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

검색결과 159,966건 처리시간 0.14초

자연수 m의 일반화된 배수 판정법 (Generalized Divisibility Rule of Natural Number m)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87-93
    • /
    • 2014
  • n/m=qm+r에서 에서 m=7인 단순한 경우에도 주어진 수 n이 m의 배수 판정법은 간단하지가 않다. 만약, m이 두 자리 수 이상이 되면 더욱 복잡해진다. 일반적인 배수 판정법으로 둔켈스 (Dunkels)법이 있지만 n이 컴퓨터로 처리하지 못하는 매우 큰 자리수인 경우 이 방법도 처리할 수 없다. 본 논문은 n과 m의 자리수와 무관하게 n(modm)=0 여부로 n이 m의 배수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n=n_1n_2n_3{\cdots}n_k$, $m=m_1m_2{\cdots}m_l$에 대해 $r_1=n_1n_2{\cdots}n_l(mod m)$으로 설정하고, $r_i=r_{i-1}{\times}10+n_i(mod m)$, $i=2,3,{\cdots},k-1+1$로 n의 자리수를 1자리씩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다양한 n,m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쉽고, 빠르며 정확한 몫과 나머지 값을 구할 수 있음을 보였다.

3GPP LTE-A 시스템 기반 사용자 특성에 따른 효율적 Random Access 과부하 제어 기술 및 M2M 그룹화 (Efficient Congestion Control Technique of Random Access and Grouping for M2M according to User Type on 3GPP LTE-A s)

  • 김정현;지순배;유철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48-55
    • /
    • 2015
  • 본 논문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Long Term Evolution-Advanced(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 기기가 무수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 특별히, 무수히 존재하는 M2M 기기들로 인한 랜덤 액세스 채널의 부족과 이로 인한 지연(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2M 그룹화 기술에 사용자 특성별로 구별하여 허용 가능한 액세스 시도 확률을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M2M 기기들을 그룹화 하여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획득함과 동시에 셀룰러(Cellular) 통신을 하는 단말기와의 충돌을 줄임으로써, 기존 이동 통신 단말과 M2M 기기들이 공존하는 시스템의 랜덤 액세스 평균 지연(average 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Electrochemical Control of Metabolic Flux of Weissella kimchii sk10: Neutral Red Immobilized in Cytoplasmic Membrane as Electron Channel

  • PARK, SUN-MI;KANG, HYE-SUN;PARK, DAE-WON;PARK,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80-85
    • /
    • 2005
  • Electrochemical control of the metabolic flux of W. kimchii sk10 on glucose and pyruvate was studied. The growing cell of W. kimchii sk10 produced 87.4 mM lactate, 69.3 mM ethanol, and 4.9mM lactate from 83.1mM glucose under oxidation condition of the anode compartment, but 98.9 mM lactate, 84.3mM ethanol, and 0.2 mM acetate were produced from 90.8 mM glucose under reduction condition of the cathode compartment for 24 h, respectively. The resting cell of W. kimchii sk10 produced 15.9 mM lactate and 15.2 mM acetate from 32.1 mM pyruvate under oxidation condition of the anode compartment, and 71.3 mM lactate and 3.8 mM acetate from 79.8mM pyruvate under reduction condition of the cathode compartment. The redox balance (NADH/$NAD^+$) of metabolites electrochemically produced from pyruvate was 1.05 and 18.76 under oxidation and reduction condition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neutral red (NR) immobilized in bacterial membrane can function as an electron channel for the electron transfer between electrode and cytoplasm without dissipation of membrane potential, and that the bacterial fermentation of W. kimchii sk10 can be shifted to oxidized or reduced pathways by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or reduction, respectively.

해녀콩(Canavalia lineata) 자엽에서 Homoserine Dehydro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Homoseine Dehydrogenases in Canavalia Iineata Cotyledons)

  • 최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41-48
    • /
    • 1996
  • 발아 후 8일된 해녀콩 자엽에서 성질이 서로 다른 두 개의 homoserine dehydrogenase를 분리하였다. 자엽에서 얻은 조효소액을 열처리, 황산 암모늄 침전, DEAE-Sephacel 및 Sephacryl S-300 겔 크로마토그래피와 Procion red dye, Cibacron blue dye 및 Resource Q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은 2개의 활성분획 중 T-형(트레오닌 감수성)과 K-형(트레오닌 비감수성)의 분자량은 각각 230 kD과 135 kD이었다. 10mM 트레오닌 첨가로 T-형 효소는 70% 이상의 활성저해를 받았으나 K-형 효소는 전혀 억제를 받지 않았다. Homoserine에 대한 Km은 T-형이 1.6mM, K-형이 0.3mM이었고, NAD에 대한 Km은 T-형이 2.34mM, K-형이 0.03mM이었으며 NADP에 대한 Km은 두 효소에서 동일하게 0.01mM로 산출되었다. 400mM KCl에서 T-형은 4.9배, K-형은 2.8배의 활성증가를 보였다. 부분정체(Sephacryl S-300 겔 크로마토그래피)된 상태의 T-형과 K-형은 조건에 따라 쉽게 상호전환되었다.

  • PDF

Protective Action of Ambroxol on the Oxidative Damages of Lipids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 Ji Young KOH;Yung CHO;Eun Sook HAN;Lee, Chung-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2호
    • /
    • pp.111-118
    • /
    • 1998
  • Ambroxol is thought to have antioxidant ability and some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 of ambroxol on the oxidative damages of lipid,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was examined. F $e_{2+}$(10 $\mu$M) and 100$\mu$Mascorbate-induce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microsomes was inhibited by 10 and 100$\mu$M ambroxol, 30$\mu$g/ml catalase and 10 mM DABCO but was not affected by 30$\mu$g/ml SOD and 10 mM DMSO. A 10 and 100$\mu$M ambroxol and 10 mM DABCO inhibited the peroxidative action of 10$\mu$M F $e_{3+}$, 160$\mu$M ADP and 100$\mu$M NADPH on microsomal lipids, whereas inhibitory effects of 30$\mu$g/ml SOD,30$\mu$g/ml catalase and 10 mM DMSO were not detected.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caused by 107M Fe2\\`,5007M H2O2 and 100$\mu$M ascorbate was inhibited by 10 and 100$\mu$M ambroxol,30$\mu$g/ml catalase,10 mM DMSO and 10 mM DABCO, while 30$\mu$g/ml SOD did not show any effect. The cartilage collagen degradation caused by 307$\mu$ F $e_{2+}$,500$\mu$M $H_2O$$_2$ and 200$\mu$M ascorbate was prevented by 100$\mu$M ambroxol. $H_2O$$_2$ and OH . were scavenged by ambroxol, whereas $O_2$, was not removed by it. Ambroxol (100$\mu$M) and 1 mM cysteine reduced DPPH to 1,1-diphenyl-2-picrylhydrazine. In conclusion, ambroxol may inhibit the oxidative damages of lipid,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by its scavenging action on oxidants, such as OH . and probably iron-oxygen complexes and exert antioxidant ability.

  • PDF

Phytotoxic effects of mercury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lbizia lebbeck (L.) Benth. (Leguminosae)

  • Iqbal, Muhammad Zafar;Shafiq, Muhammad;Athar, Mohammad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3권3호
    • /
    • pp.207-216
    • /
    • 2014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ytotoxic effect of mercury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n important arid legume tree Albizia lebbeck. The seed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performance of A. lebbeck responded differently to mercuric chloride treatment (1 mM, 3 mM, 5 mM and 7 mM) as compared to control. Seed germination of A. lebbeck was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by mercury treatment at 1 mM. Root growth of A. lebbeck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ercury treatment at 1 mM, and 3 mM. Shoot and root length of A. lebbeck were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by 5 mM concentration of mercury treatment.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mercury treatment at 5 mM and 7 mM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seedling dry weight of A. lebbeck. The treatment of mercury at 1 mM decreased high percentage of seed germination (22%), seedling length (10%), root length (21.85%) and seedling dry weight (9%). Highest decrease in seed germination (51%), seedling (34%), root length (48%) and seedling dry weight (41%) of A. lebbeck occurred at 7 mM mercury treatment. A. lebbeck showed high percentage of tolerance (78.14%) to mercury at 1 mM. However, 7 mM concentration of mercury produced lowest percentage of tolerance (51.65%) in A. lebbeck. The seed germination potential and seedling vigor index (SVI) clearly decreased with the higher level of mercury. Plantation of A. lebbeck in mercury-polluted area will help in reducing the burden of mercury pollution. A. lebbeck can serve better in coordinating in land management programs in metal contaminated areas. The identification of the toxic concentration of metals and tolerance indices of A. lebbeck would also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air quality standard.

M2M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신뢰 평가 모델 (Hybrid Trust Computational Model for M2M Application Services)

  • 김유경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3-62
    • /
    • 2020
  • IoT 환경의 최종 사용자 도메인에서 점점 더 많은 수의 지능형 M2M(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생성하고 공유하기 위한 자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P2P 환경의 최종 사용자에게 이전하여 신뢰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소비하는 비중앙집중식 M2M 컴퓨팅 환경에서는 상호간의 신뢰 구축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오작동하는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악의적인 사용자들이 IoT와 같은 M2M 컴퓨팅 환경에서 보안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신뢰 평가를 위한 통합적인 분석과 접근방식을 제공하고, M2M 커뮤니티의 사용자들 사이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신뢰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와 에틸렌 생합성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 and Ethylene Synthesis Inhibitor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Soybean Cotyledon)

  • 조형일;한태진;하건수;이순희;김응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7-332
    • /
    • 1994
  • MGBG와 에틸렌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에틸렌 생성량과 내생 polyamine 함량을 조사하였다. 대두 자엽 절편을 부정근 형성 배지에 2주간 배양하면서 관찰한 결과 많은 양의 부정근이 형성되었으나 $10^{-3}$ M MGBG를 처리하면 부정근 형성이 거의 억제되었다. 그러나 MGBG + spermine, MGBG + Cocl$_2$ 및 MGBG + spermine + Coc1$_2$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부정근 형성 억제가 회복되었다. $10^{-3}$ M MGBG에 spermine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10^{-5}$ M의 spermine 혼합 처리시 다소회복되었다.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 처리구에서는 부정근 회복능이 $10^{-3}$ M MGBG +$10^{-5}$ M spermine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에틸렌 생성량과 polyamine 함량을 $10^{-3}$M MGBG, $10^{-3}$ M MGBG +$10^{-5}$ M spermine, $10^{-3}$ M MGBG +$10^{-4}$ M CoCl$_2$$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처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Cytochrome P450 유도제에 노출시킨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 약물대사효소계의 in vitro 반응 (In vitro Response of the MPO System of the Clam, Coelomactra antiquata with Exposure to Cytochrome P450 Inducers)

  • 전중균;이미희;심원준;이수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9-184
    • /
    • 2002
  • 강원 북부 연안에 많은 명주조개 (Coelomactra antiquata)의 중장선으로 미크로좀을 만들고, cytochrome P45O (CYP)의 유도제로 알려진 phenobarbital (PB), 3-methylcholanthrene (MC) 및 $\beta$-naphthoflavone (BNF)을 DMSO에 녹여 함께 30$^{\circ}C$의 수조 상에서 in vitro로 배양하면서 약물대사효소계의 CYP 함량과 7-o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활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한 sham구는 미크로좀에 DMSO만을 첨가하여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 sham구의 CYP 함량은 배양 6시간이 지나서는 처음 수준의 $91\%$로 줄었으며, 0.1 mM과 0.2mM, 0.4mM 및 1.0 mM BNF 배양구는 배양 4$\~$6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었는데 각각 처음 보다 $116\%$, $114\%$, $126\%$$132\%$로 되었다. PB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6시간 후에 최대 값이 되었고 각각 처음의 $112\%$, $114\%$$114\%$로 되었으며, MC와의 배양에서도 0.1 mM과 0.4 mM 및 1.0 mM 배양구는 배양 4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116\%$, $130\%$$132\%$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EROD 활성의 변화도 sham구는 배양 7시간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BNF의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7시간 후에 각각 처음의 $120\%$, $123\%$$115\%$로 되었고, PB의 0.1 mM과 1.0 mM 배양구는 배양 3시간 후에 최대로 되어 각각 $121\%$$136\%$로 증가하였으며, MC와의 배양에서는 0.1 mM과 0.4 mM 및 0.8 mM 배양구는 배양 5시간 후에 최대값이 되어 각각 $204\%$, $198\%$$191\%$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BNF나 PB, MC는 명주조개에서도 미크로좀의 CYP 함량과 EROD 활성을 증가시키는 유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C에 의한 유도효과가 가장 강했고 BNF, PB의 순이었고, 대체로 약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도 효과도 큰 경향을 보였다.

카페인과 칼슘이 골모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on the activities of the mouse osteoblastic cells)

  • 전윤식;백혜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29-142
    • /
    • 2002
  • 사회적, 경제적 여건의 향상으로 성인들의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증가는 교정치료에 제한이 되며, 골다공증과 카페인과의 관련 여부는 최근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후 1일된 마우스의 골모세포를 in Vitro상에서 카페인과 칼슘 및 이 둘을 혼합 처리하여 골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골모세포는 마우스의 두개관에서 얻었으며, 카페인 단독 처리, 칼슘 단독 처리, 카페인과 칼슘의 혼합처리를 시행하였다. 카페인 처리를 한 경우 1일, 2일, 4일째 세포 독성 정도를 570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고, 카페인, 칼슘 및 혼합 처리시 배양 후 28일째 Von Kossa staining 후 영상분석기에 의해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변화를 배양 후 2일, 7일, 14일, 21일, 28일째 405 nm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고, IL-1 ${\beta}$의 활성도를 48시간 후 492 nm ELISA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수치들은 ANOVA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1. 카페인에 대한 세포 독성은 카페인의 농도가 1.0 mM, 2.0 mM로 증가함에 따라, 2일, 4일로 배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세포수는 감소하였다. 2. 광화된 골결절의 밀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 우 0.2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2 mM에서, 혼합 처리한 경우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는 비처리시 칼슘과 같이 14일째 최대값을 보이는 반면,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카페인과 칼슘 혼합 처리시에는 칼슘 농도가 1.2 mM, 1.8 mM인 경우 배양 14일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2.5 mM인 경우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4. II-1 ${\beta}$의 활성도는 카페인을 단독 처리한 경우 0.2 mM, 1.0 mM에서, 칼슘 단독 처리시에는 1.8 mM에서, 혼합 처리시 0.1 mM 카페인과 1.8 mM 칼슘 혼합 처리한 경우 높게 나타났고, 고농도의 카페인, 칼슘 혼합 처리 시에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칼슘이 1.2 mM, 1.8 mM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카페인에 의한 골모세포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과 IL-1 ${\beta}$의 활성 억제 효과가 어느 정도 회복되나, 2.5 mM 고농도의 칼슘은 억제된 활성을 회복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