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0

검색결과 21,327건 처리시간 0.05초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 주사 및 약욕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olinic acid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injection and dipping)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지보영;서정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5
    • /
    • 2009
  • Oxolonic acid (OA)를 넙치(평균체중 90 g)에 1회 경구투여(15, 30 및 60 ㎎/㎏ body weight), 1회 복강주사(10 및 20 ㎎/㎏ body weight) 및 1시간동안 약욕(30 및 50 ppm)한 다음, 경시적(3시간-144시간)인 혈장내 OA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15, 30 및 60 ㎎/㎏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10~15시간째 각각 1.92, 2.45 및 3.72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10 및 20 ㎎/㎏ 농도로 복강주사한 경우, 투여 10시간째 각각 4.1 및 4.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약욕한 시험구의 경우, 30 및 50 ppm 시험구는 각각 투여 5-30시간째 0.22 및 0.3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OA의 투여방법에 따른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one- 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OA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15, 30 및 60 ㎎/㎏을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70.93, 120.0 및 141.86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6.22, 20.39 및 17.33 h, 혈중최고농도 ($C_{max}$)는 1.61, 2.40 및 3.01 $\mu{g}/m\ell$로 계산되었다. 10 및 20 ㎎/㎏을 복강주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 각 184.7 및 315.92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5.91 및 6.26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4.19 및 4.45 $\mu{g}/m\ell$로 계산되었다. 30 및 50ppm으로 약욕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17.58 및 21.69 $\mu{g}$ $h/m\ell$, 혈중 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9.08 및 31.43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0.22 및 0.25 $\mu{g}/m\ell$로 계산되었다.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양성 시 적정 수용밀도 (Optimum Stocking Density of 3-year-ol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in Net Cage Culture)

  • 이시우;김병학;김태익;손맹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3-101
    • /
    • 2015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1년 동안 수용밀도별로 양식순기에 따라 사육하여 성장 및 생존율 조사를 통해 적정 수용밀도를 구명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수행하였다. 해상가두리 ($2.4{\times}1.2m$) 내 수용밀도는 셀터 단면적 (square meter, $m^2$, sq m) 당 점유율로 15, 30, 45, 60 percentage (= per)/sq m로 설정하여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수온은 $8.2^{\circ}C-22.1^{\circ}C$, 염분은 평균 $33.5{\pm}0.6psu$, 용존산소는 평균 $7.87{\pm}0.86mg/L$이었다. 월별 각장변화에서는 2014년 5월, 7월부터 10월, 2015년 4월에 15 per/sq m, 30 per/sq m가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각장의 FML, AGR, DGR, SGR과 각폭의 FMB, AGR, DGR은 15 per/sq m와 30 per/sq m는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각폭의 SGR에서 60 per/sq m는 모든 실험구 보다 낮았다 (P < 0.05). 중량에 대한 FMW, WG, DWG, SWG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생존율에서는 15 per/sq m, 30 per/sq m가 50%이상으로 45 per/sq m, 60 per/sq m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따라서, 본 실험결과 70 mm 이상의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 내 적정 수용밀도는 셀터 총 단면적 기준으로 15 per/sq m ($2.4{\times}2.4m$, 1칸 당 354마리) 가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위한 적정 수용밀도지만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30 per/sq m ($2.4{\times}2.4m$, 1칸 당 710마리) 수용해야 한다.

항암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안전성에 대한 염화나트륨의 효과 (Effect of NaCl on the Stability of Oncolytic Vaccinia Virus)

  • 김성근;계소연;권혁찬;황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3
    • /
    • 2016
  • Pexa-Vec (JX-594)은 암특이적 암용해 면역치료제인 백시니아 바이러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exa-Vec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단기안정성 실험에서 바이러스의 활성은 4℃와 실온에서 감소하였으나, 초음파처리와 회전처리로 완전히 회복되었다. Pexa-Vec의 장기안정성 시험은 (A) 30 mM Tris/pH 7.6, (B) 30 mM Tris/pH 8.6, (C) 30 mM Tris/pH 7.6, 150 mM NaCl, 15% sucrose, (D) 30 mM Tris/pH 7.6, 15% sucrose, (E) 30 mM Tris/pH 8.6, 15% sucrose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제형 A는 4℃에서 4-8주 후, 실온에서 1주일 후에 2로그 이하로 바이러스활성이 감소되었다. 반면 제형 B의 경우 4℃와 실온에서 바이러스 활성이3일 후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어 중성 산도가 바이러스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제형A에 15%의 슈크로즈 수크로오스를 추가했을 때(제형D), −20℃, 4℃와 실온에서 바이러스성 안정성이 크게 증가 하였고, 제형 E (pH 7.6)에서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제형 D (pH 7.6)에 150 mM 염화나트륨을 추가한 제형 C에서 바이러스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슈크로즈 수크로오스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4℃와 실온에서 바이러스 활성이 각각 1.5년과 1-2주 동안 유지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제형C가 항암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적절히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Wistar 쥐 조직을 이용한 L-Glutamine 바이오센서 (The Biosensor for L-Glutamine Using Tissue Slices of Wistar Rat)

  • 배진현;최성문;임동준;김위락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0-207
    • /
    • 1994
  • Wistar계 쥐의 신장 조직을 암모니아 기체 감응전극에 고정화하여 조직센서를 제작하고, L-glutamine을 정량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circ}C$, pH 7.8의 0.05M 인산완충용액과 30 ${\mu}m$ 두께의 신장을 사용하였을 경우, 정량 가능한 직선범위는$ 8.0{\times}10^{-5}{\sim}1.0{\times}10^{-2} M$이었으며, 감응도는 53.8 mV/decade로 나타났고, 감응시간은 3~5분 소요되었다. 또한 같은 최적 조건하에서 조직을 파쇄하여 얻은 세포소기관을 전극에 고정화시킨 센서의 경우, 정량 가능한 직선범위는 $1.2{\times}10^{-4}{\sim}5.0{\times}10^{-3} M$이었으며, 감응도는 54.0 mV/decade, 감응시간은 6~7분이 소요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쥐의 신장 조직 및 세포 소기관을 이용하여 L-glutamine을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조직센서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생쥐 연골세포에 Arnica montana 처리에 따른 COX-2 발현과 PGE2 분비 비교 (Treatment with ultra-dilutions of Arnica montana increases COX-2 expression and PGE2 secretion in mouse chondrocytes)

  • 김윤규;여명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31-337
    • /
    • 2019
  • 연구목적 : 4x, 30x, 30c, and 200c 농도의 동종약물 Arnica montana (A. montana)를 1차 배양된 생쥐 연골세포에 적용하여 염증관련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collagen type II (Coll-2), cyclooxygenase-2 (COX-2) 발현 그리고 prostaglandin 2 (PGE2) 분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4x, 30x 그리고 30c의 A. montana를 처리하였을 때, Coll-2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30x A. montana의 경우 COX-2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COX-2 단백질 발현은 30x와 30c의 A. montana 처리 시 증가함을 보였다. PGE2 분비 또한 30c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결론 : A. montana 처리에 따라 생쥐의 연골세포의 분화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염증관련 인자인 COX-2 및 PGE2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Enterococcus 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과 물리화학적 처리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and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 임성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7-224
    • /
    • 2005
  • E.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30 BU/ML 처리에 의해 L. monocytogepes 균수는 0.6 log unit 감소 되었으나, 박테리오신 (30 BU/mL $65^{\circ}C$, 5분간 가열처리와 병용한 경우에는 약 2.7 log unit가 감소하였다. 박테리오신 30 BU/mL와 itric acid혹은 acetic acid $0.5\%$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24시간 만에 초기균수가 각각 약 2 log unit와 3 log unit감소하였다. 박테리오신 30 BU/mL와 NaCl $8\%$를 병용 처리했을 때에는 박테리오신 단독 처리구보다 약 1 log unit더 감소되었다. 또한, 박테리오신 30 BU/mL단독 처리했을 때에 비해 sodium benzoate $500{\mu}g/mL$혹은 sodium lactate $1000{\mu}g/mL$와 각각 병용 처리하면 2 log unit가 더 감소되었으며, sodium nitrate $100{\mu}g/mL$와 potassium nitrate $100{\mu}g/mL$와의 병용 처리한 경우 박테리오신 단독 처리구에 비해 각각 3.5 log unit와 2 log unit이상 더 감소하였다. 한편, 탈지유에 E. faecium MJ-14의 박테리오신 300 BU/mL을 첨가한 경우 $4^{\circ}C$에서 24시간 만에 L. monocytogenes의 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약 1.5 log unit감소되었으며,돈육에 첨가한 경우 $-20^{\circ}C$에서 7일간 만에 대조구보다 약 2 log unit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가시권 분석에서의 MAUP 영향 분석 (Analysis on MAUP' Effects in Visibility Analysis using GIS)

  • 이준학;김항덕;오경두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UP's effect in visibility analysis using GIS. MAUP normally occurs in the process in terrain spatial analysis including visibility analysi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grid data(based on digital map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and 10 different types of areal units are made for modeling, such as $5m{\times}5m,\;10m{\times}10m,\;15m{\times}15m,\;20m{\times}20m,\;25m{\times}25m,\;30m{\times}30m,\;35m{\times}35m,\;40m{\times}40m,\;45m{\times}45m,\;50m{\times}50$. By analyzing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varying viewshed areas according to different grid cell sizes and the viewshed area did not varied linearly as expected.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smaller unit data map out the real world in more detail, but the results of modeling do not always reach a good conclusion when data are used in modeling for terrain analysis because of the MAUP' effect. The grid cell sizes of 30m or less seems to be adequate for visibility analysis, including terrain analysis considering vegetation heights.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PET/CT 검사 환자의 예측 유효 선량의 분석 (Analysis of Patient Effective Dose in PET/CT; Using CT Dosimetry Programs)

  • 김정선;정우영;박승용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77-82
    • /
    • 2010
  • PET/CT 기기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PET/CT 검사 시감쇄 보정을 위한 CT 검사 역시 증가하여 검사 과정에서 피폭 선량이 증가 되고 있어 의료 피폭의 저감 대책을 포함한 방사선 안전 관리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CT 검사에서의 환자 선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환자 선량 저감을 위한 초석을 세우기 위해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T를 사용한 투과 스캔 시 환자가 받는 CT의 예측 유효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BIO40, BIO16, DSTe8 에서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기기 별로 남, 여 30명씩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자동 노출 제어 시스템으로 선량 조절 시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의 체중 별로 50 kg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 세 집단으로 나누어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선량 측정을 한 값을 비교 분석하고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BIO40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을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을 때,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6.46{\pm}1.18$ mSv, $6.54{\pm}1.21$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6.29{\pm}0.97$ mSv, $5.87{\pm}1.09$ mSv 이었다. BIO16 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8.36{\pm}1.69$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10.02{\pm}2.42$ mSv, $8.43{\pm}1.89$ mSv 이었다. DSTe8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9.74{\pm}2.55$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9.05{\pm}2.27$ mSv, $9.19{\pm}2.29$ mSv 이었다. 각 기기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체중에 따른 환자의 선량을 비교하기 위해, BIO40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별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6.05{\pm}1.77$ mSv, $6.18{\pm}1.05$ mSv, $6.80{\pm}1.06$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6{\pm}1.46$ mSv, $5.72{\pm}0.86$ mSv, $6.42{\pm}0.96$ mSv이었다. BIO16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7.74{\pm}0.66$ mSv, $8.58{\pm}0.93$ mSv, $10.88{\pm}1.32$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6.60{\pm}0.54$ mSv, $7.45{\pm}0.69$ mSv, $9.43{\pm}1.11$ mSv이었다. DSTe8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예측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3{\pm}0.95$ mSv, $8.25{\pm}1.66$ mSv, $10.33{\pm}1.68$ mSv 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20{\pm}1.01$ mSv, $8.51{\pm}1.53$ mSv, $10.9{\pm}1.87$ mSv이었다.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CT-Expo v1.7과 ImPACT v1.0에서 Pearson 정률 상관계수가 각각 0.743, 0.692으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폭 선량의 예측이 필요할 경우 이와 같은 상용화된 선량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hantom 연구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유효 선량의 예측 및 평가가 가능하고, CT 선량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안개시 휘도에 따른 색상별 판독거리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Legibility Distance Models for Each Color according to Luminance under Foggy Condition)

  • 김철용;이상수;윤일수;오주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안개 발생시 휘도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에 사용되는 색상별 판독거리 모형을 실험을 통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의환경을 구축하였고,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키면서 적색, 녹색, 황색의 판독거리 값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적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휘도 2,000cd/㎡와 20,000cd/㎡ 일 때의 판독거리가 각각 10.2m와 18.8m로 84% 향상되었다. 시정거리 20m에서는 34%, 시정거리 30m에서는 17%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녹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69%, 20m에서는 63%, 30m에서는 19%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황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100%, 20m에서는 47%, 30m에서는 36%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판독거리 산출 모형은 각 색상별 휘도값과 시정거리를 독립 변수로 하여 개발하였다. 추정된 적색, 녹색, 황색 모형식의 수정 결정계수는 각각 0.982, 0.978, 0.915로 계산되어 모든 모형의 설명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온 및 염분 스트레스에 따 른 참담치, Mytilus coruscus에서 Hsp70 및 GST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The Expression of Hsp70 and GST Genes in Mytilus coruscus Exposed to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 김철원;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50-458
    • /
    • 2015
  • The heat shock proteins (Hsps), one of the most highly conserved groups of proteins, play crucial roles in protecting cells against environmental stress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heavy metals and pathogenic bacteria. The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have important role in detoxification of oxidative damage, environmental chemicals and environmental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of Hsp70 and GST on chang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Mytilus coruscus. The M. coruscus was cultured in incubator of separate temperature and salinity (8, 20, $30^{\circ}C{\times}20$‰, 25‰, 30‰) for 28 days. Ten individuals in each group were selected after each 14 and 28 days exposure. Results that the expression of Hsp70 mRNA was no significant changed in M. coruscus exposed to temperature ($8^{\circ}C$, $20^{\circ}C$, $30^{\circ}C$) and salinity (20‰, 25‰, 30‰) for 14 days. Whereas the expression of Hsp70 mRNA was increased in exposure to temperature $30^{\circ}C$ and salinity (20‰, 25‰, 30‰) for 28 days. The expression of GST mRNA was increased in exposure to temperature $30^{\circ}C$, salinity (25‰, 30‰) for 14 days and temperature ($8^{\circ}C$, $20^{\circ}C$, $30^{\circ}C$), salinity (20‰, 25‰, 30‰) for 28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sp70 and GST were played roles in biomarker gene on the thermal and salinity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