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cium chinensis Mil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Enriched Edible Yeast Using Gugija (Lycium chinesis Mill)

  • Kim, Ran;Jang, Jeong-Hoon;Park, Won-Jong;Kim, Ha-Kun;Kwak, Hahn-Shik;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38권3호
    • /
    • pp.206-209
    • /
    • 2010
  • To produce bioactive compound enriched yeast using medicinal Gugiga (Lycium chinensis Mill), several edible Saccharomyces species were cultured in Gugija extracts added yeast extract, peptone and dextrose medium (GE - YEPD medium) at $30^{\circ}C$ for 24 hr, and their growth were determined. Growth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7 and Sacchromyces cerevisiae ACTC 7904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yeasts. Two yeasts were selected and then determined their som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after cultivated the yeasts in the GE - YEPD medium and compared those grown on YEPD medium.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S. cerevisiae K-7 grown on GE - YEPD medium was about 20% higher than that grown on YEPD medium.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S. cerevisiae ACTC 7904 was also about 12% more high. However, the othe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were almost same or lower. Optimal addition concentration of Gugija extract was 10%, and maximally growth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S. cerevisiae K-7 were shown when the strain was cultured in 10% Gugija extracts containing YEPD medium at $30^{\circ}C$ for 12 hr.

한국의 구기자에 기생하는 혹응애 (Eriophyid Mites Associated with Lycium chinese Mill in Korea)

  • 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1권1_2호
    • /
    • pp.13-15
    • /
    • 2006
  • This report concerns with three species of eriophyid mites on Licium chinensis in Korea. Of them, the external morphology of Aceria tjyingi (Manson 1973) was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uthor reviewed three species of Korean eryophid mites and suggests Korean names of Aceria kuko kishida, A. macrodonis Keifer, and A. tjyngi (Manson), respectively.

  • PDF

구기자 가공품의 생리기능성 및 항고혈압 활성 검증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Gugija Products and an In Vivo Examination on Anti-hypertension Effects)

  • 이지수;박영춘;백승우;이석수;안용근;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5-120
    • /
    • 2008
  • To develop a new Gugija(Lycium chinensis Mill) product having increased value,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commercial Gugija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using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SHR) to examine the anti-hypertension effects of products. The results show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leaf pickle(97.7%), and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was 80.4% in Gugija doenjang(soybean paste) water extract. Anti-cholesterolemia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of Gugija rice cake(66.1 %). However, SOD-like activity was below 30% in most products; and fibrinolytic activity was not detected or was very weak. Ultimately, we selected Gugija tea and Gugija wine as superior anti-hypertensive Gugija products, and subsequent in vivo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HR, comparing the tea and wine to Gugija fruit. Among them, the Gugija fruit demonstrated the best anti-hypertension effects in SHR.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 항산화 추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for optimum antioxidant extraction condition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

  • 김학윤;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mu}g/100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145{\mu}g/100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mu}g/100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에 따른 항산화 효능 모니터링 (Monitoring of antioxidant activities with dried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ion)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59-865
    • /
    • 2016
  • 본 연구는 건조 구기자의 항산화 성분 추출을 최적화하기 위한 추출 조건변수는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갈색도, 총 페놀성 화합물,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e^{2+}$ chelating activity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갈색도, 총 페놀성 화합물,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e^{2+}$ chelating activity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8903, 0.8667, 0.8486, 0.9214로 5~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갈색도가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8.10%에서 2.38 hr 추출한 것(0.75, 흡광도)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성 화합물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30.17%에서 4.94 hr 추출한 것($2,355{\mu}g$)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16.21%에서 4.61 hr 추출한 것(13.83%)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e^{2+}$ chelating activity가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0.76%에서 3.39 hr 추출한 것(58.54%)으로 나타났다. 갈색도, 총 페놀성 화합물,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e^{2+}$ chelating activity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 (에탄올 농도 15% 및 추출 시간 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은 $2,397{\mu}g$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5.62%, 그리고 $Fe^{2+}$ chelating activity는 54.78%로서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총 페놀성 화합물 $1,293{\mu}g$, ABTS 라디칼 소거능 4.77% 및 $Fe^{2+}$ chelating activity 43.82%)에 비해 항산화 성분이 많이 추출되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기자 품종과 교배종의 부위별 심혈관관련 질환 예방 기능성 및 항산화 활성비교 (Cardiovascular Biofunction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Species and Its Hybrids)

  • 박원종;이봉춘;이주찬;이은나;송정은;이대형;이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91-397
    • /
    • 2007
  •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구기자 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기자 표준 품종들과 이들의 교배종들의 순과 잎, 열매와 뿌리등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심혈관 질환 예방생리기능성과 노화억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구기자 표준품종들의 생리기능성 가운데, 항산화 활성은 청운품종의 구기순의 메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은 청양7호의 지골피의 물 추출물에서 84.1%로 제일 높았다. 구기자 교배종의 생리 기능성중 항산화 활성은 명안A-2의 지골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93.1%로 제일 높았고 ACE저해활성은 DO148-72 (A11) 교배종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이 96.9%로 제일 높았다. 그러나 혈전용해활성과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표준품종과 교배종 모두에서 대체로 미약하거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청운 표준품종의 구기순과 명안A-2 교배종의 지골피가 우수한 항산화 자원으로, DO148-72 (A11)교배종의 구기열매가 훌륭한 항고혈압성 ACE저해제 자원으로 각각 기능성 제품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것으로 사료된다.

약용 식물 발효액(들빛)의 항산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및 Nitric Oxide 생성 조절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edical Plants (DeulBit) and Its Modula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 조은경;갈상완;최영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2호
    • /
    • pp.91-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결명자, 오미자, 구기자, 박하, 국화, 산마, 생강, 둥글레, 감초, 오가피, 녹차, 다시마를 발효시킨 들빛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들빛 발효액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3.4{\pm}0.5\;mg/g$으로,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들빛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96%로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SOD 유사활성은 29%로 나타내었고, XOase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88%로 높게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66%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들빛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들빛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생성 증가율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율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은 무려 15배의 높은 NO 생성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율은 들빛 발효액 100%에서 42%로 나타나 높은 면역조절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들빛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항고혈압 효과, 혈전분해능 및 면역 조절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방 이화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Effects of Ehwa Makgeolli Containing Oriental Herbs on Skin Whitening and Wrinkles)

  • 이상진;권이영;조성원;권희숙;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0-5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방이화주의 피부 생리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70% EtOH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HEE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EE은 피부 진피 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elas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고,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2와 MMP-9의 단백질 발현과 proteolytic 활성을 억제하여 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독성 없이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 반응을 50% 저해하는 HEE의 농도($IC_{50}$)는 $24.9{\mu}g/mL$이며, $50{\m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염증 반응 저해 효과가 70%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HEE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