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P-1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3초

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아이리스 '블루매직'의 절화수명 연장 (Extending the Vase Life of Cut Iris 'Blue Magic' Flowers by 1-Methylcyclopropene)

  • 김영아;이종석;박종수;이풍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85-989
    • /
    • 2010
  • 아이리스 'Blue Magic'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1-MCP 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에틸렌작용 억제제인 1-MCP 500nL와 1000nL 4시간 처리는 꽃잎위조와 꽃잎말림을 억제하였다. 1-MCP 500nL와 1000nL 처리된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무처리에 비해 0.5일 길었다. 1-MCP 처리 후 $3{\mu}L{\cdot}L^{-1}$ 에틸렌 처리도 무처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MCP 처리에서는 꽃잎말림이 억제되고, 생체중, 흡수량, 수분균형이 증가하였다. 생체중은 500nL 1-MCP 처리 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흡수량은 1000nL 1-MCP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무처리구의 아이리스는 4-5일째에 흡수량이 1-MCP 처리구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분균형은 무처리가 1-MCP 전처리보다 먼저 -값으로 떨어졌다.

수확시기 및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가 머스크멜론 (Cucumis melo L.)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 Timing and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the Quality of Muskmelon (Cucumis melo Linnaeus) during Storage)

  • 김지영;이혜옥;윤두현;김병삼;차환수;권기현;양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29-6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가 다른 머스크멜론을 이용하여 1-MCP를 처리한 후 멜론의 선도연장 및 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감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한 저장일에는 숙기에 관계없이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감모율이 적게 나타났다. 경도는 숙기와 관계없이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무처리구에서는 저장 10일부터 경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1-MCP 처리구에서는 저장 22일까지 높게 유지되어 멜론의 연화를 지연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 함량 변화는 정식 후 92일 이후에 수확된 멜론의 당도가 $14.3^{\circ}Brix$ 로 90일에 수확된 멜론의 $12.7^{\circ}Brix$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저장 7일까지는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13일 이후부터는 숙기에 관계없이 1-MCP 처리구의 산도가 항상 높게 측정되었다. 색 변화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 10일까지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밝은 값을 보였으나 13일 이후부터는 무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저장초기에는 무처리구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19일 이후부터는 1-MCP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 L값과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1-MCP 처리에 따른 호흡속도는 숙기와 관계없이 1-MCP 처리구의 호흡량이 무처리구 보다 증가 폭이 작았으며 호흡량도 적었다. 관능평가에서 조직감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기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MCP 처리구의 경우에는 28일 또는 34일까지 감소하지 않았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1-MCP 처리구의 경우, 5점을 marketable의 한계점으로 두었을 때 무처리구 보다 지수도 높았고 선도도 오래 유지되었다.

1-MCP 및 수확 후 처리가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장호원황도' 저장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MCP and Storage Condition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J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 천종필;서정석;김명선;임병선;안영직;황용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85-592
    • /
    • 2010
  • 복숭아 '장호원황도'에 있어 저장,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 처리 및 에틸렌제거제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1-MCP를 $1.0{\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 8일간의 상온 유통 중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숙과에 비하여 성숙과에서 1-MCP 처리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1-MCP를 $0.5{\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에는 품질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MCP를 0.5 및 $1.0{\mu}L{\cdot}L^{-1}$로 처리하였던 경우 과실의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였는데 호흡률 저하는 $1.0{\mu}L{\cdot}L^{-1}$ 처리구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온저장 중 1-MCP 처리와 에틸렌제거 처리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처리 효과가 저장 5일 후까지만 1-MCP를 처리한 과실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에틸렌 제거제 처리의 경우 성숙과의 경우에만 단기적 경도 유지효과를 보여주었다. 저온저장 중 에틸렌제거를 실시하였던 경우 성숙과에서 저장 초기에 경도 감소를 지연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완숙과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1-MCP 처리 과실에 대한 박스 내 에틸렌제거제 복합처리는 과실의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상온유통 5일 후 성숙과의 경우 1-MCP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2배 경도가 높아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의한 토마토의 선도연장 효과 (Use of 1-MCP to Extend Postharvest Life of Tomato)

  • 최선태;임병선;정대성;이지은;장규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86.2-187
    • /
    • 2003
  • 에틸렌 작용억제제인 1-MCP(1-methylcyclopropene) 처리에 따른 토마토의 선도연장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토마토“슈퍼도태랑(Supermomotaro)”품종을 Mature green 단계에서 수화한 다음 1-MCP를 2$0^{\circ}C$에서 250, 500, 및 1000ppb 의 농도로 4시간 동안 처리후 온도 2$0^{\circ}C$, 90% RH 조건에 저장하면서 에틸렌 발생, 호흡량 및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마토의 에틸렌 발생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2일째 급등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1-MCP 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해 그 급등정도가 낮았으며, 호흡량 또한 1-MCP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특히 처리 2일 후부터 무처리에 비해 2배정도 낮은 호흡량을 나타냈다. 과피의 착색진행 정도를 Hunter color의 적색도“a”값으로 비교한 결과, 무처리는 2일부터 6일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1-MCP 처리구는 그 증가 속도가 낮았으며, 처리농도가 높을수록“a”값의 변화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황색도“b”값의 비교에 있어서도 1-MCP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그 변화가 적었다. 경도는 무처리에서 2일 후에 급격히 감소하는데 비해 1-MCP처리에서는 4일까지 그 감소 폭이 적었으며, 1-MCP처리 농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부패과 발생은 무처리와 500ppb 처리에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1000ppb 처리에서는 오히려 무처리에 비해 부패율이 높아 고농도 처리에 의한 장해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250ppb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부패율이 적게 나타났다.

  • PDF

1-MCP와 에틸렌 혼용처리가 장기간 저온저장 후 상온에 보관된 '후지' 사과의 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Control of Softening of Long-Term Stored 'Fuji' Apples at Low Temperature and Subsequent Shelf-life by Combination Treatment of 1-MCP and Ethylene)

  • 최현석;정석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8-114
    • /
    • 2017
  • '후지' 사과(Malus${\times}$domestica Borkh.)에 $1.0{\mu}L{\cdot}L^{-1}$ 1-MCP를 처리하거나 또는 1-MCP 처리 후 $10{\mu}L{\cdot}L^{-1}$ 에틸렌가스를 살포(1-MCP+에틸렌)하여 180일간 $0.5^{\circ}C$ 저온에서 과실의 저장성을 조사한 후에, 28일 동안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연화정도를 비교하였다. 1-MCP 또는 1-MCP+에틸렌 처리된 과실의 산 함량과 경도는 저온저장 120일 이후부터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고, 이후 상온보관 28일 동안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1-MCP처리 과실은 저온저장+상온보관 동안 14N 이상으로 경도가 유지되었다. 과피 적색도는 저온저장 기간 중에는 처리에 따라 일관성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온보관 21일과 28일째에서는 1-MCP처리에 의하여 4.0 이상 높은 수준이 유지되었다. 대조구와 에틸렌 처리구는 저온저장 90일차에 에틸렌과 호흡량이 크게 상승되었고 클라이매터릭 맥시멈이 지나면서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1-MCP가 처리된 과실은 $10{\mu}L{\cdot}L^{-1}$정도의 에틸렌에 노출되더라도 장기간 저온저장과 약 한달간의 상온저장 동안 상품성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홍백'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수확 후 처리 효과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n Fruit Quality of 'Hong Bak' Peach during Shelf Life)

  • 서정석;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47-158
    • /
    • 2009
  • '홍백' 복숭아를 대상으로 저장 및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처리 방법과 4종의 선도 유지제 처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백' 복숭아의 적정 1-MCP 농도는 1000ppb였고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당도 및 산도의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통온도에 따른 1-MCP와 에틸렌 제거제의 효과를 보면 $20^{\circ}C$ 저장의 경우에 비하여 $30^{\circ}C$ 저장의 경우 1-MCP 처리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MCP 처리가 고온에서의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1-MCP와 선도유지를 위한 박스 내 충진물질의 복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본 결과 1-MCP와 카본세라믹 복합처리구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실용성이 인정되었다.

  • PDF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에 따른 머스크멜론의 선도 연장 (Freshness Prolongation of Muskmelon (Cucumis melo L.)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 김지영;이혜옥;윤두현;김병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36-54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멜론과실의 품질유지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1-MCP의 실용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감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동일한 저장일에는 무처리구가 1-MCP 처리구보다 항상 높게 나타났다. 경도변화에서 무처리구는 저장 1일 이후부터 급속히 감소된 반면 1-MCP 처리구는 7일 이후에 감소되었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감소폭도 적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4일에 15.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후 저장기간이 경과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1-MCP 처리구는 저장 16일까지 14%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10일 이후부터 감소되어 저장 25일에는 0.2%로 현저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나 1-MCP 처리구는 22일 이후부터 감소하여 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무처리구는 저장 13일 이후부터 멜론의 맛과 풍미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지만 1-MCP 처리구는 25일까지 맛과 풍미가 유지되었다(p<0.05). 전체 기호도는 5점을 marketable의 한계점으로 두었을 때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지수도 높았고 선도도 오래 유지되었다.

Luteolin의 IL-1β에 의한 MCP1 단백질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teolin on IL-1β-Induced MCP1 Protein Expression)

  • 임준희;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4-519
    • /
    • 2009
  • 혈관벽에 단핵구, 대식세포 등의 세포와 지질 등의 축적은 중요한 동맥경화 발병 요인이다. 이들 세포의 혈관벽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chemokine인 MCP1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평활근세포에서 $IL-1{\beta}$의 처리에 의하여 MCP1의 발현이 증가되는 기전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IL-1{\beta}$의 처리는 전사인자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해 MCP1 발현을 전사단계에서 증가시켰다. 이러한 $IL-1{\beta}$에 의해 증가된 MCP1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여러 항염증작용을 하는 물질들을 전처리하여 확인해 본 결과 luteolin이 선택적으로 $IL-1{\beta}$에 의해 증가된 MCP1의 발현을 전사단계에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전사인자 $NF-{\kappa}B$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Luteolin이 염증작용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본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고 이는 식용식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luteolin이 어떠한 기전으로 항 염증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아스파라거스의 장기저장을 위한 1-MCP와 MA저장의 효과 (Effects of 1-MCP and MA Storage Treatments for Long-Term Storage of Asparagus Spears)

  • 윤혁성;최인이;백준필;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8-122
    • /
    • 2016
  • 본 실험은 1-MCP처리와 저장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신선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MCP 처리는 MA 조건과 유공필름(관행조건)에 처리되었으며 무처리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여 저장하였다. 처리된 아스파라거스는 40일 동안 $4^{\circ}C$에 저장되었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1-MCP 처리를 포함한, MA저장 처리구에서 0.2% 이하였고 유공필름에 저장된 1-MCP 처리는 생체중 감소율이 저장 20일 후부터 다소 낮아졌다. 포장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MA저장 처리구 모두 최적 CA 조건인 5-12%($CO_2$)의 농도를 유지하였고, 산소농도는 5-15%를 유지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MA저장 1-MCP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저장 최종일의 외관상 품질, 이취, 경도, 당도, 그리고 Hue angle 값은 MA저장에서 관행저장보다 우수하였으나 1-MCP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1-MCP처리는 아스파라거스의 품질 및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Methylcyclopropene이 'Formosa' 자두의 품질과 유통기간 연장 (Fruit Quality of 1-Methylcyclopropene Treated 'Formosa' Plum on the Shelf Life at Ambient Temperature)

  • 정재훈;김영칠;정석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29-433
    • /
    • 2010
  • 본 연구는 1-MCP가 'Formosa' 자두의 저장 중 품질 변화와 유통기간 연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수확한 'Formosa' 자두를 균일한 크기와 색깔로 선별한 후 수확 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후에 걸쳐서 각각 1-MCP를 $1{\mu}L{\cdot}L^{-1}$ 농도로 $20^{\circ}C$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여 대조구(무처리)와 비교하였다. 1-MCP를 처리한 후 14일 동안 상온에서 자두의 연화도, 과중감소율, 가용성고형물 함량 변화, 산도, 그리고 과실의 색깔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중감소율과 과실연화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은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1-MCP 처리 시기(수확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간에는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1-MCP처리구의 과실에서는 산도와 과실의 색깔 변화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게 나타났다. 또한 1-MCP는 저장 중에 발생하는 과실의 부패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MCP 처리시기(${\geq}1$일) 연장은 상온저장시 과실의 경도, 산도, 과일 색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과실품질 유지에 실용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