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y QAM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2초

m-분포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정방형 M-QAM의 MRC 다이버시티 성능분석 (MRC Diversity Analysis for Square M-QAM in Nakagkmi-m Fading Channels)

  • 이영환;이재윤;윤동원;조평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1C호
    • /
    • pp.1070-1076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주파수 비 선택적 m분포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정방형 M-QAM 신호에 대하여 MRC 다이버시티 적용시 정확하고 일반화된 평균 비트 에러 확률식을 closed-form으로 유도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독립된 페이딩 환경과 상관된 페이딩 환경에 대하여 각각 L개의 브랜치를 가지는 MRC 다이버시티를 고려하며. 성능 분석을 통하여 에러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이 논문에서 제시되는 새로운 비트 에러 확률 식들은 이동 통신의 페이딩 채널에서 MRC 다이버시티가 적용된 임의의 정방형 M-QAM 신호에 대한 성능을 계산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레일레이 페이딩채널에서 선택성 결합방식의 공간다이버시티를 이용한 QAM의 심벌오율 (Symbol Error Rates of QAM with Selection Combining Space Diversity in Rayleigh Fading Channels)

  • 김창주;김영수;정구영;문재경;이혁재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6권3호
    • /
    • pp.75-79
    • /
    • 1995
  • This paper derives the symbol error rate (SER) for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with L-fold selection combining (SC) space diversity in Rayleigh fading channel. No analysis has been reported yet for theoretical SER performance of QAM with SC space diversity in Rayleigh fading channels. The formula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symbol error probability of M-ary QAM in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channel over the distribution of the maximum signal-to-noise ratio among all of the diversity channels. By giving the order of diversity, L, and the number of signal points, M, we have been able to obtain the SER performance of QAM with general SC space diversity.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error decreases with the order of diversity. We can also see that the incremental diversity gain per additional diversity decreases as the number of branches becomes larger.

  • PDF

All-optical Signal Processing of Fiber Impairments in Dual-Polarization 112 Gbit/s m-ary QAM Coherent Transmission

  • Asif, Rameez;Islam, Muhammad Khawar;Zafrullah, Muhammad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1호
    • /
    • pp.57-62
    • /
    • 2013
  • We have numerically implemented a receiver side all-optical signal processing method, i.e. optical backward propagation (OBP), by dispersion compensating fiber (DCF) and non-linear compensator (NLC) devised by effective negative Kerr non-linear coefficient using two highly non-linear fibers (HNLFs). The method is implemented for the post-processing of fiber transmission impairments, i.e. chromatic dispersion (CD) and non-linearities (NL). The OBP module is evaluated for dual-polarization (DP) m-ary (m=4,16,32,64,25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in 112 Gbit/s coherent transmission over 1200 km standard single mode fiber (SMF). We have also investigated an intensity limited optical backward propagation module (IL-OBP) by using a self-phase modulation-based optical limiter with an appropriate pre-chirping to compensate for the intensity fluctuations in the transmission link. Our results show that in highly non-linear sensitive 256QAM transmission, we have observed a 66% increase in the transmission distance by implementing IL-OBP as compared to conventional OBP.

디지털 FWS간 허용 간섭 기준 (Allowable Interference Criteria Between Digital FWSs)

  • 이기환;이주환;서경환;송주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9-487
    • /
    • 2008
  • 각종 디지털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존 FWS(Fixed Wireless System) 대역 점유 시스템과 신규 디지털 FWS 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허용 간섭 기준의 산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FWS의 허용 간섭 기준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FWS의 간섭 유형을 정의하였고, 전송 채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M진 QAM 변조 방식에 따른 허용 간섭 기준을 분석하였다.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디코팅 후 전달 중계방식에 대한 비트 오차율 분석 (Exact BER Expressions for Decode-and-Forward Relaying in Rayleigh Fading Channels)

  • 이인호;김동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A호
    • /
    • pp.1244-1250
    • /
    • 2007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간 협력방식은 중계노드들이 송신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해 주어 최종 수신신호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된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을 고려하여 사용자간 협력을 위한 디코딩 후 전달 중계방식에 대한 비트 오차율의 분석을 수행한다. 변조방식으로는 M-ary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PSK (Phase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주어진 중계노드의 수에 대하여 각 변조방식에 대한 비트 오차율 식을 유도한다. 최종적으로, 유도된 비트 오차율 식의 수치적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유도된 식을 검증하고, 중계노드의 수에 따른 비트 오차율 성능 변화를 관찰한다.

일반화된 TQAM의 비트 오류 확률 (Bit Error Rate of Generalized Triangular QAM)

  • 조경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5호
    • /
    • pp.229-236
    • /
    • 2014
  • 직교 진폭 변조 (QAM)은 현재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방형 QAM, TQAM, ${\Theta}$-QAM을 포함하는 일반화된 TQAM을 제안한다. 따라서, 다른 QAM 계열에 비교해서 임의의 일반 삼각형 격자 구조를 갖는 이 일반화된 TQAM은 신호점 배치에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변조 지수 M 의 일반화된 TQAM에 대한 BER을 정확한 closed-form 수식으로 유도하며 이 수식을 이용하여 최적의 신호점 배치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유도한 수식 결과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검증한다.

Further Analysis on Selective Diversity Reception for Detection of M-ary Signals Over Nakagami Fading Channels

  • Na, Seung-Gwan;Kim, Chang-Hwan;Chin, Yong-Ohk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1C호
    • /
    • pp.1045-1052
    • /
    • 2005
  • The symbol error probability of M-ary PSK (MPSK) and QAM (MQAM) systems using the branch with the largest signal-to-noise ratio (SNR) at the output of L-branch selection combining (SC) in frequency-nonselective slow Nakagami fading channels with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is derived theoretically For integer values of the Nakagami fading parameter m, the general formula for evaluating symbol error rate (SER) of MPSK signals in the independent branch diversity system comprises numerical analyses with the integral-form expressions. An exact closed-form SER performance of MQAM signals under the effect of SC diversity via numerical integration is presented. These performance evaluations allow designers to determine M-ary modulation methods for Nakagami fading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