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67

검색결과 4,084건 처리시간 0.035초

추출방법에 따른 상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i ramulu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9-17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상지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상지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50% 에탄올추출 및 열수추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34.66 mg/g 및 35.6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ORAC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g당 $3,483.37{\mu}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17.34~65.8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방법별 $100{\sim}500{\mu}g/mL$ 농도에서 62.56~98.74%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189.00{\sim}974.80{\mu}M$ 및 0.12~0.82로 가장 우수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67.2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방법이 상지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세포와 비변형세포에서 이온형과 Transferrin 결합형 Fe-59와 Ga-67 섭취율의 비교 (Comparison of Uptake of Ionic and Tf-bound Fe-59 and Ga-67 in Transformed and Untransformed Cells)

  • 손명희;이영환;이상용;정경호;한영민;김종수;최기철;임창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5-151
    • /
    • 1996
  • 철분이 축적하는데는 Tf나 Tf수용체에 의해 중재되는 경로와 비의존적인 경로가 둘 다 보고되어 왔다. 종양영상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Ga-67은 철분 유사 물질로 이러한 철분의 섭취 경로와 같은 경로에 의해 섭취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Ga도 Tf의존성과 비의존성 섭취 경로가 보고되었으며 부분적으로는 철분과 같은 섭취경로를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종양의 변형정도에 따라 방사성 금속의 섭취기전이 다를 수도 있다. 변형세포로서 MMSV/3T3 세포와 비변형세포로서 BALB/3T3 세포를 Tf이 존재할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에서 1uM의 Ga-67-citrate 혹은 Fe-59-chloride 와 함께 $37^{\circ}C$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 단일층의 세포를 HBSS로 3번, PBS로 1번 씻은 후 1% SDS로 용해시킨 후 감마카운터로 방사능을 측정한 후 단백질양을 측정하여 pmole metal/mg cellular protein으로 표시하였다. Fe-59와 Ga-67의 섭취양상은 71결합형과 이온형 둘다에서 크기의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즉 두 방사성 금속은 Tf 결합형과 이온형으로 세포로 들어간다. Tf과 함께 존재할 때는 철분이나 Ga 섭취가 변형세포에서 비변형세포에 비해 약 3배 이상 높았으나 Tf이 없이 이온형으로 존재할 때는 이와는 반대로 비변형세포에 의한 섭취가 변형세포에 비해 약4배 더 많았다. Ga-67이나 Fe-59의 섭취의 효율성은 Tf결합형인 Ga-Tf, Fe-Tf 형태가 이온형에 비해 약 10-15배 더 컸다. 그러나 섭취는 효율성의 크기는 Ga-67(3배)에 비해 Fe-59(10배)가 더 컸다. Ga-67의 섭취는 Tf의존성과 Tf비의존성 기전이 같이 존재하며 변형세포와 비변형세포는 서로 반대로 작용하였다. 즉 변형세포의 섭취는 Tf의존성 기전에 의하고, 비변형세포의 섭취는 Tf 비의존성 기전에 의해 주로 일어나며 종양조직에 의한 Ga-67의 섭취 기전은 부분적으로는 Fe-59와 같은 섭취기전을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ischarg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ir of Newly-constructed Apartment Houses

  • Ryu, Jung-Min;Jang, Seong-Ki;Yang, Won-Ho;Cho, Tae-Jin;Son, Bu-S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9-487
    • /
    • 2009
  • Because of the building is made airtight, Indoor Air Quality(IAQ) is go from bad to worse. There are many source of indoor pollution in any home. These include irritation of the eyes, nose, and throat, headaches, dizziness, and fatigue. Such immediate effects are usually short-term and treatable. In this study was measured and analyzed VOCs exposure levels and characteristic of Indoor air pollutant from new apartments in Korea. VOCs were measured indoor pre-residential and residential in new apartment and analyzed GC/MS. The concentration levels of indoor respirable TVOC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outdoor TVOC for new apartments. Before occupation, the average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were 1498.61 $ug/m^3$ and 468.38 $ug/m^3$, respectively. After being occupied, the average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 were 847.04 $ug/m^3$ and 102.8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VOC in new apartments before occupation were shown in the order of Toluene(328.12 $ug/m^3$) > m,p-Xylene(163.67 $ug/m^3$) > Ethy1benzene(80.70 $ug/m^3$>o-XYlene (67.04$ug/m^3$). In addition, the TVOCs concentrations after occupation were also found in the order of Toluene (272.28 $ug/m^3$) > m.p-Xylene(121.79 $ug/m^3$) > Ethylbenzene(53.92 $ug/m^3$)>O-Xylene(24.94 $ug/m^3$).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s of VOCs in new apartment houses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activity patterns. So new apartments need to be controled in indoor air quality so that the residents can have more comfortable and healthier living environment.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 금속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Plates Painted with Alkylenediaminoalkyl-Bis-Phosphonic Acid (Mn+))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70-76
    • /
    • 2013
  • 새로운 4종의 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염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가지고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15 wt%의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염 수용액으로 리기다 소나무에 3회 붓칠한 시험편은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염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에 비하여 그의 연소 억제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염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보다 각각 낮은 최대열방출률(162.02~145.36) $kW/m^2$과 낮은 총열방출률(73.0~67.4) $MJ/m^2$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염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열전도성 증가에 의하여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에 비해 각각 빠른 착화시간(67~23) s과 짧은 불꽃소멸시간(472~433) s을 나타내었다.

한국 남해안 부어류의 음향반사강도에 관한 연구 I. 멸치 (Engraulis japonica)의 in situ 반사강도 측정 (Acoustic Target Strength of the Pelagic Fish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 In situ Measurement of Target Streng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 윤갑동;김장근;최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4
    • /
    • 1996
  • 우리나라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주요 어업대상어종의 자원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남해동부연안에 분포하는 멸치어군을 대상으로 Split beam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in situ TS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에서 어획물의 $95\%$가 멸치였으며, 그 체장빈도 분포는 체장범위 $13.6\~15.4cm$, 평균체장 14.4cm이었고, 체중빈도 분포는 체중범위 $16\~28g$ 평균체중 21.9 g이었다. 2. 멸치의 반사강도는 수심 $10\~30m$ 에서 $-40.7\~-69.2dB,\;30\~50m$, 수층에서 $-42.2\~-67.7dB,\;10\~50m$ 수층에서 $-42.2\~-67.7dB$의 범위였고, 그 빈도분포에는 2개의 mode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나타났다. 3. 멸치의 평균반사강도는 -49.7 dB/fish 및 -33.1 dB/kg 이었으며, $90\%$ 신뢰구간은 1 dB 이하였다. 또한, 멸치의 반사강도 (TS)와 체장 (cm)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TS=20 log L-72.9.

  • PDF

수온과 먹이에 따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치어의 에너지수지 (Energy budget of sandfish juvenile, Arctoscopus japonicus reared at different diet conditions and water temperature)

  • 양재형;이성일;윤상철;김종빈;전영열;박기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2호
    • /
    • pp.128-138
    • /
    • 2011
  • In this study, energy budget was estimat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And it needs to enhance fisheries productivity of sandfish, A. japonicus. In order to estimate energy budget of the sandfish, A. japonicus juvenile fed on nonriched Artemia nauplii (NA) and the enriched Artemia nauplii (EA), of sandfish were reared at constant condition of seawater temperature of natural temperature (NT) and heated temperature (HT). During the reared period, energy used by the reared juveniles were calculated from estimates of data on ingestion, growth, oxygen consumption, nitrogen excretion and energy content. Energy budget of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100C=66.49G+21.28M+0.78F+1.44U, 100C=67.54G+21.40M+9.39F+1.67U, 100C=66.86G+22.66M+8.01F+2.47U and 100C=67.06G+22.96M+7.70F+2.28U. The assimilation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87.78%, 88.94%, 89.52% and 90.02%. Gross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66.49%, 67.54%, 66.86% and 67.06%. Net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75.75%, 75.94%, 74.68% and 74.49%. In this results, two ways could be consider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of sandfish. To hasten the growth of sandfish juvenile, heated seawater (H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And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natural seawater (N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Lead Iodide in the Sodalite Cavities of Zeolite A (LTA)

  • Kim, Seok-Han;Lim, Woo-Taik;Kim, Ghyung-Hwa;Lee, Heung-Soo;Heo, Nam-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679-686
    • /
    • 2006
  • The positions of $PbI _2$ molecule synthesized into the molecular-dimensioned cavities of $\mid K_6 (Pb _4I_2)(PbI_2) _{0.67}-(H_2O)_2\mid [Si _{12}Al _{12}O _{48}]$-LTA have been determined. A single crystal of $\mid Pb _6\mid [Si _{12}Al _{12}O _{48}]$-LTA, prepared by the dynamic ion-exchange of $\mid Na _{12}\mid [Si _{12}Al _{12}O _{48}]$-LTA with aqueous 0.05 M $Pb _(NO _3)_2$ and washed with deionized water, was placed in a stream of flowing aqueous 0.05 M KI at 294 K for three days. The resulting crystal structure of the product $( \mid K_6 (Pb _4I_2)(PbI_2) _{0.67}(H_2O)_2\mid [Si _{12}Al _{12}O _{48}]$-LTA, a = 12.353(1) $\AA$) was determined at 294 K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in the space group Pm3 m. It was refined with all measured reflections to the final error index $R_1$ = 0.062 for 623 reflections which $F_o$ > 4$\sigma$($F_o$). 4.67 $Pb ^{2+}$ and six $K^+$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at three crystallographically distinct positions: 3.67 $Pb ^{2+}$ and three $K^+$ ions on the 3-fold axes opposite six-rings in the large cavity, three $K^+$ ions off the plane of the eight-rings, and the remaining one $Pb ^{2+}$ ion lies opposite four-ring in the large cavity. 0.67 $Pb ^{2+}$ ions and 1.34 $I^-$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in the sodalite units, indicating the formation of a $PbI _2$ molecule in 67% of the sodalite units. Each $PbI _2$ (Pb-I = 3.392(7) $\AA$) is held in place by the coordination of its one $Pb ^{2+}$ ion to the zeolite framework (a $Pb ^{2+}$ cation is 0.74 $\AA$ from a six-ring oxygens) and by the coordination of its two $I^-$ ions to $K^+$ ions through six-rings (I-K = 3.63(4) $\AA$). Two additional $I^-$ ions per unit cell are found opposite a four-ring in the large cavity and form $Pb _2K_2I^{5+}$ and $Pb _2K_2I^{3+}$ moieties, respectively, and two water molecules per unit cell are also found on the 3-fold axes in the large cavity.

음식물쓰레기 주입형태에 따른 혐기성소화조의 메탄가스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duction Characteristic of Methane Gas in Anaerobic Digestion Reactor according to Input Type of Food Waste)

  • 이영형;박성현;성낙창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55-6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주입형태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의 메탄가스 발생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1:0, 1:0.1, 1:0.3, 1:0.5, 1:1, 1:2의 비율로 혼합소화시킨 반응조에서의 주입 g VS당 메탄가스 발생량은 40mL, 85mL, 62mL, 67mL, 72mL 및 73mL $CH_4/g$ $VS_{added}$였다. 음식물 쓰레기의 입경을 raw food, 2~4mm 그리고 2mm이하로 주입하여 혼합소화시킨 반응조에서의 메탄함량이 각각 51.1%, 53.1% 및 50.6%로 나타나 별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입경이 작을수록 높은 메탄발생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입 음식물 쓰레기의 세척여부와 회수에 따른 탄발생량은 음식물 쓰레기를 7~8회 세척한 경우가 세척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1mL $CH_4/g$ $VS_{added}$ 많이 발생하였다.

  • PDF

Cryopreservation of Embryo by Concentration of Ethylene Glycol and Day 6, 7, 8, 9 Embryo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 Park, Joung-Jun;Yoo, Han-Jun;Choi, Hye-Won;Cheong, Ki-Soo;Kim, Ji-Tae;Park, Choon-Keun;Yang, Boh-Suk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3-258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ects of 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sucrose and culture day of in vitro production embryo on slow-down freezing in Hanwoo. 6, 7, 8 and 9 day embryos produced in vitro were frozen using 1.8M EG+0.1M sucrose, 1.8M EG+0.5% BSA and 1.5M EG+0.1M sucrose media. Survivability was confirmed after frozen-thawed 24 and 48h and ICM, TE cell number were counted by Hoechst 33342 and PI staining after frozen-thawed 24h. As a result, 1.8M EG+0.1M sucrose group was most significantly (p<0.05) higher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 groups on survivability, TE and total cell number after frozen-thawed 24h ($94.2{\pm}2.6%$, $94.67{\pm}3.4$ and $129.67{\pm}5.5$). ICM number did not foun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reatment groups. in 6, 7, 8 and 9 day of embryos using three types of freezing media, frozen-thawed, 1.8M EG+0.1M sucrose groups with embryos cultured 8 da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st survivability to $98.3{\pm}1.7%$ after frozen-thawed 24h. 1.5M EG+0.1 sucrose group with embryos cultured 9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survivability than group of embryos cultured 8 day after frozen-thawed 24 and 48h. In conclusion, 1.8M EG+0.1M sucrose media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cryopreservation of embryos cultured 8 and 9 day.

광도, 온도 및 $CO_2$의 농도가 헛개나무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in Hovenia dulcis Thunb.)

  • 이강수;최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
    • /
    • 2002
  • 본 연구는 헛개나무의 광합성 효율증진을 위한 기상환경 조건을 규명하여 재배적지의 선정과 재배관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광도와 온도, 그리고 $CO_2$의 농도에 대한 광합성과 증산량을 조사하였다. 광 보상점은 $2.4\;{\mu}mol\;m^{-2}\;s^{-1}$이었고, 포화점은 $1033\;{\mu}mol\;m^{-2}\;s^{-1}$이었다. 광도 $100\;{\mu}mol\;m^{-2}\;s^{-1}$에서 광합성의 최적온도는 $25^{\circ}C$이었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은 67 vpm이었고, 포화점은 707 vpm이었다. 증산량은 광도가 $1750\;{\mu}mol\;m^{-2}\;s^{-1}$까지 그리고 온도가 $18^{\circ}C$에서 $36^{\circ}C$까지 높아질수록 $2\;mmol\;m^{-2}\;s^{-1}$$4\;mmol\;m^{-2}\;s^{-1}$정도로 각각 증가하였으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21 vpm에서 800 vpm으로 높아질 때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