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in Hovenia dulcis Thunb.

광도, 온도 및 $CO_2$의 농도가 헛개나무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 Lee, Kang-Soo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Sun-Young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이강수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최선영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Published : 2002.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in Hovenia dulcis Thunb.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2.4\;{\mu}mol\;m^{-2}\;s^{-1}$ and light saturation point was $1033\;{\mu}mol\;m^{-2}\;s^{-1}$. The optimum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was $25^{\circ}C$ at $1000\;{\mu}mol\;m^{-2}\;s^{-1}$ light intensity. $CO_2$ compensation point was 67 vpm and $CO_2$ saturation point was 707 vpm. Transpiration rate was increased to about $2\;mmol\;m^{-2}\;s^{-1}$ with increasing of light intensity to $1750\;{\mu}mol\;m^{-2}\;s^{-1}$ and to above $4\;mmol\;m^{-2}\;s^{-1}$ with increasing of temperature from $18^{\circ}C$ to $36^{\circ}C$. however It was gradually reduced as $CO_2$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21 vpm to 800 vpm.

본 연구는 헛개나무의 광합성 효율증진을 위한 기상환경 조건을 규명하여 재배적지의 선정과 재배관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광도와 온도, 그리고 $CO_2$의 농도에 대한 광합성과 증산량을 조사하였다. 광 보상점은 $2.4\;{\mu}mol\;m^{-2}\;s^{-1}$이었고, 포화점은 $1033\;{\mu}mol\;m^{-2}\;s^{-1}$이었다. 광도 $100\;{\mu}mol\;m^{-2}\;s^{-1}$에서 광합성의 최적온도는 $25^{\circ}C$이었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은 67 vpm이었고, 포화점은 707 vpm이었다. 증산량은 광도가 $1750\;{\mu}mol\;m^{-2}\;s^{-1}$까지 그리고 온도가 $18^{\circ}C$에서 $36^{\circ}C$까지 높아질수록 $2\;mmol\;m^{-2}\;s^{-1}$$4\;mmol\;m^{-2}\;s^{-1}$정도로 각각 증가하였으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21 vpm에서 800 vpm으로 높아질 때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Salisbury, Frank B. and Cleon W. Ross. 1991. Plant physiolog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California
  2. 고경식.1993. 야생식물 생태도감. 석성 문화사
  3. 김민회. 정우택. 이진하. 박영식. 신명기. 김호상. 김동훈. 이현용. 2000. 중국산과 국내산 헛개나무 열매의 체내 알콜 분해 및 간 해독작용.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3) : 225-233
  4. 김태욱. 1994. (원색도감)한국의 수목. 교학사
  5.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 1989. 향림서원. 28 : 105
  6. 이강수. 2001. 온도 및 황산처리가 헛개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2) : 166-172
  7. 이강수. 최선영. 2001. 광도, 온도 및 $CO_2$ 농도가 야콘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3) : 232-237
  8. 이미경. 김영길. 안상욱. 김민회. 이진아. 이현용. 1999. 헛개나무의 생리활성 물질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7(3) : 185-192
  9. 이종철. 1995. 온도가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3(2) : 77-80
  10. 이종화. 1988. 광도와 온도가 인삼의 광합성 및 호흡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2(1) 11-29
  11. 최선영. 이강수. 은종선. 1995. 온도. 광도 및 $CO_2$ 농도가 고추냉이의 광합성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3(3) : 181-186
  12. 현동윤. 1993. 고려인삼에서 광도와 온도 및 IAA가 $CO_2$흡수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