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E Industry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9초

장수상황버섯과 마황을 이용한 고체발효 추출물로부터 항아토피 활성의 분석 (Analysis of the Anti-Allergic Activities of Active Components Produced by Solid Fermentation of Phellinus baumii and Ephedra sinica)

  • 신용규;허진철;이진형;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7-300
    • /
    • 2010
  • 여러 가지 한약재의 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의 고체발효 중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마황이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DNFB (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에서 피부상피조직의 비후정도를 약 50%정도의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이는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마황 추출액의 장수상황버섯 고체발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한다면 향장소재 또는 이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팽화홍삼분말이 벤조피렌을 투여한 마우스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ing Red Ginseng Powder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Benzo(α)Pyrene-Treated Mice)

  • 김현정;이기동;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47-852
    • /
    • 2008
  • 팽화홍삼분말이 B($\alpha$)P의 투여에 의한 간 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의 글루타치온 및 과산화지질 함량,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alpha$)P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 내 ALT와 AST의 활성이 팽화홍삼분말을 투여하면 감소하였다. 간 조직중의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도 B($\alpha$)P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의 투여로 이들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글루타치온 함량과 GST 활성은 B $\alpha$)P 단독군에서는 감소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 투여 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cytochrome P-450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B ($\alpha$)P 투여 시 증가되었다가 팽화홍삼분말의 투여 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홍삼분말보다 팽화시킨 홍삼분말에서 더 큰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팽화홍삼분말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의한 B($\alpha$)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 발효된 매자나무 추출물이 마우스 혈청중의 Melatonin 및 Serotonin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Lactobacillus Ferment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in the Serum of Treated ICR Mice)

  • ;김지선;서용창;최운용;안주희;마충제;윤창순;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25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extracts on the concentra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in the serum of the ICR mice. The ICR mice were divided into water control group, lactobacillus fermentation solution including (Lactobacillus paracasei and Bifidobacterium longum B6) control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milk and doxylamine succinate), negative control group (caffein) and the groups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WE: water extracts, FE-L.P: fermentation extracts of Lactobacillus paracasei, FE-B.L: fermentation extra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After ten-day feeding treatment, the mean concentration of sero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 L group was 134.72, 183.01, 232.09 and $223.78 ng/m{\el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pproximately 66%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water control, WE, FE-L.P and FE-B.L group was 76.92, 106.66, 157.56 and $141.81pg/m{\ell}$,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melatonin for FE-L.P and FE-B.L group were also larger than that for water control group.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bark have relatively greater potential to induce secretion of serotonin and melatonin. Therefore, the fermentation extracts have antidepressant effect.

청목노상 뽕잎으로부터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저해물질에 대한 In Vivo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In Vivo Safety of Inhibitory Compounds from Cheongmoknosang Mulberry Leave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김병오;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04-1410
    • /
    • 2011
  • 뽕잎에서 분리한 유효성분의 혼합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구 투여하여 시험한 결과, 투여량 4000 mg/kg에서 암수 mouse 모두가 생존하여 급성독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13주 반복 독성 시험에서도 투여량 2000 mg/kg에서 암수 mouse 모두가 생존하여 약물의 독성에 의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육안으로는 대조군과 비교 시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부검 후 H. pylori 의 감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의 무게 역시 대조군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면역세포에 대한 영향은 약물 투여 시 매체대조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독성 물질인 NO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컷군에서 48시간에서만이 LPS와 Con A에 의해 비장세포가 약간 증식되었을 뿐 다른 실험군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감소되었다. 뽕잎에서 분리한 유용 성분인 caffeic acid, rosemarinic acid와 chlorogenic acid가 H. pylori의 감염환자의 치료용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임상적으로 사용할 경우 아무런 독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뽕잎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벤조피렌을 투여한 생쥐의 간 조직에서의 홍삼분말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Red Ginseng Powder on Liver of Benzo(α)Pyrene-Treated Mice)

  • 김현정;이지원;지영주;유미희;박정현;이기동;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21-526
    • /
    • 2007
  • 홍삼분말이 $B(\alpha)P$의 투여에 의한 간 독성이 유발된 생쥐에서의 글루타치온 및 과산화지질 함량,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alpha)P$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내 ALT와 AST의 활성이 홍삼분말 전 처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간 조직중의 글루타치온 함량은 $B(\alpha)P$ 단독군에서는 감소되었다가 홍삼분말 투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B(\alpha)P$ 투여시 증가되었다가 홍삼분말의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중의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도 $B(\alpha)P$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가, 홍삼분말의 투여로 이들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GST 활성은 $B(\alpha)P$ 단독군에서는 감소되었다가 홍삼분말 투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홍삼분말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의한 $B(\alpha)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염산/에탄올로 유도된 급성 위염 동물모델에서 증숙시간에 따른 홍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red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tis)

  • 이주영;권오준;노정숙;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65-3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150 mM HCl/60 % ethanol로 급성 위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증숙 시간에 따른 홍삼의 위염 보효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백삼과 홍삼의 증숙 시간에 따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사포닌,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총 함량이 증숙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6시간 증숙한 홍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1,1-diphenyl-2-picrylhydrazyl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소거능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G 6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In vitro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를 선택하였고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급성 위염 마우스 모델에 백삼과 6시간 증숙한 홍삼을 투여하였을 때, RG 6에서 위 점막 손상의 개선을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혈액에서 측정한 ROS 수치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RG6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증숙 시간에 따른 홍삼은 급성 위염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위염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누에, 맥문동복합물의 흉선 림프절내 T세포 활성 유도 효능 연구 (Mixture Bombyx mori L. and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effects on T cells in Thymus, Lymph Nodes)

  • 김일규;박해진;김경조;김수현;김민주;이진아;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7-52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n the immune system of Bombyx mori L. and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mixture (BL) in Thymus, Lymph Nodes. Methods : Eight-week-old mal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 Group one included the normal mice (Nor). Positive control group two administrated with red ginseng (RG) 100 mg/kg. Group three administrated with Bombyx mori L. (BX) 300 mg/kg. Group four administrated with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LP) 300 mg/kg. Group five administrated with the mixture of Bombyx mori L. and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BL) 300 mg/kg. After 2 weeks administration, mice were sacrified and antigen receptor in Thymus, Lymph Nodes was analyzed by using Fluorescence Activated Cellorter Sorting (FACS). we counted the total of Thymus and Lymph Nodes cells. GOT (glutaml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lc pyruvic transamlnase) in serum were analyzed after experiment. Results : In Effects of Nor, RG, BX, LP, BL on the ratio of CD4+CD8+, CD4+CD69+ and CD4+CD25+ T cell in Thymus and Lymphnode, BL is higher than other groups except Nor in CD4+, CD4+CD69+, CD4+CD25+ T cell. The number of Thymus and Lymph Nodes increased in BL. In the level of GOT and GPT, BL decreased comparing to others group except Nor. Conclusions : BL may have effect on T cells in Thymus, Lymph Nodes. In addition, Bombyx mori could be immune functional material with others herb materials.

에스트로겐 수용체 촉진제의 단기 처리에 따른 수컷 생쥐 부속 생식기관 및 간의 조직학적인 변화 (Histological Changes in the Accessory Reproductive Organs and Liver of Male Mice in Response to Short-term Treatment with an Estrogen Receptor Agonist)

  • 모윤정;조영국;조현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70-1077
    • /
    • 2014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에 높은 친화성을 갖고 있는 수용체 촉진제인 propyl pyrazole triol (PPT)을 성체 수컷 생쥐에 이틀 간격으로 8일, 16일, 24일 동안 피하주사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현미경으로 부속 생식샘인 전립샘과 정낭, 그리고 간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의 체중과 생식샘의 무게는 감소하였지만 간의 무게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PPT 투여군에서 전립샘과 정낭의 내강 면적이 축소되었다. PPT 투여군 전립샘의 상피세포 높이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정낭의 경우, 상피세포의 핵 위쪽 세포질에 있는 분비 소포가 대조군에서는 나타났지만, PPT 군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해 PPT 투여군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투여횟수에 누적적으로 147.0%, 198.7%, 223.3% 의 비율로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는 PPT 투여로 인해 생식기관과 간의 조직 구조가 영향을 받으며, 그 조직학적 변화는 투여회수에 따라 더 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틀에 한번씩 투여한 PPT에 의해서 생식력 변화와 관련 있는 생식기관의 상피세포 높이 변화가 일어났고, 내강의 크기가 위축되었다. 간의 굴모양혈관 직경이 급격하게 확대되었으며, 이 결과는 간의 무게 증가로 이어졌다.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of Jeju Island (Korea)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diets containing high fat and increases antioxidant potential in t-BHP treated HepG2 cells

  • Noh, Jung-Ran;Gang, Gil-Tae;Kim, Yong-Hoon;Yang, Keum-Jin;Lee, Chul-Ho;Na, O-Su;Kim, Gi-Ju;Oh, Won-Keun;Lee, Young-D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3-10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named as 'magma seawater', MSW) of Jeju Island in Korea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MSW was collected from underground of Han-Dong in Jeju Island, and freely given to high fat diet (HFD)-fed C57BL/6 mice for 10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changes and plasma lipid levels, hepatic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SW group than in the normal tap water (TW)-drunken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activity of fatty acid synthase (F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CPT) activity was increased in MSW group compared to TW group. Similarly, real-time PCR analysis revealed that mRNA expressions of lipogenic genes were lowered in MSW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 morphometric observation on the liver tissue, accumulation of fats was remarkably reduced in MSW group. Meanwhile, in vitro assay,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d by using diphenylpicrylhydrazyl (DPPH) was increased in MSW group. Th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staining followed with fluorescent microscopy showed a low intensity of fluorescence in MSW-treated HepG2 cells, compared to TW-treated HepG2 cells, which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HepG2 cells was decreased by MSW treatment. The antioxidant effect of MSW o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was supported by the increased activities of intracellular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atal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From these results, we speculate that MSW has an inhibitory effect on lipogenesis in liver and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cell damage by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포도상구균 장내 C 형 변이독소 (SEC mutant)의 면역원성에 대한 연구 (Immunogenicity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mutant antigen in mice and dairy cows)

  • 장병선;주이석;문진산;서근석;양수진;김소현;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7-188
    • /
    • 2001
  • Mastiti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economic loss to the dairy industry. Especially,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contagious mastitis-causing pathogen in dairy cattle. Because of its high transmission rate and resistance to antibiotic therapy, staphylococcal mastitis presents a constant threat to the dairy industry. Staphylococcal enterotoxin C(SEC) produced by S aureus has been known as one of superantigens which are able to stimulate a large proportion of T lymphocytes independently of their antigenic specificity. In this experiment, we have conducted preliminary studies with mice and lactating cows to evaluate the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the experimental vaccine consists of SEC mutant antigen on controlling the bovine mastitis associated with S aureus infections. The average value of somatic cell counts in quarter milk, isolation rate of S aureus were consistently decreased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hereas antibody titers were highly increased in SEC-SER vaccinated groups. Peripheral blood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lactating cows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 associated with humoral immunity(HI) and cell mediated immunity(CMI). Propor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 expressing $BoCD2^+$(total T lymphocyte), $BoCD4^+$(T helper cell), $BoCD8^+$(T cytotoxic/suppressor cell) and NonT/NonB lymphocyte which are involved in CMI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ere decreased for the initial stage after first vaccination and then increased from ten weeks after first vaccination maintaining elevated level till 14 weeks after vaccination. In contrast, proportion of monocyte, MHC class II and B lymphocyt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primary immune response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ere increased for the initial period and then decreased from ten weeks after first vaccination. We present evidence that vaccination of SEC-SER mutant antigen in lactating cows induced a significant proliferation of bovine T lymph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C-SER mutant antigen used in this experiment might be one of potential immunogen in developing innovative vaccine against bovine IMI associated with S aureus. Additional challenge trials should be carried out to evaluate substantial protection against S aureus under the commercial farm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