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WiMAX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4초

2.6 GHz 대역에서 M-WiMAX OFDMA/TDD 시스템과 WCDMA FDD 시스템간의 상호 간섭 분석 Part II : Adjacent Interference Analysis with Smart Antenna in M-WiMAX System (Adjacent Interference Analysis between M-WiMAX OFDMA/TDD and WCDMA FDD System in the 2.6 GHz Band Part II : Adjacent Interference Analysis with Smart Antenna in M-WiMAX System)

  • 왕우붕;고상준;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6A호
    • /
    • pp.588-599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coexistence issues between M-WiMAX TDD and WCDMA FDD systems. To improve the M-WiMAX system performance and to reduce the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to WCDMA FDD system, transmit and receive beamforming techniques are applied in the base stations of M-WiMAX system. Furthermore, we propose an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ling methodology, which captures the effect of transmit beamforming on the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Besides, we verif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uplink of WCDMA system due to the transmit beamforming in M-WiMAX downlink based on the proposed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ling methodology. We also verify the performance enhancement due to the receive beamforming in the uplink of M-WiMAX system through system level Monte Carlo simulations, considering random user position, the effect of shadowing and multi-path fading channel. Discussions on the gain of applying transmit and receive beamforming in M-WiMAX system comparing the case of SISO system are also included. Furthermore, we present the performance of cosited M-WiMAX and WCDMA systems, considering commercial deployment, additional channel filter at base stations and the effects of TxBF and RxBF.

Mobile-WiMAX를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 구현 (Implementation of a Smart Antenna Base Station for mobile-WiMAX)

  • 이창훈;최승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호
    • /
    • pp.43-5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mobile-WiMAX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기존의 단일 안테나 m-WiMAX 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 스마트 안테나 기능을 지원하는 m-WiMAX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고려 사항이 있다. 그 중에 스마트 안테나 방식의 특성상 심볼 동기 획득, 빔형성, 캘리브래이션을 특히 잘 구현 해야만 원하는 성능의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3가지를 구현하였고 3가지가 제대로 구현되었을 때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이 단일 안테나 시스템보다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4 배열 안테나의 환경에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데이터 산출량 관점에서 단일안테나 시스템보다 5.5dB의 성능향상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이론적인 수치인 6dB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 이다.

WiFi-to-WiBro Access Point 구현 -WiMAX CPE (Implementation of WiFi-to-WiBro Access Point -WiMAX CPE)

  • 박천관;송한영;전병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3-63
    • /
    • 2009
  • 본 논문은 WiBro 무선망에 접속하여 Wi-Fi 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WiMAX CPE(무선 AP)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향 인터페이스로 WiBro를 기본으로 지원하며 하향 인터페이스로 Wi-Fi 및 100M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무선 인터넷 사업자가 지하철, 자동차, 선박 등에서 다수의 인터넷서비스 가입자에게 Wi-Fi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자용 장치와, WiBro 서비스에 가입한 다수의 Wi-Fi 단말들이 동시에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구매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일반 사용자용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 PDF

리눅스 상에서 WiMAX 연결 관리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MAX Connection Management and Network Monitoring Software on Linux)

  • 이문섭;김형석;김익환;김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9-500
    • /
    • 2009
  • 최근 차세대 휴대 인터넷 기술로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성능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WiMAX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아직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WiMAX 네트워크의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된 WiMAX 네트워크의 환경 및 PHY/MAC 계층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WiMAX CM(Connection Manager)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WiMAX CM은 확장성을 고려하여 핵심 기능이 SDK(Software Development Kit)형태로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WiMAX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접속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M-WiMAX 시스템의 DFE 최적화를 위한 IQ 불균형 보상과 AGC 결합 기법 (Joint Scheme of IQ Imbalance Compensation and AGC for Optimal DFE in M-WiMAX Mobile Modem)

  • 김종훈;김영범;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5A호
    • /
    • pp.341-346
    • /
    • 2009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M-WiMAX (Mobile-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시스템은 이동성이 있는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전송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수신단에서의 LO (Local Oscillator)에 의해 발생하는 IQ 불균형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Q 불균형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보상하는데 있어 이득 불균형의 추정 및 보상이 AGC (Automatic Gain Control) 기능과 중첩함으로 단말 모뎀에서 DFE (Digital Front-end) 의 소형화 및 고집적화를 위한 두 기능의 결합 기법을 제시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 방법과의 성능 차이가 없음을 보여 제안한 기법에 의한 H/W 구현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백홀을 사용하는 Mobile WiMAX 펨토셀을 위한 프레임 동기화 기법 (Frame Synchronization for Mobile WiMAX Femtocells Using IEEE802.11 Based Wireless Backhaul)

  • 최지훈;오혁준;윤재연;고현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C호
    • /
    • pp.667-679
    • /
    • 2010
  • 이동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네트웍 용량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 펨토셀(femtocell)을 설치하는 방안이 널리 연구되어 왔다.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M-WiMAX (Mobile WiMAX) 펨토셀의 경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신호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인접한 기지국과 프레임(frame) 동기를 일치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백홀(backhaul)을 사용하는 펨토셀의 프레임 동기화를 위해 IEEE 802.11의 비콘(beacon)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동기 정보를 펨토셀로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으로 동기 정보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시간 오차를 줄이기 위해 기존 IEEE 802.11 송신기의 충돌 회피 기법을 일부 수정하고 IEEE 802.11 수신기에 최소 자승(least squares) 오차 관점에서 설계된 시간 동기 추정 기법을 적용한다. 제안된 방식을 적용한 모의 실험을 통해 펨토셀의 프레임 동기화 성능을 평가하고, 펨토셀에서 복원된 시간 동기 정보가 M-WiMAX 표준에 정의된 규격을 만족함을 보인다.

2.6 GHz 대역에서 M-WiMAX OFDMA/TDD 시스템과 WCDMA FDD 시스템간의 상호 간섭 분석 Part I : SISO 시스템에서의 상호 간섭 분석 (Adjacent Interference Analysis between M-WiMAX OFDMA/TDD and WCDMA FDD System in the 2.6 GHz Band Part I : Adjacent Interference Analysis in SISO System)

  • 고상준;왕우붕;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6A호
    • /
    • pp.573-58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2.6 GHz 대역에서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과 M-WiMAX (Mobile-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시스템 모두 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만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호 시스템 간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분석한다.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는 각 시스템 별로 네 가지로써, 총 여덟 가지의 경우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간섭원의 하향링크가 피간섭원의 상향링크에 미치는 간섭의 크기가 가장 심각한 경우임을 밝히며,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덟 가지 경우 모두에 5MHz 의 보호대역을 적용한다. 특히 M-WiMAX 시스템이 피간섭원인 경우가 WCDMA 시스템이 피간섭원인 경우에 비해 더 많은 간섭이 발생하며, 이는 두 시스템간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상황과는 다르게 Spectrum Mask 내에 간섭원에 해당되는 시스템의 송신전력이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보다 엄격한 Emission Mask를 사용하고 실질적인 시스템 간 간섭분석의 Worst-case 결과로 볼 수 있다.

WiMAX 정책 제어 시스템의 정보 동기화 (Error Handling and Data Synchronization in Policy and Charging Control Architecture in WiMAX)

  • 설순욱;조성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5호
    • /
    • pp.355-367
    • /
    • 2013
  • 3GPP와 WiMAX의 Policy and Charging Control(PCC) 표준에서는 정책제어 시스템(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PCRF)이 정책적용 시스템(Policy and Charging Rule Enforcement Function, PCEF)에 품질 및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제어하는 아키텍처를 정의한다. 본 논문은 PCRF 시스템과 PCEF 시스템 사이에서 정책 정보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을 규정하고, 각 오류의 유형에 따라 PCRF 시스템의 정책 정보와 PCEF 시스템의 정책 정보를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WiMAX 표준을 준용하여 한국에 구축된 WiBro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의 mobile VoIP(mVoIP) 수용량 관점에서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삭제되지 않은 정책 정보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불필요한 정보의 누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스템의 부하, 메모리 누수, 시스템 정지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PCC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우리는 이 방법을 실제 구현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WiMAX 표준에 반영시켰다.

WiMAX 네트워크 상에서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간 성능 비교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CP Congestion Control Algorithms over WiMAX Networks)

  • 이문섭;김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03-504
    • /
    • 2009
  • 최근 차세대 휴대 인터넷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WiMAX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WiMAX 네트워크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응용들이 TCP/IP 계층을 사용하며 기존 TCP 전송기법들이 유선망을 주로 고려한 한계가 있으므로, WiMAX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계층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WiMAX 네트워크 상에서 기존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TCP Reno, Veno, Westwood, Cubic 등의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WiMAX 네트워크에서 TCP의 동작 특성을 살펴본다.

간섭 상쇄 기법과 장기 누적 기법을 이용한 WiBro 지상파 측위 시스템의 가청성 향상 (Enhancement of Hearability in Geolocation Using Mobile WiMAX Network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Long Integration)

  • 박지원;임정민;성태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75-383
    • /
    • 2012
  • Together with the GPS-based approach, geolocation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s a key technology for location-based service. Since the Mobile WiMAX system is considered as a candidate for fourth-generation mobile system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its location capability. The geolocation of Mobile WiMAX can be realized when the preamble symbols in the down-link channel are appropriately used for a TDOA (Time-Difference-of-Arrival) approach. However, the cellular structure of Mobile WiMAX inevitably generates co-channel interferenc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mobile terminal to acquire distance measurements from multiple base stations. Therefore, for geolocation via multilateration using the Mobile WiMAX network,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hear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geolocation method for Mobile WiMAX which employs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preamble signal overlapping for the enhancement of hearability. A novel interference cancellation strategy for complex-valued Mobile WiMAX signals is presented which has an iterative structur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geolocation method provides the user's position with an accuracy of less than 20 m through the Mobile WiMAX cellular network if there is no multi-path or NLOS (None-Line-of-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