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cancer cells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28초

NCI-H157 폐암 세포주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과 미토콘드리아 기능변화를 한 Arsenic Trioxide와 Sulindac 병합요법의 세포고사효과 (Combination Treatment with Arsenic Trioxide and Sulindac Induces Apoptosis of NCI-H157 Human Lung Carcinoma Cells via ROS Generation with Mitochondrial Dysfunction)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30-38
    • /
    • 2005
  • 연구배경 : Arsenic trioxide($As_2O_3$, 비소 삼산화물)는 급성전 골수성백혈병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고, 비소세포폐암을 비롯한 여러 고형종양세포에서 세포 고사를 유도하나 백혈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가 필요하여 실제적인 치료에 제한이 있어왔다. Sulindac은 COX-2 억제, 암세포 성장의 억제 및 세포 고사 유도를 기전으로 하는 항암효과가 있고, 다른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NCI-H157 폐암세포주에서 $As_2O_3$와 sulindac의 병합요법이 Fas/FasL 신호전달계의 활성화와 caspase 단백질 활성화 의해 세포고사가 유도되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경로 이외에 다른 기전유무를 밝히는데 있다. 방 법 : 세포 독성은 MTT 방법으로 구하였고, HRP 방법을 이용해 ROS를 직접 측정하였다. 세포고사의 형태학적 특성을 보기위해 핵산염색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변화를 보기 위해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차를 측정하였고, anti-cytochrome c와 Bcl-2 family 단백질들의 발현 양상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 과 : 단독요법에 비해 병합요법시에 생존율의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생존율은 항산화제를 전처리 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회복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ROS의 생성은 병합요법시에 대조군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항산화제 전처리군에서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병합요법시 핵산염색에 의해 여러조각의 분절된 형광절편과 caspase 3, PARP의 활성을 통해 세포고사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항산화제 전처리군에서 상쇄됨을 관찰하였다. JC-1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차에 미치는 영향은 병합처리군에서 녹색형광으로의 변화가 보였고 항산화제 전처리군에서 소실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병합요법시의 cytochrome c의 세포 질내의 증가와 미토콘드리아내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Bax의 증가, Bid와 Bcl-xL의 발현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항산화제 전처리군에서 소실됨을 보였다. 결 론 : NCI-H157 폐암세포주에 $As_2O_3$와 sulindac의 병합 요법은 ROS생성과 미토콘드리아 기능변화를 통해 세포고사가 유도되었다.

실험적으로 기니픽에 유발시킨 렙토스피라병에 대한 미생물학적 및 병리학적 연구 (Microb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Experimentally Induced Leptospirosis in Guinea Pigs)

  • 장우현;김익상;이우곤;박경희;이재호;지제근;이정빈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1-226
    • /
    • 1986
  •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anicteric leptospirosis with severe pulmonary hemorrhage occured in Korea, the microb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ly induced leptospirosis in guinea pigs infected with a virulent strain of Leptospira interrogans isolated from the patient at Wonju, Korea,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pathological features were widespread hemorrhages, especially affecting lung, skeletal muscles, retroperitoneal and perirenal adipose tissues. The hemorrhages accompanied inflammatory process especially of vasculitic pattern as well as occasional coagulation necrosis in the liver, skeletal muscle, and myocardium. The main inflammatory cells were of plasma cell even in the fairly early stage of the infection. 2. Those pathologic changes were more exaggerated in the inoculation site. 3. Within 144 hours of infection, the longer the infection time, the more antigens were observed in the tissues, and the severer the pathologic changes. 4. Leptospiral antigens were detected at first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d immunoperoxidase technics. As the infection time extended, the antigens were observed in all of the tissues examined except in the skeletal muscle. The shape of the antigens was spiral or thread-like within 72 hours of infection. As the infection progressed, they became fragmented and granular. 5. Leptospires were detected in the blood within 144 hours of infection by darkfield microscopic examination. Thereafter, none was observed. 6. Antibody to leptospires were detected as early as 72 hours of infection. In summary, the virulent strain of L. interrogans used in this experiment induced widespread hemorrhages with inflammatory reaction especially in lung, skeletal muscles, and retroperitoneal adipose tissue. With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direct toxic effect of leptospires might playa grea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his infection.

  • PDF

Down-Regulation of Mcl-1 by Small Interference RNA Induces Apoptosis and Sensitizes HL-60 Leukemia Cells to Etoposide

  • Karami, Hadi;Baradaran, Behzad;Esfehani, Ali;Sakhinia, Masoud;Sakhinia, Ebrah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629-635
    • /
    • 2014
  • Background: Acute myeloid leukemia (AML) is a fatal hematological malignancy which is resistant to a variety of chemotherapy drugs. Myeloid cell leukemia-1 (Mcl-1), a death-inhibiting protein that regulates apoptosis, has been shown to be overexpressed in numerous malignancies.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the Mcl-1 gene increases at the time of leukemic relapse following chemo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arget Mcl-1 by small interference RNA (siRNA) and analyze its effects on survival and chemosensitivity of acute myeloid leukemia cell line HL-60. Materials and Methods: siRNA transfection was performed with a liposome approach. The expression levels of mRNA and protein were measured by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Trypan blue ass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umor cell growth after siRNA transfection. The cytotoxic effects of Mcl-1 siRNA (siMcl-1) and etoposide were determined using MTT assay on their own and in combination. Apoptosis was quantified using a DNA-histone ELISA assay. Results: Transfection with siMcl-1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cl-1 mRNA and protein in a time-dependent manner, resulting in strong growth inhibition and spontaneous apoptosis. Surprisingly, pretreatment with siMcl-1 synergistically enhanced the cytotoxic effect of etoposide. Furthermore, Mcl-1 down-reg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poptosis sensitivity to etoposide. No significant biological effects were observed with negative control siRNA treatment.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suppression of Mcl-1 by siRNA can effectively induce apoptosis and overcome chemoresistance of leukemic cells. Therefore, siMcl-1 may be a potent adjuvant in leukemia chemotherapy.

다발 전이성 농양을 일으킨 편평상피세포암성 농양 1예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tous Lung Abscess with Multiple Metastatic Abscesses)

  • 임주은;김은영;장지은;손지영;정지예;박병훈;이경종;윤여운;변민광;이사라;강영애;문진욱;박무석;김영삼;장준;박영년;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5호
    • /
    • pp.390-395
    • /
    • 2009
  • 기관지폐쇄에 의한 폐농양 혹은 공동성 병변에 발생한 암성 농양은 임상 양상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흡인성 폐농양과 흡사하여 감별이 어려워서 폐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기 쉽다. 따라서 항생제에 대한 반응이 뚜렷하지 않거나 선행 요인이 없고 비전형적인 위치에 발생한 폐농양의 경우 악성 병변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발열, 기침, 혈담,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폐농양 의심하에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악화된 67세 남자 환자에서 간세침흡인생검을 통해 다발 전이성 농양을 일으킨 편평상피세포암성 농양으로 진단된 예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원발성 폐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도에 대한 연구 (Telomerase Activity in Primary Lung Cancers)

  • 윤상명;곽경록;황지윤;박삼석;전두수;김철민;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95-203
    • /
    • 1999
  • 연구배경: 염색체의 안전성을 유지시켜 주며 DNA 복제의 완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telomere는 RNA를 포함하는 핵 단백질 복합체인 telomerase에 의해 반복 서열을 덧붙임으로써 안정화 되고, 이러한 telomere 의 안정화에 의해 세포들은 불멸성을 획득하게 된다. 폐암에서 telomerase의 활성이 조기에, 높은 빈도에서 검출됨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소세포암 및 비소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관지 내시경적 생검 조직으로 telomerase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폐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이 악성 종양의 유용한 지표가 되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기관지 내시경 생검의 telomerase 활성 검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암으로 추정되어 내시경적 생검사 동시에 채취한 조직 중 조직학적 진단이 이루어진 폐암 3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기초한 TRAP assay를 이용하여 telomer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 과: 총 33례의 폐암 조직 중 28례에서 telomerase 활성 양성을 보였다. 비소세포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은 85%(27례 중 23례)에서 양성을 보였고, 소세포암에 있어서는 83%(6례 중 5례)에서 양성을 보였다. 소세포암 중 l례, 비소세포암 중 4례에서 telomerase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폐암 조직에서 검체간에 telomerase 활성의 정도는 다양하였다. Telomerase 활성은 임상 병기 II 에서 50% 에서 양성을 보였고, III에서 93%에서 양성을 보였고, IV에서는 100%에서 양성을 보였다. 임상 병기 III 이나 IV의 경우 임상 병기 II에 비해 telomerase 활성 양성률이 의미있게 높았다(p<0.05). 결 론: 소세포암 및 비소세포암 모두에서 telomerase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수술적 절제나 세포주 배양을 통해 얻어진 조직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기관지 내 병변을 가진 폐암에서 기관지 내시경적 생검 조직에서 telomerase 활성 검출이 유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폐암에 있어서 진행된 병기에서 조기의 폐암에 비해 telomerase 양성률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TM-induced Radiosensitization in Vitro and in Vivo

  • Choi, E.K.;Ahn, S.D.;Rhee, Y.H.;Chung, H.S.;Ha, S.W.;Song, C.W.;Griffin, R.J.;Park, H.J.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33-237
    • /
    • 2003
  • It has been known that ATM plays a central role in response of cells to ionizing radiation by enhancing DNA repair. We hav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increasing radiosensitivity of tumor cells with the use of ATM inhibitors such as caffeine, pentoxifylline and wortmannin. Human colorectal cancer RKO.C cells and RKO-ATM cells (RKO cells overexpressing ATM)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clonogenic cell survival in vitro indicated that RKO-ATM cells were markdely radioresistant than RKO.C cells. Treatment with 3 mM of caffei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adiosensitivity of cells, particulary the RKO-ATM cells, so that the radiosensitivity of RKO.C cells and RKO-ATM cells were almost similar. The radiation induced G2/M arrest in RKO-ATM cells was noticeably longer than that in RKO.C cells and caffein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ngth of the radiation induced G2/M arrest in both RKO.C and RKO-ATM cells. Pentoxifylline and wortmannin were also less effective than caffeine to radiosensitize RKO.C or RKO-ATM cells. However, wortmannin was more effective than caffeine against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indicating the efficacy of ATM inhibitor to increase radiosensitivity is cell line dependent. For in vivo study, RKO.C cells were injected s.c. into the hind-leg of BALB/C-nuslc nude mice, and allowed to grow to 130mm3 tumor. The mice were i.p. injected with caffeine solution or saline and the tumors irradiated with 10 Gy of X-rays. The radiation induced growth delay was markedly increased by 1-2 mg/g of caffeine. It was concluded that caffeine increases radiosensitivity of tumor cells by inhibiting ATM kinase function, thereby inhibiting DNA repair, that occurs during the G2/M arrest after radiation.

CUG2 유전자에 의하여 감소된 FBXW7 E3 ligase 발현이 유사-종양줄기세포 표현형을 유도 (The Decreased Expression of Fbxw7 E3 Ligase Mediated by Cancer Upregulated Gene 2 Confers Cancer Stem Cell-like Phenotypes)

  • 야웃 낫파판;김남욱;붓루앙 파차라폰;조일래;카오윈 시리차트;고상석;강호영;정영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1-278
    • /
    • 2022
  • 신규 종양 유전자 Cancer Upregulated Gene (CUG) 2가 어떻게 유사-종양줄기세포 표현형을 유도하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Cyclin E, c-Myc, Notch, 그리고 Yap1와 같은 종양단백질를 분해하여 그 발현을 조절하는 FBXW7 E3 ligase의 발현이 대장암, 자궁경부암, 그리고 위암 등 여러 암조직에서 낮아져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FBXW7 단백질이 CUG2에 의한 종양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각 대조구 세포주보다 CUG2가 과발현된 A549 폐암 세포주와 BEAS-2B 기관지 세포주에서 FBXW7 단백질 발현이 낮게 나왔다. 여기서 MG132를 처리하게 되면 감소된 FBXW7과 FBXW7 기질로 알려진 Yap1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종양줄기세포 현상에서 FBXW7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FBXW7 siRNA를 처리하였다. 대조구 세포주에서 감소된 FBXW7의 조건은 세포 이동 침습, 그리고 구형 형성이 증가되는 종양줄기세포 현상이 촉진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CUG2가 과발현된 두 세포주에서 FBXW7 발현 벡타 도입으로 FBXW7 발현 증가는 종양줄기세포 현상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BXW7의 감소는 EGFR-Akt-ERK1/2와 β-catenin-Yap1-NEK2 신호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반대로 FBXW7 발현 증가는 이 두 경로의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CUG2 과발현은 FBXW7의 발현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EGFR-Akt-ERK1/2와 β-catenin-Yap1-NEK2 신호경로를 활성화시켜 유사-종양줄기세포 현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 암반 심해수의 항산화 활성 및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Study of Deep Ground Sea-Like Water 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mmune Response in RAW264.7 Macrophages.)

  • 김유정;정일선;송효주;최은영;최인순;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9-335
    • /
    • 2008
  • 해양성 심층수(KDSW)는 해양심층수(DSW)와 유사한 mineral 조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 및 의약분야에서 그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DSW 및 탈염한 Danasoo의 항산화력, 면역활성, 함암 및 당뇨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KDSW와 Danasoo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 SOD-like 활성 및 PCL 법에 의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KDSW와 Danasoo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된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PCL법에 의한 KDSW와 Danasoo의 항산화능은 85.32과 14.02(nmol of ascorbic acid equivalent/ml)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활성은 Danasoo (20%)를 첨가에 의하여 약 30%정도의 NO 합성이 저해되었으며, 이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MTT assay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NO는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하여 합성되며, tumor성장 및 angiogenesi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Danasoon (20%)는 위암세포와 폐암세포의 iNOS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STZ에 의하여 유도된 당뇨 쥐의 혈당량은 Danasoo (20%) 식이에 의하여 대조구와 유사한 당뇨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KDSW가 우수한 biological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천연 기능성 제품생산을 위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올 시사하고 있다.

고로쇠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항암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of Acer mono Aqueous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 김지선;정명훈;최운용;서용창;조정섭;이현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4-24
    • /
    • 2011
  • 고로쇠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하여 항암활성 증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세포독성 측정결과 인간 정상 폐 세포(HEL299)에 대하여 일반 열수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23.51%로 나노입자에 비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결과 고로쇠 추출물 나노입자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 결과에서도 1.0 mg/mL의 농도에서 32.33%로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위암세포,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그리고 폐암세포에 대하여 암세포 억제 활성 측정결과 고로쇠 추출물 나노입자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9-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나노입자의 경우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약 5-10% 이상 증진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여러 인간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실험 결과, 소화기계통의 암세포주에 대하여 71-73%의 암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암세포주에 비하여 높은 암세포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인간 위암세포인 AGS로의 나노입자 침투를 confocal microscope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고로쇠 추출물을 나노입자화 공정을 통하여 활성 증진을 확인하였고, 천연 항산화제, 항암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3-Dichloro-2-Propanol (1,3-DCP)에 의한 세포의 손상기전 (1,3-Dichloro-2-Propanol (1,3-DCP) Induced Cell Damage)

  • 정지학;신익재;신영민;박흥재;안원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5
    • /
    • 2007
  •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DC's) are chemicals that either mimic endogenous hormones interfering with pharmacokinetics or act by other mechanisms. Some endocrine disrupters were reported to be chemical substances that cause apoptosis in cells. A number of reports have indicated that 1,3-DCP, one of the EDC's may act as an endocrine disrupter and also has possible carcinogenic effects. 1,3-DCP, present in commercial protein hydrolysates used for human nutrition, are genotoxic and 1,3-dichloro-2-propanol induced tumors in rat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1,3-DCP induces ROS generation and apotosis in A549 adenocarcinoma cells. Here we show that 1,3-DCP inhibits the growth of lung cancer cell lines and generat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 major cause of DNA damage and genetic instability, It was investigated that 1,3-DCP increases G1 phase cells after 12 hours, thereafter abruptly draws A549 cells to G0 state after 24 hours by flow cytometric analysis. 1,3-DCP induces p53 and $p21^{Cip1/WAF1}$ activation time- and dose-dependently by 24 hours, while the level $p21^{Cip1/WAF1}$ was decreased after 48 hou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1,3-DCP, an EDC's generates ROS and regulates genes involved with cell cycle and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