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Nodules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45초

말초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 MAGE 유전자 진단의 유용성 (The Utility of MAGE Gene Detection in Bronchial Washing Fluid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NSCLC)

  • 김수현;김호중;권오정;정만표;서지영;고원중;함초롬;남해성;엄상원;권용수;박성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15-21
    • /
    • 2008
  • 연구배경: 기관지 내시경으로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 경피적 폐생검이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흉 및 출혈 등의 합병증 및 접근성 등이 문제가 된다. 흑색종항원유전자(Melanoma Antigen Gene, MAGE)는 악성 흑색종에서 처음 발견된 20 종양 항원 및 유전자로서, 비소세포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에서 발현되며 정상 조직에서는 남성의 생식기 세포 및 태반에서만 발현된다. 본 연구는 기관지내시경으로 보이지 않았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양성 여부를 검사하여 폐암의 진단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개월간 삼성서울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내시경적 조직 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지 세척을 시행하여 MAGE A1-6 RT-nested PCR (iC&G Co, Daegu, Korea)검사와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폐생검 및 수술을 통한 병리학적인 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37명 중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21명(56.8%) 이었고(선암종 13/21, 편평상피세포암 8/21), 나머지 16명 (43.2%)은 폐결핵(5), 진균 감염(3), 기질화 폐렴(2) 및 유육종증,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과 선천성 낭종 등으로 진단되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세포학적인 검사의 양성률은 9.5% (2/21)에 불과하였으나, MAGE mRNA는 47.6% (10/21)에서 양성을 보여 양성 예측률이 71.4%였다. MAGE 양성률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선암종 30.8%, 편평상피세포암 75.0%, p>0.05). 양성 병변으로 진단된 16명의 MAGE 발현율은 25.0% (4/16)였다. 결론: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MAGE 검사는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고립성 폐결절에서 기존의 세포진검사에 비해 우수한 양성 예측률을 나타내어 폐암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질 및 간유리 병변에서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시행한 흉강경 폐절제술의 유용성 (Computed Tomography-guided Localization with a Hook-wire Followed by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for Small Intrapulmonary and Ground Glass Opacity Lesions)

  • 강필제;김용희;박승일;김동관;송재우;도경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24-629
    • /
    • 2009
  • 배경: 패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은 깊이나 크기에 따라서 조직학적 진단이 기존의 방법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서 흉강경을 통한 육안 확인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거나 경피 세침 흡인생검술이 부적절하였던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에서 수슬 전에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CT-guided localization with hook wire)을 시행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8년 3월까지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서 폐실질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을 보인 18명 환자(남자 13명, 나이 중앙값 56세)를 대상으로 수술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 위치의 정확도, 개흉술 전환 정도, 수술 시간, 수술 후 합병증, 폐병변의 조직학적 진단의 정확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18명의 환자가 18개의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에 대해 흉강경 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전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은 전례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으나, 흉강경 소견에서 wire가 이탈된 경우가 1예 있었다. 수술 전 CT에서 폐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3{\sim}15\;mm$)였고, 내장 흉막에서 폐병변까지 깊이의 중앙값은 5.5 mm ($1{\sim}30\;mm$)였다.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대기 시간의 중앙값은 34.5분($10{\sim}226$분)이었다. 폐병변에 대한 흉강경 폐절제술의 수술 시간은 43.5분($26{\sim}83$분)이었다.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2예에서 기흉이 발생하였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증상은 없었다. 폐병변의 절제 단면은 모든 경우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은 원발성 폐암 8예, 전이성 폐암 3예, 비특이적 염증성 소견 3예, 폐내 림프절 2예, 기타 2예 등이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을 하지 못한 경우는 얼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을 위하여 시행한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시행한 흉강경 폐절제술은, 낮은 합병증 발생률, 짧은 수술 시간 및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율을 보였다. 따라서 경피 세침 흡인생검술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거나 흉강경을 통한 육안 확인이 불가능한 폐실질 내의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을 조직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하여 위치를 선정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부가필터를 적용한 디지털 흉부단층합성검사에서 환자 체형에 따른 화질 평가와 선량감소 효과 (Effect of Patient Size on Image Quality and Dose Reduction after Added Filtration in Digital Chest Tomosynthesis)

  • 복근성;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30
    • /
    • 2018
  • 흉부 단층 합성검사(Chest Digital Tomosynthesis, DTS)시 환자 체형에 따른 0.3 mm 구리 필터의 적용 및 AEC의 감도 변화에 의한 유효선량감소 효과와 폐 결절 검출능력을 평가하여 선량 최적화 조건을 평가하고자 한다. 8개의 인공 결절을 인체 팬텀 폐 영역내에 삽입하고 0.3 mm 구리 필터 적용 유무, 감도 변화에 따라 팬텀의 DTS 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환자 체형에 따른 비교를 위해 팬텀 사이즈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small size에서는 결절이 삽입된 인체 팬텀을 단독으로 사용하였고 Average size에서는 한 개의 PMMA를, Large size에서는 두 개의 PMMA를 인체팬텀 후방에 밀착하여 위치시켰다. 유효선량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계산 되었고 영상의 화질평가를 위해서 CNR과 SNR 측정을 통한 정량 평가와 인공 결절 검출 수를 통한 검출민감도로 정성평가를 시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효 선량은 Small size일 때 $26{\mu}Sv$, Average size $70{\mu}Sv$, Large size $133{\mu}Sv$ 감소하였다. 유효선량은 0.3mm 구리 필터의 적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량적 화질 평가에서는 0.3mmCu필터 사용 시 CNR과 SNR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정성적 화질평가에서도 결절 검출 민감도는 팬텀 사이즈별 전체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DTS에서 0.3 mmCu필터의 사용은 폐 결절 검출에서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환자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험에서 Large size 그룹의 경우 유효선량 감소 정도가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실제 체형이 큰 환자의 경우 0.3 mm Cu필터 사용은 더 높은 유효선량 감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골수를 침윤하여 범혈구감소증을 나타낸 유육종증 1예 (A Case of Sarcoidosis with Pancytopenia as Resulting from Bone Marrow Involvement)

  • 박태선;김대영;박서진;김이랑;나수영;박진욱;오동욱;최준석;조정민;장유진;김원영;최창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560-564
    • /
    • 2009
  • Sarcoidosis is a granulomatous disease that can involve any organ, although it primarily involves the lungs, intrathoracic lymph nodes, skin, and eyes. We present a case of sarcoidosis with pancytopenia, resulting from bone marrow involvement. A 35-year-old man was admitted to hospital for chronic cough and blurred vision. On chest computed tomography, there were multiple pulmonary nodules and mediastinal lymph nodes enlargement. As the patient also showed pancytopenia, we performed a bone marrow biopsy, as well as a transbronchial lung biopsy. Both biopsies showed non-caseating granulomas. We diagnosed the patient with sarcoidosis with pulmonary, bone marrow, uvea, liver and spleen involvement. After oral steroid therapy, the patient's symptoms as well as his pancytopenia improved. We present this case to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bone marrow biopsy in cases of sarcoidosis with pancytopenia, as well the possibility of clinical improvement with steroid treatment.

양측성 중증 폐렴으로 인한 ARDS로 오진된 속립성 결핵 (A Case of Miliary Tuberculosis Mimicking ARDS due to Bilateral Severe Pneumonia)

  • 한군희;정복현;김영돈;황정원;홍현일;윤성규;김미혜;류대식;강길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109-113
    • /
    • 2005
  • 저자들은 중증 폐렴으로 인한 ARDS양상으로 내원한 임신 3개월의 속립성 결핵 환자를 경기관지 폐생검과 방사선 소견 및 임상양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속립성 결핵에 의한 ARDS로 확진할 수 있었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andemic Influenza A/H1N1 Viral Pneumonia without Co-Infection in Korea: Chest CT Findings

  • Son, Jun-Seong;Kim, Yee-Hyung;Lee, Young-Kyung;Park, So-Young;Choi, Cheon-Woong;Park, Myung-Jae;Yoo, Jee-Hong;Kang, Hong-Mo;Lee, Jong-Hoo;Park, Bo-Ra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397-404
    • /
    • 2011
  • Background: To evaluate chest CT findings of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without co-infection. Methods: Among 56 patients diagnos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chest CT was obtained in 22 between October 2009 and Februrary 2010. Since two patients were co-infected with bacteria, the other twenty were evaluated. Predominant parenchymal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consolidation, ground glass opacity (GGO), and mixed patterns. Distribution of parenchymal abnormalities was assessed. Results: Median age was 46.5 years. The CURB-65 score, which is the scoring system for severity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had a median of 1. Median duration of symptoms was 3 days. All had abnormal chest x-ray findings. The median number of days after the hospital visit that Chest CT was performed was 1. The reasons for chest CT performance were radiographic findings unusual for pneumonia (n=13) and unexplained dyspnea (n=7). GGO was the most predominant pattern on CT (n=13, 65.0%). Parenchymal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both lungs in 13 cases and were more extensive in the lower lung zone than the upper. Central and peripheral distributions were identified in ten and nine cases, respectively. One showed diffuse distribution. Peribronchial wall thickening was found in 16 cases. Centrilobular branching nodules (n=7), interlobular septal thickening (n=4), atelectasis (n=1), pleural effusion (n=5), enlarged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n=6 and n=7) were also noted. Conclusion: Patchy and bilateral GGO along bronchi with predominant involvement of lower lungs are the most common chest CT findings of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고립성 폐결절상을 보인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 1예 (A Case of Coccidioidomycosis Manifested as Solitary Pulmonary Nodule)

  • 양현숙;이재천;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손광현;심태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66-272
    • /
    • 1999
  •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 토착 지역인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 지역을 여행한 과거력이 있는 국내 거주 75세 여자 환자에서 무증상의 고립성 폐결절로 악성종양을 의심하여 폐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콕시디오이도마로 진단된 1예를 국내에서 처음 경험하였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대구지역 한 대학병원에서 비결핵 항산균의 미생물학적 분포 및 임상적 특성 (Microbiologic distribution and clinical feature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in the tertiary hospital in Daegu)

  • 홍경수;안준홍;최은영;진현정;신경철;정진홍;이관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71-79
    • /
    • 2015
  •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nontuberculosis mycobacterium (NTM) recovery rate in clinical cultures has increased within Korea. However, another study conducted by a secondary hospital within Daegu reported different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distribution and clinical features of NTM in Daegu.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1,672 respiratory specimens undergoing acid fast bacilli (AFB) culture from 6,685 subjects who visited Yeungnam University Respiratory Center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Results: Of the 11,672 specimens undergoing AFB culture, 1,310 specimens (11.2%) showed positive results. Of these specimens, NTM was recovered from 587 specimens, showing a recovery rate of 44.8%. Identification test for NTM was performed on 191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MAC) 123 (64.4%), M. abscessus 20 (10.5%), M. kansasii 12 (6.3%), and 33 other NTM germ strains. Of the 382 subjects with NTM, 167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NTM disease (43.7%), however virulence differed depending on NTM strain.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nodular bronchiectasis, the nodules, and finding consistent with cavity under imaging stud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riggering pulmonary NTM disease. AFB culture showing MAC and M. abscess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NTM polymerase chain reaction (NTM-PCR) was 88.6%. Conclusion: Results for NTM recovery rate within the Daegu area were similar to those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 can assume that NTM infection is increasing in our community, therefore AFB-positive subjects (1) should undergo NTM-PCR, (2) should have their culture results checked for differenti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TB) from NTM, and (3) undergo NTM identification test to confirm its type. Administration of treatment with the above results sh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 patients' prognosis.

형질 전환 기법을 이용한 인체 간암의 마우스 모델 제작 및 특성 규명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ransgenic Mouse Model of Human Liver Cancer)

  • 이종숙;이정웅;현병화;이철호;정규식;방남수;염영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45-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SV40 Tag을 마우스 albumin 유전자의 promoter/enhancer 조절 하에 발현하도록 설계된 재조합 유전자를 마우스 1세포기 수정란에 미세 주입하여 형질 전환마우스를 제작하고 이들의 인체 간암 모델로써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형질 전환이 확인된 총 11개체의 founder 생쥐들 중 4개체가 간암을 일으켰고, 두 개체는 신장암을, 한 개체는 피부 및 뇌에서 종양을 각각 일으켰다. 이들로부터 외래 유전자를 계대 유전하는 3가계를 얻었다(#1-2, #1-6, #1-11). 이들 가계의 자소들에서 8주령(#1-2, #1-6)혹은 10주령(#1-11)시부터 간암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었으며, #1-11 founder개체에서 폐로 암세포가 전이된 것 외에는 다른 조직에서의 형태학적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간암 발생은 조직학적 변화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즉, 출생에서 3주령까지는 간세포의 과량증식을 보이나 세포핵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4주령부터 7주령(#1-2, #1-6) 혹은 9주령(#1-11)까지는 diffuse liver cell dysplasia를 나타내지만 tumor nodule은 발견되지 않았고, 그 이후에는 liver dysplasia를 배경으로 간암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출한 간암 모델 마우스는 인체 간암과 일부 유사한 소견을 보였는바 인체 간암 기전 연구를 위한 유용한 동물 모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xperimental Pathogenesis of Pullorum Disease with the Local Isolate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Pullorum in Pullets in Bangladesh

  • Haider, M.G.;Chowdhury, E.H.;Khan, M.A.H.N.A.;Hossain, M.T.;Rahman, M.S.;Song, H.J.;Hossain, M.M.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0
    • /
    • 2009
  • 이 실험은 추백리의 병원성을 연구하고자 2006년 2월부터 12월까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S.) Pullorum 야외주를 분리한 후, 이를 건강한 닭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다음 임상증상, 여러 기관의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검색과 아울러 공격주의 재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S. Pullorum에 혈청학적으로 음성인 12주령의 100수의 암탉을 $A{\sim}E$까지 20수씩 5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sim}DS$. Pullorum을 $10^6\;CFU$, $10^7\;CFU$, $2{\times}10^7\;CFU$, $10^8\;CFU$로 각각 경구 감염시켰고, E는 비감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 방법으로는 부검, 조직병리학적 검사, Salmonella에 대한 세균 배양, 염색,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