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cancer cells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26초

4-(N-Methyl-N-nitrosamino)-1(3-pyridyl)-1-butanone(NNK) Restored the Cap-dependent Protein Translation Blocked by Rapamycin

  • Kim Jun-Sung;Park Jin Hong;Park Sung-Jin;Kim Hyun Woo;Hua Jin;Cho Hyun Sun;Hwang Soon Kyung;Chang Seung Hee;Tehrani Arash Minai;Cho Myung Hai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47-353
    • /
    • 2005
  •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4E (elF4E) is a key element for cap-dependent protein translation controlled by affinity between elF4E and 4E-binding protein 1 (4E-BP1). Rapamycin can also affect protein translation by regulating 4E-BP1 phosphorylation. Tobacco-specific nitrosamine, 4(N-methyl-N-nitrosamino )-1-(3-pyridyl)-1-butanone (NNK) is a strong lung carcinogen, but its precise lung cancer induction mechanism remains unknown. Relative roles of cap-dependent and -independent protein translation in terms of NNK-induced lung carcinogenesis were elucidated using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NNK concentrations applied in this study did not decrease cell viability. Addition of NNK restored rapamycin-induced decrease of protein synthesis and rapamycin-induced phosphorylation of 4E-BP1, and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mTOR, ERK1/2, p70S6K, and Raf-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NK also caused perturbation of normal cell cycle progression. Taken together, NNK might cause toxic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storation of 4E-BP1 phosphorylation and increase of elF4E as well as mTOR protein expression, interruption of Raf1/ERK as well as the cyclin G-associated p53 network. Our data could be applied towards elucidation of the molecular basis for lung cancer treatment.

TNF-${\alpha}$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HuR, a Prognostic Marker for Ovarian Cancer and Hu Syndrome, in BJAB Cells

  • Lee, Kyung-Yeol
    • IMMUNE NETWORK
    • /
    • 제4권3호
    • /
    • pp.184-189
    • /
    • 2004
  • Background: Hu syndrome, a neurological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the remote effect of small cell lung cancer on the neural degeneration. The suspicious effectors for this disease are anti-Hu autoantibodies or Hu-related CD8+ T lymphocytes. Interestingly, the same effectors have been suggested to act against tumor growth and this phenomenon may represent natural tumor immunity. For these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sons, the demand for antibodies against Hu protein is rapidly growing. Methods: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ies were generated using recombinant HuR protein. Western blot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specificity of generated antibodies using various recombinant proteins and cell lysates. Extracellular stimuli for HuR expression had been searched and HuR-associated proteins were isolated from polysome lysates and then separated in a 2-dimensional gel. Results: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R protein were generated and these antibodies showed HuR specificity. Antibodies were also useful to detect and immunoprecipitate endogenous HuR protein in Jurkat and BJAB. This report also revealed that TNF-${\alpha}$ treatment in BJAB up-regulated HuR expression. Lastly, protein profile in HuR-associated mRNAprotein complexes was mapped by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Conclusion: This study reported that new antibodies against HuR protein were successfully generated. Currently, project to develop a diagnostic kit is in process. Also, this report showed that TNF-${\alpha}$ up-regulated HuR expression in BJAB and protein profile associated with HuR protein was mapped.

Cytotoxic Activity and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2-Aryl-1,8-naphthyridin-4-ones

  • Kim, Yong-Jin;Kim, Eun-Ae;Chung, Mi-Lyang;Im, Chae-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6호
    • /
    • pp.511-516
    • /
    • 2009
  • A series of substituted 2-arylnaphthyridin-4-one analogues, which were previously synthesized in our laboratory, were evaluated for their in vitro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lung cancer A549 and human renal cancer Caki-2 cells using MTT assay. Some compounds (11, 12, and 13) showed stronger cytotoxicity than colchicine against both tumor cell lines, and compound 13 exhibited the most potent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2.3 and $13.4\;{\mu}M$, respectively.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3D-QSAR) studies of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and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 (CoMSIA) were performed. Predictive 3D-QSAR models were obtained with $q^2$ values of 0.869 and 0.872 and $r^2_{ncv}$ values of 0.983 and 0.993 for CoMFA and CoMSIA,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oMFA and CoMSIA models could be reliably used in the design of novel cytotoxic agents.

비소세포 폐암에서 단클론항체 M30를 이용한 세포자멸사 측정 (Detection of Apoptosis by M30 Monoclonal Antibody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 김광일;이건;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14-121
    • /
    • 2007
  • 배경: 종양 발생기전에 있어서 세포자멸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 내의 세포자멸사 측정은 TUNEL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 mediated nick end lagbelling), ISEL (in situ nick end labelling) 등의 방법을 쓰지만, 반응 세포의 비특이성 및 결과 판독의 주관성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단클론항체 M30이 소개되어, 인체 조직의 대장암, 가슴 샘종,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에서 M30 면역염색을 이용한 세포자멸사 연구가 있었으나 폐암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저자들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M30 면역염색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자멸사 양상이 세포주기 핵심조절자인 p53 면역염색 발현양상 및 임상양상과 갖는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소세포 폐암으로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30과 P53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실시하여 각 항체의 발현양상과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술 후 생존기간과 무병 생존기간을 구하였고,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M30과 p53 발현양상이 술 후 사망위험도 및 재발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M30 양성세포 수는 p53 양성군이 p53 음성군보다 유의하게 많았고(p53 양성군 $61.7{\pm}26.8$개 vs. p53 음성군 $45.6{\pm}29.6$개, p=0.005), 세포사멸사 지수가 1 이상(Apoptosis Index, $Al{\ge}1$)인 환자 수도 p53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53 양성군 52.4% (l1/21) vs. p53 음성군 16.7% (4/24), p=0.025). 단변량 분석에서는 흡연량, 활동도(Performance Status, PS), 그리고 AI가 술 후 생존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AI가 높은 군에서 수술 후 암사망 위험도(Relative risk, R.R 7.48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86{\sim}29.678$; p=0.004)와 재발 위험도(R.R 3.795; 95% CI $1.184{\sim}12.158$; p=0.025)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53 발현양상은 수술 후 생존기간과 암사망 위험도 및 재발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단클론 항체 M30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이 비소세포 폐암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폐암 세포주에서 5-aza-2'-deoxycytidine 처치에 의해 발현되는 암항원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5-aza-2'-deoxycytidine-induced Gene Expression i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창수;이해영;김종인;장희경;박종욱;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967-977
    • /
    • 2004
  • 배경: DNA 메칠화란 유전자의 Promoter에 있는 CpG dinucleotide의 cytosine기에 메칠기가 붙는 현상을 말한다. CpG dinucleotide에 과메틸화가 일어나면 일부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며, 그 반대로 CpG dinucleotide의 메칠화가 억제되면 유전자 발현이 증가된다. DNA 메칠화 억제제인 5-aza-2'- deoxycytidine (ADC)을 폐암세포에 처치했을 때 암항원 유전자의 발현 유무와 이를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고, 아울러 MHC와 B7의 발현과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암치료 백신에 ADC를 임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4개의 사람 폐암세포주 (NCIH1703, NCIH522, MRC-5 및 A549)에 ADC를 1 uM 농도로 처치한 후 48시간 뒤에 MAGE family, GAGE, NY-ESO-1, PSMA, CEA 및 SCC항원 유전자에 대한 RT-PCR을 실시하였고, 폐암세포에서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최적의 ADC처치 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ADC농도와 처치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암세포를 자극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ADC 처리가 폐암 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하였고, ADC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및 5 uM 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포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MAGE, GAGE, NY-ESO-1 및 PSMA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MAGE아형 중에는 MAGE-1, -2, -3, -4, -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암항원인 CEA발현은 변화가 없었으며 SCC항원 유전자의 발현은 오히려 ADC처치에 의해 감소되었다. ADC 처치 후 24∼48 시간이 지난 뒤부터 암항원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ADC처리에 의해 유도된 유전자의 발현성은 ABC처치 후 최소 14일까지 유지되었다. 또 ADC를 0.2, 1, 5 uN 농도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0.2 uM농도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 5 uM농도에서 매우 강하게 유도되었다. ADC 처리가 페암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페암세포주에서 MHC 및 B7분자의 발현은 유도되지 않았다. 또 ADC농도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5 uM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알아본 결과 ADC 처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은 매우 감소하였다. 결론: 폐암세포주에서 ADC처치는 MAGE, GAGE 및 NY-ESO-1과 같은 세포독성 T 림프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ADC의 세포독성과 항원 발현 유발시간을 분석할 때 1 uM 농도에서 48시간 처치한 후 ADC가 없는 배지에서 수일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DC를 처치하여도 MHC 및 B7의 발현의 변화는 없었으므로 ADC를 처치한 폐암세포를 암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MHC나 B7 및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양한 사람 종양세포주에서 F-18-FDG의 섭취와 Hexokinase 활성 및 Glut-1 발현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18-FDG Uptake, Hexokinase Activity and Glut-1 Expression in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 김보광;정준기;이용진;최용운;정재민;이동수;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4-302
    • /
    • 2000
  • 목적: 종양세포에서 F-18-FDG 섭취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F-18-FDG 섭취와 포도당운반체-1 (Glut-1), hexokinase의 발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람의 대장암(SNU-C2A, SNU-C4, SNU-C5), 간암(SNU-387, SNU-423, SNU-449), 폐암(NCI-H522, NCI-H358, NCI-H1299), 자궁경부암(HeLa, HeLa 229, HeLa S3), 그리고 뇌암(A172, Hs 683)에서 기원한 암 세포주 $5{\times}10^5$ 세포를 24 well plate에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37 kBq의 F-18-FDG를 첨가한 후 각 세포의 섭취 정도를 감마 카운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exokinase의 활성은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디토콘드리아에서의 hexokinase 활성은 고속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을 분리하여 조사하였다. Glut-1의 발현은 면역조직염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종양세포의 종류에 따라 F-18-FDG 섭취, 전체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hexokinase 활성, 그리고 Glut-1의 발현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종양세포주에서 F-18-FDG 섭취와 세포전체, 세포내 미토콘드리아 hexokinase 활성과의 상관관계(각각 r=0.27, r=0.26)는 낮게 나타났으며, Glut-1의 발현은 F-18-FDG의 섭취와 상관관계(p=0.81, p=0.0015)가 높았다. 대장암 세포주에서 F-18-FDG 섭취와 hexokinase 활성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보고를 토대로 대장암 세포주 결과를 제외했을 경우에 F-18-FDG의 섭취와 세포전체 그리고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에서의 hexokinase 활성과는 높은 상관관계(각각 r=0.81, p=0.0027, 그리고 r=0.81, p=0.0049)를 보였다. 결론: Glut-1이나 hexokinase 활성이 사람 종양 세포주에서 F-18-FDG의 섭취를 결정하는 주 요인이며, 종양세포의 종류에 따라 이들의 기여도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철쑥 추출물의 면역세포의 생육증진 및 세포독성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 이미경;최근표;류이하;이강윤;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6-42
    • /
    • 2004
  • 사철쑥 추출물은 정상폐세포인 HEL299 세포주에 $0.5\;g/{\el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0% 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mg/m{\ell}$ 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88%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서는 모든 추출물에서 $0.5\;mg/m{\ell}$의 농도 이상에서 65%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는, 에탄올 추출물이 87% 이상,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이 약 85% 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세포독성에 대한 암세포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ell}$에서 $1.0\;mg/m{\ell}$의 농도에서 1.5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B와 T 세포주의 생육촉진 실험 결과 배양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배양 5일째 $0.5\;mg/m{\ell}$의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 최고 1.2배 이상 증가, T-cell을 $1.2{\sim}1.5$배 이상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배양 6일째 에탄올 추출물이 IL-6를 $67\;pg/m{\ell},\;TNF-{\alpha}$를 물 추출물이 $68\;pg/m{\ell}$의 분비 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TNNC1 as a Novel Tumor Suppressor of Lung Adenocarcinoma

  • Kim, Suyeon;Kim, Jaewon;Jung, Yeonjoo;Jun, Yukyung;Jung, Yeonhwa;Lee, Hee-Young;Keum, Juhee;Park, Byung Jo;Lee, Jinseon;Kim, Jhingook;Lee, Sanghyuk;Kim, Jaesa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7호
    • /
    • pp.619-631
    • /
    • 2020
  • In this study, we describe a novel function of TNNC1 (Troponin C1, Slow Skeletal and Cardiac Type), a component of actin-bound troponin, as a tumor suppressor of lung adenocarcinoma (LUAD). First, the expression of TNNC1 was strongly down-regulated in cancer tissues compared to matched normal lung tissues, and down-regulation of TNNC1 was shown to be strongly correl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among LUAD patients. Interestingly, TNNC1 expression was enhanced by suppression of KRAS, and ectopic expression of TNNC1 in turn inhibited KRASG12D-mediated anchorage independent growth of NIH3T3 cells. Consistently, activation of KRAS pathway in LUAD patients was shown to be strongly correlated with down-regulation of TNNC1. In addition, ectopic expression of TNNC1 inhibited colony formation of multiple LUAD cell lines and induced DNA damage, cell cycle arrest and ultimately apoptosis. We further examined potential correlations between expression levels of TNNC1 and various clinical parameters and found that low-level express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vasiveness of the tumor. Indeed, RNA interference-mediated down-regulation of TNNC1 led to significant enhancement of invasiveness in vitro. Collectively, our data indicate that TNNC1 has a novel function as a tumor suppressor and is targeted for down-regulation by KRAS pathway during the carcinogenesis of LUAD.

전갈(全蝎)이 노화(老化)에 따른 2단계(段階) 발암화(發癌化)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uthus martensi Karsch on tumor promotion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ice)

  • 정인채;정지천;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1-257
    • /
    • 2000
  • To clarifiy the activating effects of Buthus martensi Karsch(BMK) on tumor promotion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ice was investigated. In vivo system, BMK was seen to gave an inhibitory activity on TPA-induced mouse ear edema. In addition, the BMK was proved to have antitumor-promoting activity in two-stage mouse skin carcinogenesis induced by DMBA and two-stage mouse lung carcinogenesis induced by 4-NQO as a initiator plus TPA and glycerol as a promoter. Moreover, BMK significantly exhibited an cytolytic effect in HepG2 cells and show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against Sarcoma-180 bearing mice by oral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MK could be effective in adjuvant chemotherapy for human cancer.

  • PDF

Screening for Inhibitor of c-myc Ex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Isolate No.2303

  • Chung, Ji-Hyung;Yeo, Ick-Hyun;Oh, Doo-Whan;Moon, Soon-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5호
    • /
    • pp.264-268
    • /
    • 1995
  • Sulforhodamine B(SRB) assay was performed on the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 line to screen soil microorganisms for production of anti-cancer agent. Among 4, 265 microorganisms, 45 isolates were selected for their cytotoxicity and tested for their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c-myc by RNA slot blot and Northern blot analysis resulting in selection of No.2303 isolate. This No.2303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by ISP classification and the chemotaxonomic analysis method. NO.2303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myc in Col0320 DM and A549 cell lines. The culture extract of No. 2303 also inhibited the progression of the cell cycle of Go in NIH 313 cells, implying that the extract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myc in NIH 313 c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