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P-2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초

미세먼지 유도 기도염증에 대한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호흡기 보호 효과 (Respiratory Protective Effect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gainst Ambient Particulate Matter-induced Airway Inflammation)

  • 송형우;지건영;김복규;양원경;한창균;신한재;박양춘;황지숙;강형식;김승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69-281
    • /
    • 2017
  • Background: Small particles increase airway inflammation upon reaching the alveoli. Here,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or therapeutic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SP_R) extracts on airway inflammation. Methods and Result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P_R extracts, we measured their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immune cell infiltration in MH-S alveolar macrophage cells and in the ambient particulate matter (APM)-exposed airway inflammation mice model. The SP_R extracts inhibited the production of ROS and expression of IL-4, IL-10, IL-15, and IL-17A mRNA in APM-stimulated MH-S cells. Oral administration of SP_R extracts suppressed APM-induced inflammatory symptoms, such as high alveolar wall thickness, excess collagen fibers,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chemokines (Ccr9, Ccl5, Ccr3), inflammatory cytokines (IL-15, TNF-${\alpha}$), and IL-4 Th2 cytokine in the lung. The SP_R extracts also inhibited ROS production, granulocyte ($CD11b^+Gr-1^+$) infiltration, IL-17A, TNF-${\alpha}$,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2), and chemokine (C-X-C motif) ligand 1 (Cxcl-1) production in the airway. The specific compounds in the SR-R extracts that medi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identified. Conclusions: In this study, SP_R extracts effectively inhibited airway inflammatory responses, such as ROS production and granulocyte infiltration into the airway,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chemokin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알칼리 활성화제를 첨가한 페로니켈슬래그 혼입 삼성분계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Freeze-Thaw Resistance of Alkali 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Incorporated with Ferronickel Slag)

  • 조원정;박광필;안기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59-1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광물질 혼화재료 및 알칼리활성화제를 첨가한 4종류의 배합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X선 회절분석, 미세구조분석, 압축강도, 동결융해저항성 및 SEM Image 분석을 실시하여 각 배합별 강도발현, 상대동탄성계수, 중량변화 등을 측정하여 기초물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페로니켈슬래그 혼입 삼성분계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배합(OPC)과 비슷한 수화물을 생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gO 성분으로 인한 팽창성 수화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페로니켈슬래그를 혼입 시 3성분계 시멘트(30SP20FN)의 경우 OPC와 비교 시 공극률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알칼리활성화제를 첨가할 경우 공극 분포가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알칼리활성화제의 첨가는 30SP20FN의 장기강도발현을 앞당기는 효과를 보였으며, 18~26 % 가량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30SP20FN의 경우 dilution effect로 인한 낮은 수화도의 영향으로 동결융해저항성이 떨어졌지만, 알칼리활성화제를 첨가할 경우 높은 상대동탄성계수를 유지하였으며,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변화된 공극 분포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상대동탄성계수 측정 실험에 사용된 콘크리트 시편 모두 300 사이클에서 상대동탄성계수가 60 % 이상으로 우수한 동결융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동결융해 작용을 받은 콘크리트의 미세구조를 분석한 결과, OPC 및 30SP20FN 콘크리트의 경우 비정질의 수화물이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미세 균열이 발생함을 확인한 반면, 알칼리 활성화제를 혼입한 배합의 경우 균질한 내부 구조를 유지하였다.

양생조건에 따른 초기재령 시멘트 모르타르의 전자기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 Early-Aged Cement Mortar under Different Curing Conditions)

  • 권성준;송하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A호
    • /
    • pp.737-746
    • /
    • 2008
  • 최근 들어 비파괴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에 전자기 특성을 이용한 평가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시멘트 건설재료와 같은 절연성 재료는 고유한 유전상수 또는 전도율을 가지므로 특성화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기 특성은 물-시멘트비, 단위 시멘트 량과 같은 배합조건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실내조건에 노출된 시멘트 모르타르는 일반적으로 수분에 포화되지 않으므로, 공극률이 전자기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공극률은 주로 초기재령에서 결정되어지며, 양생조건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종류의 물-시멘트비를 가진 시멘트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전자기 특성(유전상수, 전도율)을 광범위 대역인 0.2 GHz~20 GHz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편은 배합 후 0일에서 28일까지 총 5가지의 다른 수중양생기간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28일 이후, 실내노출상태에서 전자기 특성을 측정하였다. 한편 28일 재령시, 수은압입법을 통하여 공극률을 분석하였으며, 실내상태의 수분손실을 측정하여 포화도를 평가하였다. 양생초기부터 변화하는 공극률을 평가하기 위해,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극률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전자기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자기 특성을 영향인자(재령, 물-시멘트비)와 쉽게 비교하기 위해서, 5 GHz~20 GHz 영역의 값을 하나의 평균값으로 도출하였다. 초기재령에서 평균화된 유전상수와 전도율은 물-시멘트비의 감소에 따라서 선형으로 증가하였으며, 4주의 양생기간동안 물-시멘트비에 관계없이 양생기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정보보호 대책의 효과성을 고려한 정보보호 투자 의사결정 지원 모형 (A Model for Supporting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e Efficacy of Countermeasures)

  • 박병조;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27-45
    • /
    • 2023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기업은 제한된 예산 내에서 적절한 대책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Sönmez and Kılıç(2021)는 정보 보안 침해를 완화하기 위한 최적의 투자 조합을 결정하기 위해 AHP 및 혼합 정수 계획을 사용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그러나 1) 보안 위협에 대한 보안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2) 투자로 인한 위험 감소가 투자 이전에 측정한 위험 수준을 초과하는 비현실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3) 여러 위협에 대해 단일 대응책을 사용할 때 중복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타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대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위험 감소 수준이 투자 이전에 측정된 위험 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보안 대책이 중복 투자되지 않도록 최적화 모델을 개선했다. 개선된 모델을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Sönmez and Kılıç(2021)의 최적화 모델보다 더 나은 결과를 도출했다. 개선된 최적화 모델을 사용하면 정보보호 비용, 수량, 대책 효율성을 고려하여 고정된 예산 내에서 최적의 대책별 투자 포트폴리오를 도출할 수 있고, 정보 보안 예산을 확보하고 정보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D 영상 재구성을 통한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과의 각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gle between the Abdominal Aorta and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by 3D Image Reconstruction)

  • 김영근;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1호
    • /
    • pp.63-70
    • /
    • 2003
  • 상장간맥동맥 증후군은 일반적인 검사에서 매우 탐지가 어려운 십이지장 만성폐색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십이지장의 횡행부가 상장간막동맥과 복부대동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맥동맥 사이의 각도가 좁아져 십이지장 폐색의 원인을 야기시킨다. 이 각도의 측정은 일반혈관촬영으로는 복잡하고, 종종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한국인을 기준으로 각도 측정에 관한 시도 및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3차원 영상재구성을 위하여 범용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Rapidia S/W를 이용함으로써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상장간막동맥기시부의 각도를 측정하였는데, 상장간막동맥증후군이 없는 일반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전산화단층촬영의 3차원영상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상장간막동맥과 복부대동맥의 평균각도는 $50.05{\pm}15.87^{\circ}$이고 남자의 평균각도는 $53.64{\pm}16.57^{\circ}$이고 여자는 $46.46{\pm}14.98^{\circ}$로 남자의 각도가 약간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각도가 상장간막동맥 증후군의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기공명 담관췌장초영술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제재의 유용성 (Usefulness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as a Negative Oral Contrast Agent in MR Cholangiopancreatography)

  • 이정민;송원규;이종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49-56
    • /
    • 2001
  • 목적 자기공명 담관췌장조영술(MR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MRCP)에서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초상자성 산화철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제제의 유용성을 영상 질의 향상 효과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소견, 이학적 검사 및 초음파 검사에서 담도와 췌장질환이 의심되었던 48명의 환자와 자원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성 경구 조영제로 사용한 SPIO 제재의 적정 농도의 선택을 위해 정주용 SPIO제재 0.5ml, 0.75m1, 1 ml, 1.5 ml 및 2ml을 500m1 물에 희석시켜 가상 실험을 통하여 72강조영상에서 물의 신호강도가 완전히 소실되는 최소농도를 산출하였다. MRCP영상은 1.57를 이용하여 지방억제 HASTE (half-courier acquisition single-shot turbo spin echo) 와 터보스핀에코(Turbo spin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조영 후 영상은 음성 경구 조영제 300m1를 경구 섭취하고 10분 후에 얻었고, 조영 전 후 영상을 최대 신호 투영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영상 분석은 조영 전 영상에 비교하여 위 십이지장내의 액체의 고신호강도에 따른 총수담판 및 췌관의 묘출의 방해 정도 및 진단의 향상 정도를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가상 실험에서, 22.4 ugFe/ml 농도의 혼합액 (Feridex I ml 용액을 자유수 500m1에 희석하여 만든 농도)에서의 신호강도 소실 백분율의 증가가 가장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영상분석에서는, 조영 후 영상이 조영 전 영상에 비해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환자의 25% (12/48)에서 조영 전 영상에 비하여 더 정화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MRCP영상 획득 시 음성 경구 조명제로서 사용된 초상자성 산화철 (SPIO) 제재는 영상질의 향상시켜 담도 및 췌장질환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lcerative Colitis is Associated with Novel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of MIP-3${\alpha}$/CCL20 Gene

  • Choi, Suck-Chei;Lee, Eun-Kyung;Lee, Sung-Ga;Chae, Soo-Cheon;Lee, Myeung-Su;Seo, Geom-Seog;Kim, Sang-Wook;Yeom, Joo-Jin;Jun, Chang-Duk
    • IMMUNE NETWORK
    • /
    • 제5권4호
    • /
    • pp.205-214
    • /
    • 2005
  • Background: We examined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DC), and tested whether the identified genes with the altered expression might b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UC. Methods: PBMCs from 8 UC and 8 normal healthy (NH) volunteers were collected, and total RNAs were subjected to the human 8.0K cDNA chip for the micro array analysis. Real time-PCR (RT-PCR)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ults of micro array. One hundred forty UC patients and 300 NH controls were recruited fo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nalysis. Results: Twenty-five immune function-related genes with over 2-fold expression were identified. Of these genes, two chemokines, namely, CXCL1 and CCL20, were selected because of their potential importance in the evocation of host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Four SNPs were identified in the promoter and coding regions of CXCL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patients with UC and controls in their polymorphisms, except minor association at g.57A>G (rs2071425, p=0.02). On the other hand, among three novel and one known SNPs identified in the promoter region of CCL20, g. -1,706 G>A (p=0.000000055), g. -1,458 G>A (p=0.0048), and g. -962C>A (p=0.0006)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of Uc. Conclusion: Altered gene expression in mononuclear cells may contribute to IBD pathogenesis. Although the findings need to be confirmed in other populations with larger numbers of patients, the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of CCL20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Uc.

Associations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cranial Arteries and Atherosclerosis Risk Factors in Subjects with Less Than 50% Intracranial Arterial Stenosis

  • Byun, Hokyun;Jang, Jinhee;Choi, Hyun Seok;Jung, So-Lyung;Ahn, Kook-Jin;Kim, Bum-s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3호
    • /
    • pp.150-157
    • /
    • 2018
  • Purpose: To assess associations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cranial arteries in time-of-flight MR angiography (TOF-MRA) and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October 2015, a total of 129 patients (65 men and 64 women) without intracranial arterial stenosis > 5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MRIs were performed using a 3T machine with 3D TOF-MRA sequences. We evaluated irregularity, tortuosity, and dilatation of intracranial arteries in maximal intensity projection (MIP) of TOF-MRA. Subjects'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including history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Associations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ach known atherosclerosis risk factor were examined using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to determine combined association between those risk factors and morphologic changes of intracranial arteries. Results: In multivariate analysis, hypertension (coefficient [95% CI]: 0.162 [0.036, 0.289], P = 0.012) and absence of diabetes (coefficient [95% CI]: -0.159 [-0.296, -0.023], P = 0.022) were associated with large diameter of intracranial arteries. Males (coefficient [95% CI]: 0.11 [-0.006, 0.23], P = 0.062) and higher age (coefficient [95% CI]: 0.003 [-0.001, 0.008], P = 0.138) had marginal association with increased diameter. Tortuosity was associated with old age (OR: 1.04 [1.02, 1.07], P < 0.001). Irregular contour of intracranial arteri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 age (OR: 1.05 [1.02, 1.09], P = 0.004), presence of diabetes (OR: 2.88 [1.36, 6.15], P = 0.0058), and previous ischemic stroke (OR: 3.91 [1.41, 11.16], P = 0.0092). Conclus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rregularity, tortuosity, dilatation) of intracranial arteries seen in TOF-MRA might be associated with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in subjects with no or mild stenosis.

Cone-beam CT를 이용한 최대교두간접촉위(MIP)에서 과두 위치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Radiographic Evaluation of Condyle Position at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Using Cone-beam CT)

  • 오상천;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11-120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의 시상 CT 이미지에서 최대교두감합위시 양 과두의 위치와 대칭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재료 및 방법: Cone-bem CT가 각 100명의 남/녀 그리고 증상/무증상으로 분류된 총 200명의 400개 측두하악관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3명의 독립된 평가자(치과의사)가 전방위(AP), 중앙위(MP), 후방위(PP)으로 분류된 과두 위치와 양 과두의 대칭성을 결정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남성에서 48.5, 28.5, 23였고, 여성에서 34, 38, 28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성별에 관계없이 대칭인 경우가 많았다. 증상과 무증상의 관점에서 보면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무증상 그룹에서 44.5, 34, 21.5였고, 증상이 있는 그룹에서는 37, 33.5, 29.5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무증상 그룹에서는 대칭성이 더 빈번했고, 증상 그룹에서는 비대칭이 더 많았다. 결론: 이 데이터는 Cone-bean CT에 의해서 얻어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과두 위치의 임상 평가를 위해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spiratory 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in a mouse model of particulate matter 4-induced airway inflammation

  • Won-Kyung Yang;Sung-Won Kim;Soo Hyun Youn;Sun Hee Hyun;Chang-Kyun Han;Yang-Chun Park;Young-Cheol Lee;Seung-Hyung Ki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81-88
    • /
    • 2023
  • Background: Air pollution has led to an increased exposure of all living organisms to fine dust. Therefore, research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ise preventive and therapeutic remedies against fine dust-induced chronic diseases. Methods: Research of the respiratory protective effects of KRG extract in a particulate matter (PM; aerodynamic diameter of <4 ㎛) plus diesel exhaust particle (DEP) (PM4+D)-induced airway inflammation model. Nitric oxide productio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and IRAK-1, TAK-1, and MAPK pathways were examined in PM4-stimulated MH-S cells. BALB/c mice exposed to PM4+D mixture by intranasal tracheal injection three times a day for 12 days at 3 day intervals and KRGE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12 days. Histological of lung and trachea, and immune cell subtype analyses were perform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lung were measured. Immunohistofluorescence staining for IRAK-1 localization in lung were also evaluated. Results: KRG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cytokines, and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all downstream factors of NF-κB, including IRAK-1 and MAPK/AP1 pathway in PM4-stimulated MH-S cells. KRGE suppresse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number of immune cells, histopathologic damage, and inflammatory symptoms in the BALF and lungs induced by PM4+D; these included increased alveolar wall thickness, accumulation of collagen fibers, and TNF-α, MIP2, CXCL-1, IL-1α, and IL-17 cytokine release. Moreover, PM4 participates induce alveolar macrophage death and interleukin-1α release by associating with IRAK-1 localization was also potently inhibited by KRGE in the lungs of PM4+D-induced airway inflammation model. KRGE suppresses airway inflammatory responses, including granulocyte infiltration into the airway,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chemokin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via inhibition of IRAK-1 and MAPK pathway.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of KRGE to serve as an effective therapeutic agent against airway inflammation and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