/hr{\cdot}m^3$ permeate으로 상용화된 평막 대비 월등히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 혐기, 호기 탈기조로 구성된 침지식 중공사막이 결합된 iMBR 공정에서 막오염 지표인 Normalized TMP와 온도, MLSS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F/M비가 0.08~0.10 gBOD/gMLSS에서 임계 F/M 값을 나타냈다. 생물반응조에서의 BOD, $COD_{Mn}$, SS, T-N, T-P의 처리수질은 각각 1.8 mg/L, 11.0 mg/L, 1.1 mg/L, 11.0 mg/L, 0.24 mg/L으로 운전되었으며, 제거율은 99.9%, 97.9%, 96.3%, 95.7%, 97.8%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수소생산을 위한 혐기성 연속 회분식 반응조(ASBR)의 장기운전 특성 (Long Term Operation of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in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ASBR))

  • 정성진;서규태;이택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2013
  • 혐기성 연속 회분식 반응조(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ASBR)를 이용하여 혼합배양을 통한 장기간의 수소생산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질은 글루코오스(8,250 mg/L)였고, pH 5.5, 온도 $37^{\circ}C$, 교반속도 150 rpm으로 설정하여 160일 동안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운전초기에 F/M비 2로 유지되어 수소생산 수율은 0.8 mol $H_2/mol$ glucose의 수소가 생산되었고, 운전 80일째 수소생산수율은 2.68 mol $H_2/mol$ glucose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로 수소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운전 130일경 이후 수소의 생산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CR-DGGE분석을 통해 반응조내 미생물은 일반적인 수소생성 균으로 알려지고 있는 Clostridium sp.가 검출되었으나 반응조 운전 조건의 변화가 수소생산 저감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졌다. 즉 반응조의 MLSS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F/M비가 감소하고 생산된 수소는 propionic acid의 생성으로 소모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는 반응조의 F/M비 0.5와 propionic acid 농도는 2,130 mg/L로 높게 유지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규모 하수처리 생물반응기에서 발견되는 암모니아산화균 군집조성 및 특징 (Characterization and Composition of Ammonia-Oxidizing Bacterial Community in Full- Scale Wastewater Treatment Bioreactors)

  • 박희등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2-118
    • /
    • 2009
  • 질소제거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 암모니아산화균은 질소제거에 핵심 역할을 하는 독립영양세균이다. 하수처리 생물반응기에는 다양한 암모니아산화균이 서식하며 군집조성도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기의 운전인자 및 환경조건이 암모니아산화균 군집구조의 조성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질산화 반응이 활발한 포항, Palo Alto, Nine Springs, Marshall 하수처리장 활성슬러지 생물반응기로부터 암모니아산화균의 ammonia monooxygenase subunit A 유전자 clone library를 제작하였다. 하수처리 생물반응기에는 Nitrosomonas europaea, N. oligotropha, N.-like, Nitrosospira lineage에 속하는 암모니아산화균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N. communis, N. marina, N. cryotolerans lineage에 속하는 암모니아산화균은 주종을 이루지 못했다. 암모니아산화균 군집조성은 하수처리장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포항, Palo Alto, Marshall 하수처리장에서는 N. oligotropha lineage에 속하는 암모니아산화균이 가장 빈번히 발견되었고, Nine Springs 하수처리장에서는 N. europaea lineage에 속하는 암모니아산화균이 주종을 이루었다. 한편, 암모니아산화균 군집조성과 생물반응기 운전인자(HRT, SRT, MLSS) 및 환경조건(온도, pH, COD, $NH_3$, $NO_3{^-}$)의 연관성은 다변수 통계분석법인 Redundancy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물반응조의 COD와 $NO_3{^-}$ 농도가 하수처리 생물반응기에서 암모니아산화균 군집구조를 결정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에 의한 활성(活性)슬러지 혼합액(混合液)의 고액분리(固液分離)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Activated Sludge by Dissolved Air Flotation)

  • 양상현;라덕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1-29
    • /
    • 1985
  • 활성(活性)슬러지가 팽화(膨化)를 하였거나 환기조내(環氣槽內)의 MLSS 농도(濃度)가 높은 경우, 종래(從來)의 중력침전법(重力沈澱法)으로는 슬러지의 분리(分離)가 어렵다. 이 문제(問題)의 해결책으로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을 이용(利用)하는 방법(方法) 연구(硏究)하였다.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의 효과(效果)에 영향(影響) 주는 인자중(因子中) 중요(重要)하다고 생각되는 환기조내(環氣槽內)의 MLSS 온도(溫度), 슬러지의 성상( 性狀), 가압수량비(加壓水量比), 압력(壓力)의 변화(變化)에 따른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의 효율(效率)에 관하여 회분식(回分式) 실험(實險)과 연속식(連續式) 실허(實驗)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활성(活性)슬러지가 혼합액(混合液)의 분리(分離)가 종래(從來)의 중력침전법(重力沈澱法)으로는 어려운 경우에도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은 매우 좋은 효과(效果)를 나타낸다.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에는 한계(限界) 가압수량비(加壓水量比)가 존재(存在)하며 이 한계치(限界値)는 압력(壓力)에 따라 변화(變化)한다. 압력(壓力)은 단지 가압수량비(加壓水量比)에만 영향(影響)을 미치고 그 외(外)의 가압부상(加壓浮上) 효율(效率)에는 거의 영향(影響)이 없다. 연속식(連續式) 실험(實驗)이 회분식(回分式) 실험(實驗)보다 다소 효율(效率)이 떨어진다.

  • PDF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에서의 미생물에 의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s by Microorganism in the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 정연규;민병헌;박준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7-145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중금속 (Cd(II), Cu(II), Zn(II))에 대하여 활성슬러지 미생물 folc의 중금속 흡착 및 축적 작용에 의한 중금속 제거과정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회분식 실험을 통해 pH, 중금속 농도, MLSS 농도 및 온도에 따른 반응시간별 중금속 제거율과 축적량을 측정하였다. 활성슬러지 공정에 의한 중금속제거는 흡착 및 축적에 의해 중금속이 슬러지에 고농도로 농축되어 일어났다. 회분식 실험결과 중금속의 흡착평형은 단시간내에 일어났으며, 미생물 floc과 중금속이온과의 결합세기는 Cu(II)>Zn(II)>Cd(II)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혐기조-간헐포기조-개량조로 구성된 영양소 제거 공정에서 온도의 영향 (Temperature Effect on the Nutrient Removal in the Combin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CBNR) with Anaerobic-Intermittent Aerobic-Modified Oxic Reactors)

  • 강영희;한기봉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9-647
    • /
    • 2006
  • The temperature effect at $20^{\circ}$ and $10^{\circ}$ on the nutrient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in the combin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CBNR) with anaerobic-intermittent aerobic-oxic reactors. The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various ratios of intermittent aeration time and distribution of influent raw water to CBNR. The removal efficiencies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 little bit better at $20^{\circ}$ than at $10^{\circ}$. However the large difference of temperature effect on the nutrient removal efficiency between $20^{\circ}$ and $10^{\circ}$ was not appeared because of highly sustained MLSS concentrations in the reactors and controlled intermittent aeration time. In the removal of phosphorus, Mode III (50/70 min in aeration on/off time, 3 times of intermittent aeration) showed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short aeration time of Mode IV. In case of N, P removal, the denitrification rate was lower in Mode A with splitted inflow into anaerobic and intermittent aeration basins than in Mode B with sole inflow into anaerobic basin.

현장수준의 축산폐수처리에 있어서 계절별 농도 및 온도변화에 따른 분해반응계수 및 온도보정계수의 산정 (Assessment of Degradation Rate Coefficient and Temperature Correction Factor by Seasonal Variation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in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in Field Scale)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0-9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degration rate coefficient, operating parameters to meet the effluent standards, and the temperature adjustment coefficients to each parameter of pollution by seasonal variation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influent in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by sequencing batch reactor process in field scale.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1. In the field, temperature of livestock wastewater in reactor was 20.3$\circ$C in summer and 6.0$\circ$C in winter. The ratio of BOD:TKN: T-P in influent was 100:80:7. BOD loadings in winter and spring were 0.26 and 0.43 kg $BOD/m^3$ day, respectively. Those in summer and fall were 0.25 and 0.13 kg $BOD/m^3$ day, respectively. 2. The degradation rate coefficient for TKN was larger in summer and fall in which temperature was high than that in which temperature was high than that in winter and spring in which concentration was high. On the contrary, the phosphorus uptake rate was larger in winter and spring than that in summer and fall. 3.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in winter and spring was longer than that in summer and fall. Especially, in order to meet the standard for TKN of 120 mg/l in winter in which temperature of wastewater was 6.0$\circ$C, as the MLS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4, 000 to 7, 000 mg/l,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increased from 212 to 121 hours. But, in order to shorten that less than 121 hours for the economical wastewater treatment, countermeasure to increase temperature of wastewater in the reactor should be considered. 4. the temperature adjustment coefficients for BOD, $COD_{Mn}$, TKN and T-P were 1.0241, 1.0225, 1.0541 and 1.0495, respectively. Namely, the treatment of TKN was most sensitively affected by temperature.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emperature of livestock wastewater more than 20$\circ$C which is the temperature of it in summer.

  • PDF

초단파조사 처리된 잉여슬러지와 하수의 병합처리가 활성슬러지공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Microwave-Irradiated Excess Sludge on the Performance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 김남철;장명배;조윤경;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10
    • /
    • 2007
  • 본 연구는 초단파조사 처리된 잉여슬러지를 하수와 함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할 때 하수처리효율과 잉여슬러지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온도가 $20^{\circ}C$이고 MLSS농도가 약 2,000 mg/L인 250 mL의 잉여슬러지를 발진주파수가 2,450 MHz이고 정격고주파출력이 700 W인 전자렌지(microwave oven)로 초단파조사 처리한 결과 조사시간이 1분 증가함에 따라 수온이 약 $20^{\circ}C$씩 증가하였으며, 슬러지의 SCOD, TKN 및 T-P 농도는 모두 $40\sim130$ sec의 조사시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혼합액 미생물의 산소섭취율을 측정한 결과 130 sec 이상의 조사시간($65^{\circ}C$ 이상)에서는 혼합액의 미생물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잉여슬러지를 초단파조사 처리한 다음 하수와 혼합시켜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였을 때 유입수 및 처리수의 pH 및 알칼리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유입수의 SS, COD, T-N 및 T-P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처리수의 SS, BOD 및 T-P 농도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OD 및 TKN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초단파 조사비가 1 g SS/g SS-day 증가할수록 미생물성장계수 값은 0.91 g SS/g COD removed의 율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