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simeter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2초

현장 실험을 통한 단층형 매립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서 석탄회의 효과 검토 (Evaluation on the effect of Coal-ash as Landfill Cover Material of Mono-Layer Cover System through the Field Scale Test)

  • 유찬;윤성욱;강신일;진혜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18-1031
    • /
    • 201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industrial by-products to landfill final cover, field pilot-scale lysimet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mixture of loamy soil, bottom ash, and construction waste was placed as a cover material in lysimeter($2m{\times}6m{\times}1.2m$) which were constructed with cement brick, and then, volumetric water contents, pF value, and the quantity of runoff and seepage of treatment boxes filled with the mixture of loamy soil and the industrial by-products were monitored from July, 2007 to February, 2008. Among the cases tested, consequently, the case containing the mixture of bottom ash and loamy soil was most effective in engineering and hydrological properties and water retention ability.

  • PDF

Simulation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Corn in South Texas

  • Ko, Jong-Han;Piccinni, Giovann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1-170
    • /
    • 2008
  • Interest is growing in applying simulation models for the South Texas conditions, to better assess crop water use and production with different crop management practices. The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ed Climate (EPIC) model was used to evaluate its application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com (Zea mays L.) in South Texas of the U.S. We measured actual crop evapotranspiration (ETc) using a weighing lysimeter, soil moisture using a neutron probe, and grain yield by field sampling. The model was then validated using the measured data. Simulated ETc using the Hargreaves-Samani equation was in agreement with the lysimeter measured ETc. Simulated soil moisture generally matched with the measured soil moisture. The EPIC model simulated the variability in grain yield with different irrigation regimes with $r^2$value of 0.69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0.5\;ton\;ha^{-1}$. Simulation results with farm data demonstrate that EPIC can be us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com under irrigated conditions in South Texas. EPIC appears to be effective in making long term and pre-season decisions for irrigation management of crops, while reference ET and phenologically based crop coefficients can be used for inseason irrigation management.

현장 Pilot실험을 통한 산업부산물 혼합토의 수리학적 특성 변화 (Variation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Mixed with Industrial By-products by Pilot-Test)

  • 유찬;윤성욱;백승환;박진철;이정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55-1665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industrial by-products to landfill final cover, field pilot-scale lysimet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mixture of loamy soil, bottom ash, and construction waste was placed as a cover material in lysimeter($2m{\times}6m{\times}1.2m$) which were constructed with cement brick, and then, volumetric water contents, pF value, and the quantity of runoff and seepage of treatment boxes filled with the mixture of loamy soil and the industrial by-products were monitored from July, 2007 to February, 2008. As a result, the case containing the mixture of bottom ash and loamy soil was most effective in engineering and hydrological properties and water retention ability.

  • PDF

토양수분확산계수 측정과 자동측정리이시메타를 이용한 토양수분계수 추정 (Soil Water Diffusivity and Soil Water Stress Coefficient Studies Using Weighting Lysimeter Data)

  • 오동식;제임스 에이야스;리차드 소페;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4-356
    • /
    • 1999
  • 토양수분 확산계수 추정을 위한 이론식(Mualem's principle)과 실측법(Hopmans' equation)을 제시하여 실험한 결과 실측치와 이론치의 상당한 근접을 보였으므로 Hopmans의 수치해석적 모형을 실측모형으로 재시하고자 한다. 작물계수 측정에 있어서는 생육시기에 따른 모형화보다는 생육온도에 따른 모형화가 함수 관계에 있어서 보다 더 유의성 있는 상관성을 보였다.

  • PDF

콩재배 포장 라이시메타를 이용한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및 pendimethalin의 유출량 평가 (Runoff and Erosion of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and Pendimethalin from Soybean Field Lysimeter)

  • 김찬섭;이희동;오병렬;이영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7-305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농약의 특성,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 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콩 재배 경사지 포장에 설치된 포장 lysimeter에서의 경사도와 경사장 및 작물의 재배 유무에 따른 농약의 표면유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Lysimeter 포장유출실험 결과 경사도 및 경사장별 나지구의 유실량은 alachlor $0.1{\sim}0.6%$, ethalfluralin $1.1{\sim}4.5%$, ethoprophos 0.03% 및 pendimethalin $8{\sim}31%$ 수준이었으며, 인공강우실험의 유실율에 비하여 $1/3{\sim}2.5$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콩재배구의 유실율은 나지구의 유실율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21{\sim}7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조건의 영향을 살펴보면 유출수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유실토양에 의한 유실율은 최대 $4{\sim}12$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출수 중 농약성분의 최고농도는 콩재배구 및 나지구 각각 ethalfluralin $1.1{\sim}11.4{\mu}gL^{-1}$$0.9{\sim}16{\mu}gL^{-1}$, pendimethalin $7{\sim}42{\mu}gL^{-1}$$6{\sim}66{\mu}gL^{-1}$ 수준으로 작물재배 유무에 따른 유출수 중 농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약의 살포지역 외부로의 유출은 기본적으로는 강우와 경사조건에 따른 물 유출량과 토양의 유실량에 의하여 결정되고 작물의 피복정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골프장의 잔디 토양에서 인산 비료의 이동성 평가를 위한 정보 구축 (Information on Movement of the Phosphorus(P) Fertilizers in the Turfgrass Soils of Golf Course)

  • 정근욱;백기태;고성환;노재관;이경호;우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85-292
    • /
    • 2008
  • 일반적으로, 골프장의 퍼팅그린(putting green)지역에서 사용되는 토양은 매우 낮은 CEC(양이온치환용량)와 알루미늄 및 철 수산화물의 코팅이 없는 모래로 이루어진 근권 혼합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서, 토양에 의한 인산(Phosphorus, P)의 보유는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새로운 상업용 인산비료는 골프장의 그린지역에서 적절한 인산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잔디 품종 Floradwarf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을 유리온실에서 재배하면서 상업용 인산비료의 이동성과 영양분 공급력을 평가하였다. 전체 12주의 실험기간 동안 격주로 인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절단된 잔디와 용출액(leachate)이 수집되었다. 깎여진 잔디는 48시간 동안 70oC에서 건조되었고 건물중량(dry matter)측정이 이루어졌다. 인산의 용출에 있어서 MKP(monopotassium phosphate)와 APP(ammonium polyphosphate)가 가장 많은 양의 인산을 용출시켰고 MAP(monoammonium phosphate)와 0-20-20(액체)이 그 다음으로 많은 양의 인산을 용출 시켰고, CSP(concentrated superphosphate)가 가장 적은 양의 인산을 용출 시켰다. 전체 12주 동안 용출된 인산의 양을 시간별로 분석해 본 결과에 따르면, 2주와 4주 동안 수집된 용출액속에 시비된 인산의 대부분이 용출되었다. 나머지 6주, 8주, 10주, 12주 동안에 용출된 인산의 양은 미미하였다. 용출된 인산의 양은 건조물이나 영양분 흡수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전체 인산의 회수율은 43%에서 93%의 범위에 있었다. 인산 비료의 본래의 용해성으로 인해, 인산 비료간의 흡수, 총 건물중량 및 용출에 있어서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 같다. 그러므로, 라이시미터(lysimeter) 실험결과에 따르면 CSP, 0-20-20, 그리고 MAP가 골프장의 퍼팅 그린 지역에 사용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인산 비료로 사료된다.

골부초와 자갈대에 의한 고랭지 감자재배지 토양보전 효과 (Effects of Minimum Furrow Mulching with Weed Straw and Gravel Furrow Barrier on Soil Conservation at Potato Field in Gangwon Highland)

  • 박철수;정영상;주진호;이원정;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3
    • /
    • 2005
  • 강원도 고령지 지역의 밭은 경사지에 발달한 곳이 많아서 강우에 의한 유거수와 토양의 유실이 많이 일어나게 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석비레를 이용하여 농업을 하고 있어 강우침식을 쉽게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농경지 밭에 쉽게 적용하여 토양유실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농경지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초와 토양침식 후 표면에 남근 자갈을 이용하여 골에 일정 간격으로 두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토양 유실량은 식양토이면서 13%의 경사를 가진 포장에서는 사경과 등고선 경작만으로도 토양 유실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젓으로 나타났고, 경사가 23%인 석비레 사양토 포장에서는 토양 유실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초와 자갈을 최소로 이용하는 골최소부초와 골자갈대를 시험구에 처리함으로써 처리하지 않은 구에 비해 횡계와 용산 포장에서 45% 이상의 토양 유실 저감 효과와 유거수 발생 또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양토인 석비레 성토 지역의 경우는 토양 유실량이 보전처리구에서 61 Mg/ha 이상이 발생하여 골최소부초와 골자갈대를 3 m 간격으로 처리 하여서는 그 효과를 허용 토양 유실량인 11 Mg/ha 이하로 낮출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단일한 방법으로는 토양보전에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능성 퇴비가 배추의 생육 특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Compost on Production, Yield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 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55
    • /
    • 2002
  • Codex유기식품규격의 허용 천연광물자재인 맥반석, 옥, 황토 등을 퇴비에 혼합 첨가하여 제조한 퇴비가 배추생육과 품질에 어떠한 기능성을 가지는가를 검토하고자 Lysimeter에서 재배한 배추의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배추의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1. 생체중, 구고, 구폭, 엽신 및 중륵의 무게가 일반 퇴비구에 비해 맥반석, 옥, 황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많았다. 배추 엽수와 엽폭의 증가폭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엽장은 크게 나타났으며, 맥반석을 혼합하여 처리한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당도는 맥반석, 옥,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퇴비시용구보다 낮았다. 엽신의 비티민 C 함량이 중륵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무비구 578ppm에 비해 기능성퇴비 시용구에서 648~706ppm으로 높아졌고 옥을 혼합하여 처리한 기능성 퇴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질산염 함량은 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엽신 2,021ppm, 중륵 2,235ppm으로 가장 낮아, 황토가 배추의 질산염 집적량을 낮추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4. 맥반석, 옥, 황토를 단독 혼합하여 제조한 퇴비시용구에 비해 맥반석+옥+황토를 혼합 처리한 퇴비시용구에서 당도, 비티민 C 함량 및 질산염 함량 등은 각각 평균치 수준을 나타냈다. 5. 결론적으로 맥반석, 옥, 황토 등은 배추의 수량증가를 위해 퇴비제조시에 혼합 첨가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질로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콩 재배시 물관리 방법에 의한 양분의 용탈과 작물 흡수 (Nutrient Leaching and Crop Uptake in Weighing Lysimeter Planted with Soybean as Affected by Water Management)

  • 이예진;한경화;이슬비;성좌경;송요성;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 조건 및 관개 여부가 양분용탈 및 콩의 양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콩을 재배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콩 재배기간인 6월부터 10월까지의 증발산량은 무관개구의 경우 강우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2016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지온상승 및 강우 빈도의 감소로 증발산량이 감소하다가 9월 중순 강우에 의해 유효수분 함량을 회복하여 생육 후기에 증발산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태질소의 지하 용탈량은 2016년 7월 초 5일간 강우가 지속되었을 때 가장 많았으며, 그동안 지하배수가 거의 없었던 무관개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 및 착협기인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한발로 인하여 무관개구의 토양 수분함량은 7월 초의 50%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콩 수량은 적습관개구의 25% 수준이었다. 적습관개구와 무관개구의 양분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질소 흡수량이 적습관개구에서 20~50% 더 높았으며, 인산, 칼리 흡수량 차이는 미미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콩의 질소 흡수에 영향을 미치며, 적정 수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관개를 통한 적정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었다.

토양유선량(土壤流先量) 예측(豫測)을 위(爲)한 작부인자(作付因子) 검토(檢討) (Discussion of Cropping Management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 정필균;고문환;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경사지(傾斜地) 토양보전대책수립(土壤保全對策樹立)을 위(爲)한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 확립(確立)과 적절(適切)한 작부체계(作付體系)의 선정(選定)으로 토양유실(土壤流失)을 억제(抑制)하는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수원시(水原市) 구운동(九雲洞) 예산사양토(禮山砂壤土)에서 20% 경사지(傾斜地)에 Lysimeter를 설치(設置)하고 보리-콩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비롯한 14개 작부체계별(作付體系別)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의(依)한 토양유실방지효과(土壤流失防止效果)는 나지(裸地) 12.8 ton/10a에 비(比)해 옥수수단작(單作) 5.4 ton/10a, 보리-콩 작부(作付)에서는 3.1 ton/10a, 목초(牧草)는 1.2 ton/10a 로 좋았다. 한편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에 적용(適用)할 작부인자(作付因子)의 값은 옥수수가 0.47로 가장 높고 콩간작(間作)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42%, 고구마간작(間作)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37, 육도(陸稻) 0.34,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34, 고추 0.32, 참깨 0.28, 감자-콩 0.26, 밀-콩 0.25, 밀-참깨 0.20 보리-고추 0.19, 보리-콩 0.18, 보리-고구마 0.10, 목초(牧草) 0.08 순(順)이었다.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에 작부인자(作付因子) 값을 적용(適用)한바 실측치(實測値)와 계산치(計算値)의 차(差)는 옥수수의 작부체계(作付體系)에서 35.8%로 가장 크고, 보리-콩의 작부체계(作付體系)에서 3.7%정도로 가장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