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ET (Mobile Ad Hoc Networks)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46초

Ad hoc 망을 위한 IPv6기반 비상태형 자동 주소설정 프로토콜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for Mobile Ad Hoc Networks)

  • 박정수;인민교;홍용근;김용진;박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1-64
    • /
    • 2001
  • IPv6 상태 비보존형 자동설정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SAA) 방식은 개념적으로 MANET (mobile ad hoc networks) 환경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보존형 자동설정 방식의 핵심 프로토콜인 이웃 탐색 프로토콜(Neighbor Discovery protocol, NDP)는 MANET의 multi-link 환경에 적절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MANET 환경에 적절하도록 SAA 메커니즘을 확장하고자 한다. 즉, NDP를 확장하고자 한다.

  • PDF

MANET에 대해 QoS를 지원하는 ZRP의 성능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ZRP supporting QoS for Mobile Ad hoc networks)

  • 권오성;정의헌;김준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3B호
    • /
    • pp.224-236
    • /
    • 2003
  • MANET(Mobile Ad hoc Network)에서는 이동 단말들이 기존에 설치된 구조물이나 운영자의 노력없이 스스로 임시망을 구성하여 통신을 하게 된다. ad hoc 망에서의 라우팅은 이동성이 많은 단말들이 임시로 망을 구성하기 때문에 망 자체가 유기적으로 자주 변하며, 이로 인해 잦은 연결실패로 인한 불안정한 환경이 조성되어 기존의 유선환경보다 좀 더 어려우며 유선망에서 쓰이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ad hoc 망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ad hoc 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ad hoc 망에서 사용되는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고, 그 중 hybrid 기법을 사용하는 ZRP(Zone Routing Protocol)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ZRP 프로토콜의 경우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선 최적의 존 반경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IARP 또는 IERP 트래픽의 급증으로 인하여 패킷의 전송을 위해 필요로 하는 ZRP 트래픽의 오버헤드를 크게 증가시켜 전체적인 망의 성능이 저하됨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ad hoc 망에서의 QoS 라우팅을 위한 in-band 시그널을 이용한 QoS 경로를 찾는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QoS를 보장한 경로에 한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경로를 보장할 수 있었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AODV를 위한 IPv6 주소 자동 설정 (IPv6 Address Autoconfiguration for AODV in Mobile Ad Hoc Networks)

  • 안상현;김영민;이영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7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 Hoc Networks; MANET)의 장점은 네트워크 인프라의도움 없이 모바일 노드들이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MANET의 이러한 특징을 보다 완벽하게 하기 위해 각 노드들은 자신의 주소도 스스로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분리되어 있던 MANET들이 쉽게 병합할 수 있는 MANET 환경에서는 부팅 시에 충돌이 없는 주소를 할당했더라도 병합 후에 주소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주소 자동 설정 프로토콜은 강한 중복 주소 감지(Strong Duplicate Address Detection; Strong DAD)와 약한 중복 주소 감지(Weak DAD)로 구성된다. 이동 노드는 'Strong DAD'를 이용하여 부팅 시에 유일한 주소를 할당하며, 애드 혹 라우팅 과정에서 'Weak DAD'를 이용하여 주소 중복을 감지하고 해결한다. 본 연구에서는 애드 혹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AODV(Ad Hoc On Demand Distance Vector)를 사용하는 IPv6 기반 MANET 환경에서 동작하는 주소 자동 설정 기법을 구현하고, 테스트베드에서 몇 가지 시나리오들을 통해 본 연구의 구현물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여준다.

MANET 환경에서 노드 상태 제어 알고리즘 (A Node Status Control Algorithm in Mobile Ad-Hoc Networks)

  • 이수진;최대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3호
    • /
    • pp.188-190
    • /
    • 2014
  • MANET(Mobile Ad-hoc Networks)에서 참여 노드 수가 증가할수록 경로탐색을 위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제어메시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네트워크 성능을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브로드캐스트 스톰 문제(broadcast storm problem)의 발생 확률을 낮춰 네트워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노드 상태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obile Ad Hoc Network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효율적인 인증 메커니즘 (Efficient Authentication for Mobile Nodes in Mobile Ad Hoc Network)

  • 이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1호
    • /
    • pp.27-34
    • /
    • 2005
  • Mobile Ad Hoc Networks (MANETs)은 기존의 기반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자치적으로 구성${\cdot}$운영되는 네트워크이다. 다른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처럼, 보완은 MANET의 사용 확산에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노드들의 구성이 자주 빠르게 변하고, 기존의 기반구조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한 MANET에서 이러한 특성을 지원하는 보안 프로토콜의 개발이 중요하다. 유선의 기반구조를 적용한 네트워크에서 이미 개발되어 사용 중인 신뢰 모델과 인증 프로토콜은 MANET에서 사용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아주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된 이동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인증 문제를 주제로 주목하고, 위와 같은 MANET 환경에 맞는 새로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노드들에게 CA(Certification Authority)의 기능을 분산시키고 CA이 기능이 구현된 노드들 사이에 인증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randomized group을 사용한다. 또한 randomized group을 적용한 인증 메커니즘의 성능을 평가한다.

MANET에서의 Reactive Routing Keyword 기반 라우팅 프로시듀어 (Reactive Routing Keyword based Routing Procedure in MANET)

  • 박수현;신수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5-69
    • /
    • 2004
  • In MANET(Mobile Ad-hoc Network), unlike in wired networks, a path configuration should be in advance of data transmission along a routing path. Frequent movement of mobile nodes, however,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figured path and requires re-configuration of the path very often. It may also leads to seriou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QoS in mobile ad-hoc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eactive Routing Keyword (RRK) routing procedure to solve those problems. Firstly, we noticed it is possible in RRK routing to assign multiple routing paths to the destination node. We applied this feature into active networks and SNMP information based routing by storing unique keywords in cache of mobile nodes corresponding to present and candidate routings in a path configuration procedure. It was shown that the deterioration of QoS which may observed in Dynamic Source Routing(DSR) protocol was greatly mitigated by using the proposed routing technique.

  • PDF

Mobile Ad Hoc Networks(MANET)에서의 고정셀을 이용한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Using Fixed Cell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

  • 정종광;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583-585
    • /
    • 2002
  • Mobile Ad Hoc Network에서는 무선으로 연결된 호스트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미리 설치된 유선망을 이용하는 셀롤러망과 달리 이동 호스트 사이의 통신만으로 이루어진 망이다. Mobile Ad Hoc Network에서는 각각의 노드들의 이동성이 높기 때문에 이 각각의 노드들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Mobile Ad Hoc Network를 위한 많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CBRP)극 변형하여 마치 셀롤러망에서의 셀과 같이 고정된 위치를 하나의 셀로 정의하고 그 하나의 셀이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라우팅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MANET에서의 온-디멘드 방식의 전력 효율적인 QoS 라우팅 알고리즘 (On-Demand Power-Efficient QoS Routing Algorithm over Mobile Ad Hoc Networks)

  • 이재권;송황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9A호
    • /
    • pp.923-93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에서 전력 효율적인 QoS 라우팅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해당 응용 계층에 따라서 대역폭, 지연시간 등의 QoS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는 토폴로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변하고, 전력 등의 자원에 제약이 많기 때문에 QoS를 보장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최소의 전체 소비전력으로 보다 지속적으로 종단 간에 요구된 QoS를 보장하는 온-디멘드 방식의 QoS 라우팅 알고리즘(MAPER)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인다.

MANET 기반 VoIP 시스템 설계 (Design of VoIP System over MANET)

  • 리밍;김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9-461
    • /
    • 2010
  • Ad-Hoc VoIP 시스템은 모바일 애드-훅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기술이다. 소규모 모바일 애드-훅 통신망에서 VoIP 기술은 쉽게 구축을 할 수 있으며 통화 품질 역시 보장한다. Ad-Hoc VoIP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구현 하지만 MANET에서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기반 스테이션이 존재하지 않아서 서버를 간소화하고 각 단말기에서 분산하게 동작하는 서버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 리눅스 기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1회선을 처리 가능한 28Mb의 용량인 Ad-Hoc VoIP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데이터베이스를 조정과 IPv4등 기술을 통과하여 서비스 품질을 되도록 향상되었다.

  • PDF

다중 홉 Ad Hoc 망에서 Power-Saving 프로토콜의 성능분석 (Analysis of Power-Saving Protocols for Multi-hop Ad Hoc Networks)

  • 김동현;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03-207
    • /
    • 2003
  • 이동 Ad Hoc 네트워크는 기반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거나 이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 혹은 필요에 따라 고정된 기반 네트워크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단말들이 자율적이고 임시적으로 구성하는 네트워킹 기술을 말한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네트워크는 소형화, 경량화 특히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진보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MANET은 어떻게 하면 좀더 효율적인 라우팅을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최근에 MANET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power saving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홉 Ad Hoc망에서 power saving프로토콜을 비교분석하여 제안된 프로토콜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