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 storag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3초

Reducing the congestion in a class of job shops

  • 김성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8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초록집;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서울; 31 Oct. 1987
    • /
    • pp.35-35
    • /
    • 1987
  • Consider a job shop that is modelled as an open queueing network of the Jackson(l957) type. All work stations in the shop have the same number of parallel servers. Two problems are studied : the loading of stations and the assignment of servers, which are represented by loading and assingment vectors, respectively. Ma jorization and arrangement orderings are established to order, respectively, the loading and the assignment vectors. It is shown that reducing the loading vector under ma jorizat ion or increasing the assignment vector under arrangement ordering will reduce the congestion in the shop in terms of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jobs(in the sense of likelihood ratio ordering), the maximum queue length(in the sense of stochastic ordering), and the queue-length vector( in the sense of stochastic majorization). The results can be used to supprot production planning in certain job shops, and to aid the desing of storage capacity. (OPEN QUEUEING NETWORK; WJORIZATION; ARRANGEMENT ORDERINC; LIKELIHOOD RATIO ORDERINC; STOCHASTIC ORDERING)

  • PDF

수삼의 CA 및 MA 저장이 홍삼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 and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n the Fatty Acid of Fresh and Red Ginseng)

  • 전병선;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60-266
    • /
    • 1995
  • Fifteen free fatty acids including myristic aci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red ginseng processed from CA and MA stored fresh ginseng. Linoleic acid (80%) and palmitic acid (10.5%) content were the major components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free fatty acid. The contents of free and identified fatty acids were not greatly changed in all the treatments. Especially when preservative was treated, the change of free fatty acid was quite stable over the control. Each fraction of neutral, glyco- and phospholipid was constant in terms of quantiti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Key words Controlled atmosphere, modified atmosphere, fresh ginseng, red ginseng, fatty acid.

  • PDF

MAP 포장재인 숨쉬는 필름이 장거리 수출 조건에서 토마토의 품질과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eathable Film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terial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Tomato in Long Distance Export Condition)

  • 모하메드 조히를 이스람;김영식;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1-226
    • /
    • 2011
  • 본 연구는 토마토 (cv 'adison')의 장거리 수출을 위한 MAP에 적합한 숨쉬는 필름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5,000cc, 10,000cc, $20,000cc/m^2{\cdot}day{\cdot}atm$의 산소투과도를 가지는 숨쉬는 필름 포장 처리구에서 0.6% 이하의 낮은 수준을 보인 반면, 기존에 원예작물 포장용으로 사용되던 천공필름은 1.4%의 감소를 보였다. $5^{\circ}C$ 저장중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는 20,000cc 필름처리에서 토마토 MA저장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20^{\circ}C$ 저장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반면 산소농도는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역시 20,000cc 필름 처리에서 가장 변화폭이 적었다 포장재내 에틸렌 농도변화도 $5^{\circ}C$ 저장 후 $20^{\circ}C$에서 저장한 21일부터 25일까지 크게 증가하였는데, 숨쉬는 필름처리 중에서는 20,000cc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토마토의 상품성은 $5^{\circ}C$ 저장 20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지되었으나, $20^{\circ}C$ 저장 5일째부터 곰팡이가 발생하면서 품질이 급격히 열화되었다. 저장 최종일에 분석한 경도, 비타민 C, 당도는 20,000cc 처리구에서 각각 9.56N, 16.31mg/100 gFW, 그리고 $7^{\circ}Brix$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20,000cc/m^2{\cdot}day{\cdot}atm$ 산소 투과도를 가진 숨쉬는 필름이 20일 이상의 장거리 수출에서 적합한 MAP용 포장재라고 생각되었다.

홍화씨가 분쇄돈육의 냉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with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경숙;김민주;박현숙;최영준;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9-405
    • /
    • 2012
  • 본 연구는 지방대체제로 첨가한 홍화씨 분말이 내장 중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 68%, 냉수 10%, 소금 2%에 돼지지방 20%(PF, control), 돼지지방 10%와 홍화씨 10%(PFS) 그리고 홍화씨 20%(SS)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들은 냉장 중 pH, TBARS값, 색도, 보수력, 가열감량, 직경 감소율 및 기계적 조직감을 측정하였다. pH는 냉장 중 높아지다가 10일째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냉장 10일째의 pH는 PFS 및 SS가 PF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TBARS값은 냉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냉장 10일째 PF, PFS 및 SS가 각각 1.186, 0.686 및 0.577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표면색깔의 경우 PF 및 PFS는 감소하였지만 SS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a^*$값은 저장 중 감소하였지만 $b^*$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내부색깔의 경우 PFS 및 SS의 $L^*$값은 감소하였지만 PF는 저장 중 변화가 없었다(p<0.05). PF의 $a^*$값은 저장 중 감소하였지만 SS는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PF의 $b^*$값은 저장 중 감소하였지만 PFS 및 SS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보수력은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SS의 보수력이 가장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PF가 가장 높았으며, PFS 및 SS는 냉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직경감소율은 냉장 중 변화가 없었으며, PF의 직경감소율이 가장 컸다(p<0.05). 경도 및 저작성은 냉장 중 증가하였으며, 탄성 및 응집성은 낮아졌다(p<0.05). 이상의 결과, 홍화씨 분말은 분쇄육제품의 동물성 지방 대체제로서 효과가 있었고, 육제품을 개선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홍화씨 분말 10%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평가 (Evaluation of Beef Freshness Using Visible-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a)

  • 최창현;김종훈;김용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5-12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통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쇠고기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쇠고기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설정된 저장기간에 대하여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쇠고기 시료는 총 216개를 사용하였으며 0-14일의 기간 동안 2일 간격으로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쇠고기의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총균수, pH, VBN, TMA, TBA값을 공인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예측모델은 다중회귀분석 방법과 최적 변수 선택이 가능한 stepwise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예측모델의 선정은 결정계수, 오차, RPD를 이용하였다. 예측모델의 검증은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결정계수, 오차, RPD는 총균수에서 각각 0.74, 0.64, 2.75 Log CFU/$cm^2$, VBN은 각각 0.73, 1.45, 2.00 mg%, TMA는 각각 0.70, 0.19, 2.58 mg%, TBA값은 각각 0.73, 0.13, 2.77 mg MA/kg로 비교적 안정된 예측성능을 보여 주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예측모델의 검증결과는 결정계수, 오차, RPD가 각각 0.77, 1.94일, 2.53으로 실험 시 저장기간이 2일 간격인 점을 고려할 때,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H의 예측성능은 결정계수, 오차, RPD가 각각 0.43, 0.10, 1.10로 다른 신선도 인자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쇠고기 신선도의 비파괴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유통현장에서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료의 확보를 통한 예측모델의 신뢰성 향상과 stepwise방법으로 선정된 파장 영역을 기본으로 하는 부분최소자승법,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한 성능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가스조절 저장방법을 이용한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의 유통기간 연장 (Modified Atmosphere Storage for Extending Shelf Life of Oyster Mushroom and Shiitake)

  • 한대석;안병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6-381
    • /
    • 1992
  • 버섯의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경가스조절(modified atmosphere, MA) 저장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고버섯과 느타리버섯을 두께가 $50\;{\mu}m$인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 $0.5^{\circ}C$에서 저장하였다. 재래식 골판지 상자에 4kg씩 포장된 대조구 버섯은 수분증발, 외관수축, 변색 및 균사발생으로 인하여 유통기간이 $5{\sim}6$일에 불과하였다. MA 저장구의 버섯은 저장 4주 후에도 중량감소가 $1.6{\sim}1.7%$로 낮아 갓 안쪽 주름의 변형이 없었고 갓이 퍼지지도 않았으며 변색도 거의 없었는데 이는 포장내 습도가 포화상태로 유지되고 포장내 산소가 $1.0{\sim}1.3%$, 이산화탄소가 10% 이상으로 유지되어 버섯의 호흡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MA 저장 느타리버섯은 조직연화가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판단한 유통기간은 15일 정도였으며 MA 저장 표고버섯은 갓의 황변이 품질저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판단한 동고의 유통기간은 15일, 화고의 유통기간은 30일 이상이었다.

  • PDF

연잎추출물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with Lotus Leaf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경수;김주남;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7-486
    • /
    • 2013
  • 본 연구는 연잎추출물의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 88%, 대두유 5%, 소금 2%, 냉수 5%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냉수대신 3%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1, 7%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2 그리고 10%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3 등 네 종류의 분쇄돈육을 제조하였다. 이들은 냉장 중 pH, TBARS, VBN 함량, 표면과 내부의 색깔, 보수력, 가열감량, 경도 및 씹힘성을 측정하였다. 분쇄돈육의 pH는 저장 중 높아지다가 10일째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TBARS는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T0, T1, T2 및 T3가 각각 0.777, 0.244, 0.185 및 0.182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VBN 함량은 저장 중 T0 및 T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T2 및 T3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표면 색깔의 경우, 명도($L^*$)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T0가 가장 높았다(p<0.05). 적색도($a^*$)는 저장 중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저장 초기가 가장 높았다(p<0.05). 내부 색깔의 경우, 명도는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적색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황색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2 및 T3가 가장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저장 중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0 및 T1이 T2 및 T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경도 및 씹힘성은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시료들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Physico-chemical attributes, sensory evalua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leg meat from broilers supplemented with plant extracts

  • Yang, Eun Ju;Seo, Ye Seul;Dilawar, Muhammad Ammar;Mun, Hong Seok;Park, Hyeoung Seog;Yang, Chul J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5호
    • /
    • pp.730-740
    • /
    • 2020
  • This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ha arvensis (MA) and Geranium thunbergii (GT) in drinking water on physicochemical attributes, sensory qualities, proximate analysis and oxidative stability of broiler leg meat. One hundred and twenty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for 5 week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2) T1 (0.1% 1 MA:1 GT), 3) T2 (0.1% 1 MA:4 GT), 4) T3 (0.1% 4 MA: 1 GT).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were improved (p < 0.05) in T2 and T3. The flavor,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leg meat by consum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2 relative to the control (p < 0.05).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in T3 while the crude fat decreased in T2 (p < 0.05). Moreover, broilers supplemented with plant extracts had the lowest leg meat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after 2 weeks of stor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Total phenolic contents and 1-1-diphenyl 2 picrylhydrazyl (DPPH) activity were also better in the T2 group (p < 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reas 2,2-Azinobis-3 ethyt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emained unaffected. Overal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roiler drinking water with the inclusion of plant extract combination can be used to enhance the oxidative stability, shelf 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iler leg meat without compromising the growth performance.

일산화질소(NO) 전처리가 MA포장 복숭아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ic Oxide Pretreatment on Quality of MA Packaged Peaches)

  • 정헌식;김종국;강우원;윤광섭;이주백;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18-1022
    • /
    • 2002
  • 일산화질소(NO) 처리가 저장 중 황도 복숭아의 생리적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과실을 수확하여 밀폐용기에 넣고 $10^{\circ}C$에서 $N_2$ 치환 후 4시간 동안 NO(0, 10, 100 ppm) 처리한 다음 MA(0.05 mm LDPE) 포장하여 15일간 저장실험을 실시하였다. NO 100 ppm 처리는 복숭아의 에틸렌 생성과 과육경도 손실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가용성 고형물, 적정산도 및 표면색도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O처리와 병행한 $N_2$치환 처리는 과실의 호흡과 에틸렌 생성을 억제시키는데 기여하였으며, MA포장은 NO 전처리와 무관하게 과육경도와 표면녹색의 손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가용성 고형물과 적정산도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기능성 골판지 상자에 포장된 토마토의 신선도 (Corrugated Paperboard Box Laminated Functional MA Film for Freshness Extension of Tomato)

  • 박형우;강진경;박종대;김동만;김기정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
    • /
    • 2001
  • 기능성 MA필름을 생산하여 이를 골판지 상자의 내부에 첨합시킨 FC상자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고자 골판지 상자와 기능성 MA필름을 골판지 상자 내부의 1면당 5곳씩 첨합시킨 FC포장구와 LDPE 및 기능성필름으로 토마토를 포장하여 $25^{\circ}C$에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FC 상자와 LD와 CE 포장구는 대조구 보다는 중량감소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비타민 C의 함량도 14%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산도는 포장구들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FC 포장구 보다 대조구에서 19% 더 높아 그만큼 품질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관 및 부패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개발 포장구에서 품질이 더 높게 유지되고 있어 FC 포장재를 토마토 포장용 상자로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