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50

검색결과 20,871건 처리시간 0.051초

4-(2-Chloroethyl) semicarbazide의 히드라존 유도체 합성:새로운 종류의 세포독성요법제 (Synthesis of Hydrazone Derivatives of 4-(2-Chloroethyl) semicarbazide : A New Class of Cytotoxic Agents)

  • El-Sabbagh, O.I.;El-Sadek, M.E.;Aboukull, M.E.;Shallal, H.M.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4-41
    • /
    • 2009
  • 새로운 종류의 히드라존 유도체는 4-(2-chloroethyl) semicarbazides로 부터 합성되었고, 인간 두 뇌(U251)와 간(Hepg2)의 암세포 에 대해 항증식성을 보였다. 히드라존 화합물은 벤즈알데히드, 아세토 페논, 3-formylindole 유도체이다. 아세토페논 유도체중에 3e (p-methoxy substituted)와 and 3f (p-nitro substituted)는 Hepg2 세포 (각각I$C_{50}$ = 6 ,8 $\mu$g/mL) 에 대해 가장 높은 세포독성활성을 보인다. 3-Formylindole 유도체중에 4a (hydrazone of 3-formylindole)은 U251 (I$C_{50}$ = 21 $\mu$g/mL)와 Hepg2 (I$C_{50}$ = 7 $\mu$g/mL)에 강한 세포독성활성을 보인다.

곤달비추출물의 항산화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Effect of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elanogenesi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 노언주;김윤신;김병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2
    • /
    • 200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oxida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for use as the cosmeceuticals. L. stenocephala was extracted by three different solvents which was n-Hexane, ethyl acetate, $H_{2}O$. The free radical (1,l-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 of L. stenocephala was in the order: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10.512ug/mL) >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 ($IC_{50}$ value of 31.877ug/mL) > $H_{2}O$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129.194u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f extract of L. stenocephala was in the order: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0.230mg/mL) >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 ($IC_{50}$ value of 0.528mg/mL) > $H_{2}O$ fraction of leaf ($IC_{50}$ value of 0.799mg/m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s was reduced 29.477% on ethyl acetate fraction of leaf, 13.583% on ethyl acetate fraction of stems. Therefore, L. stenocephala extracts may be useful as a new antioxidant and whitening agent to inhibit melanogenesis.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n-Butanolic Fraction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Vo, Quoc Hung;Nguyen, Phi Hung;Zhao, Bing Tian;Thi, Yen Nguyen;Nguyen, Duc Hung;Kim, Won Il;Seo, U Min;Min, Byung Sun;Woo, Mi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274-280
    • /
    • 2014
  •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BuOH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including: sambunigrin (1), prunasin (2), aruncide A (3), aruncide C (4), 1-O-caffeoyl-${\beta}$-D-glucopyranose (5), and caffeic acid (6). Their structure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spectral data with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 isolated compounds (1 - 6) were then examin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towards MCF-7, HL-60, and HeLa cancer cell lines, as well as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ound 4 possess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toward HeLa cell line with $IC_{50}$ value of $5.38{\pm}0.92{\mu}M$. Compound 3 possessed selective cytotoxic activity on HL-60 cells with $IC_{50}$ value of $6.27{\pm}0.17{\mu}M$, compound 5 was found as the best in inhibiting proliferation with $IC_{50}$ value of $2.25{\pm}0.09{\mu}M$, and the other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6.10 to $11.27{\mu}M$. Compound 5 also display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toward MCF-7 cell line ($IC_{50}$ $4.32{\pm}0.15{\mu}M$). Both 5 and 6 demonstrated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6.87{\pm}0.03$ and $4.33{\pm}0.22{\mu}M$, respectively). Compounds 1 and 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가감온비탕합오산(加減溫脾湯合五散) 완제(完製)(HWW$^{(R)}$)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en-pi-tang-Hab-Wu-ling-san (WHW$^{(R)}$) in vitro)

  • 정진기;박용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46-156
    • /
    • 200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manufactured Wen-pi-tang-Hab-Wu-ling-san (WHW$^{(R)}$) in vitro. Methods: WHW$^{(R)}$ was prepared by the pilot manufacture of WHW water extract from a GMP system appointed company.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in vitro tests as follows: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oxygen free radicals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and nitric oxide radicals, as well as ferrous ion chelating capacity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Results: WHW$^{(R)}$ significantly scavenged oxygen free radicals such as DPPH (IC$_{50}$=115.28 $\pm$ 0.25 $\mu$g/$m\ell$), superoxide anion (IC$_{50}$=8.56 $\pm$ 0.08 $\mu$g/$m\ell$), hydrogen peroxide (IC$_{50}$=240.36 $\pm$ 3.41 $\mu$g/$m\ell$) and nitric oxide (IC$_{50}$=162.28 $\pm$ 0.21 $\mu$g/$m\ell$) radicals. WHW$^{(R)}$ also showe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C$_{50}$=543.19 $\pm$ 4.85 $\mu$g/$m\ell$) and Trolox equivalent effects (IC$_{50}$=45.311 $\mu$g/$m\ell$) in TEAC and ORAC assay,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HW$^{(R)}$ has strong antioxidative properties throug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data suggest that WHW$^{(R)}$ be used as an antioxidant agent.

  • PDF

공심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 (Effect of Ipomoea aquatica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9-523
    • /
    • 2017
  •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공심채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D_{50}$, $7.84{\mu}g/mL$),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ID_{50}$, $106.56{\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41.75{\mu}g/mL$)를 보여주었다. 공심채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공심채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심채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공심채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종자처리가 수박대목용 박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영향 (Seed Treatment to Improve Germinability of Gourd (Lagenaria siceraria Standl.))

  • 문보식;정연옥;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47-749
    • /
    • 1999
  • 박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촉진을 위한 종자처리시 hydropriming과 priming 처리와 종자의 발아성을 비교 검토하고, 종자처리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처리 화학물질 및 농도, 처리기간 및 처리온도, 발아온도에 따른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증류수(hydropriming)나 50mM $KH_2PO_4$와 50mM $KNO_3$$20^{\circ}C$에서 12시간 처리시 $T_{50}$ 및 평균발아소요일수 단축에 효과적 이었다. 무처리종자에 비하여 hydropriming이나 priming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발아온도 $25^{\circ}C$$35^{\circ}C$보다 $20^{\circ}C$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가 동결 보존 사람정자의 첨체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 on the Acrosome Status of Cryopreserved Human Sperm)

  • 박세필;신현아;김은영;이원돈;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49-154
    • /
    • 2005
  • 연구목적: 정자의 첨체상태는 수정능과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사람 정자의 동결보존 시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 처리가 첨체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사람 정자는 정액검사를 의뢰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적정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5, 50, 100 nM FPP를 신선정자에 처리한 뒤 시간별로 첨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적정화된 50 nM FPP를 정자의 동결-융해 시에 처리한 뒤 첨체 변화를 조사하였다. 첨체 변화는 FITC - pisum sativum lectin (PSA)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FPP 농도 변화와 처리시간에 따른 사람 정자의 첨체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50 nM FPP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온전한 첨체비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정자의 동결-융해 시, 동결액과 융해액에 50 nM FPP 첨가가 온전한 첨체를 유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던 바, 신선 정자의 결과보다는 유의하게 낮지만 무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온전한 첨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액에만 또는 융해액에만 50 nM FPP 처리를 하더라도 무 처리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온전한 첨체 비율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0.001). 결 론: 사람 정자의 동결보존 시 50 nM FPP 첨가는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첨체반응을 억제하고, 온전한 첨체를 유지할 수 있어 수정능 보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부착-슬립 거동의 설계기준과의 비교 (Comparison of Bond-Slip Behavior and Design Criteria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50 MPa and Unit Weight 16 kN/m3)

  • 이동균;이도경;오준환;유성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2022
  • 최근 나노기술의 발달로 건설재료분야에 이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정도의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를 구조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축강도 50 MPa, 단위중량 16 kN/m3 정도의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81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직접 인발 부착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와 현행 설계기준과 비교하여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ACI-408R의 부착강도 산정식과 실험결과는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통계분석을 통해 CEB-FIP, 수정된 CMR 부착거동 모델을 산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잘 묘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종양성 (Antineoplastic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oligosaccharid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8-312
    • /
    • 2009
  •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였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정상세포주인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정상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1,060.28{\mu}g/m{\ell}$이었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폐암 세포주인 A549, 방광암 세포주인 J82, 대장암 세포주인 SNU-C4, 위암 세포주인 SNU-1, 유방암 세포주인 ZR75-1 등과 같은 사람의 종양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A549, J82, SNU-C4, SNU-1, ZR75-1 세포주의 경우에 각각 $477.42{\mu}/m{\ell}$, $480.40{\mu}g/m{\ell}$, $436.84{\mu}g/m{\ell}$, $373.55{\mu}g/m{\ell}$, and $539.95{\mu}/m{\ell}$이었다.

The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Taurine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on the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Fertilized with Spermatozoa from Three Different Bulls

  • Tsuzuki, Yasuhiro;Toyama, Hitomi;Nabenishi, Hisashi;Morita, Tetsuo;Ashizawa, Koj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73-879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taurine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IVF)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up to the blastocyst stage of bovine oocytes fertilized with three different Japanese Black bulls (Bull A, B and C). In vitro matured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aurine (0, 1, 10, 50 and 100 mM) in the presence of 2.5 or 5.0 mM caffeine plus $25{\mu}g$/ml heparin (CH) for 6 hr or $100{\mu}g$/ml heparin (H) for $24{\pm}2$ h. After IVF, the cleavage rates from the 2 to 16 cell stage determined at 3 days and the development rates up to the blastocyst stage determined at 7-8 days from the onset of IVF were assessed. Although the cleavage rates for the taurine concentration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any of the three bulls in the CH groups, the development rates up to the blastocyst stage of the 50 mM taurine group of Bulls A and B, and of the 1 to 50 mM groups of Bull C were increased (p<0.0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0 mM taurine) groups. On the other hand, none of the bulls in the H groups showed any significant increase either in the cleavage rates or blastocyst formation rates in any taurine concentrations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50 mM taurine to a fertilization medium containing caffeine and heparin may stimulate embryonic development up to the blastocyst stage when fertilized with different bull se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