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mbar Spine

검색결과 1,101건 처리시간 0.027초

지방우세 딕슨기법을 이용한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지방신호분율과 골밀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예비 연구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t Frac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Using the DIXON Method for Fat Dominant Tissue in Knee Joint MRI: A Preliminary Study)

  • 안성현;곽규성;박성훈;윤재성;박범희;김지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27-440
    • /
    • 2023
  • 목적 MRI Dixon method (이하 DIXON) 기법을 이용하여 슬관절 지방우세 골조직의 지방신호분율(fat signal fraction; 이하 FF)을 구하고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이하 BMD)와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슬관절 DIXON 영상을 촬영한 환자들 중 일 년 이내의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가 있는 환자 9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DIXON 영상에서 원위부 대퇴골 골간단(femur metaphyseal; 이하 Fm)과 근위부 경골 골간단(tibia metaphyseal; 이하 Tm)의 FF를 계산하였다. FF와 BMD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요추(lumbar spine; 이하 L), 대퇴경부(femoral neck; 이하 FN), 총대퇴골(femur total; 이하 FT)의 BMD 별로 나누고 FF에 대하여 Kruskal-Wallis H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군에서 TmFF와 FN-BMD 사이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6, p < 0.05). 여성 환자에서는 TmFF가 FN-BMD, FT-BMD 및 L-BMD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38, -0.28과 -0.27, p < 0.05). 남성 환자에서는 FmFF가 FN-BMD 및 FT-BMD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58과 r = -0.42, p < 0.05). 여성 환자들을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TmFF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남성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FmFF이 군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결론 슬관절 주변의 FF와 BMD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DIXON을 이용한 FF 측정이 BMD 스크리닝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시 99mTc-MDP 투여 전·후 측정값의 변화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t 99mTc-MDP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Bone Density Measurement using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강용길;원도연;정홍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3-48
    • /
    • 2017
  • 최근 동위원소를 이용한 뼈 스캔 (Bone Scan)검사 후 골밀도 (BMD; Bone Mineral Density)검사를 당일검사로 병행한 경우 이로 인한 골밀도 측정값에 오차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방사성의약품 표지화합물 투여 후 이중에너지 X선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값 변화에 대한 임상적 자료가 미비하여 핵의학 체내검사 후 당일 골다공증 검사의 측정값에 대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인 $^{99m}Tc-MDP$가 골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지 임상적 측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5.17{\pm}9.45$세로 실험 대상자 17명 중 대사성 질환과 골밀도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허리뼈 압박골절 및 몸쪽 넓적다리뼈 골절이 있는 자를 제외한 12명 중 정상 골밀도 T-scores>-1.0의 환자 6명을 대상으로 $^{99m}Tc-MDP$ 투여 전 후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허리뼈에서 전 후 각각 평균 $0.975{\pm}0.084g/cm^2$, $0.966{\pm}0.078g/cm^2$으로 $0.009g/cm^2$ 증가, 우측 몸쪽 넓적다리뼈에서는 전 후 각각 평균 $0.909{\pm}0.078g/cm^2$, $0.913{\pm}0.086g/cm^2$으로 $0.004g/cm^2$ 감소, 좌측 몸쪽 넓적다리뼈에서는 각각 평균 $0.887{\pm}0.099g/cm^2$, $0.881{\pm}0.103g/cm^2$으로 $0.007g/cm^2$의 증가를 보여 몸쪽 넓적다리뼈 보다 허리뼈에서 더 큰 골밀도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허리뼈와 몸쪽 넓적다리뼈 전체에서 전 후 변화 평균은 $0.0038{\pm}0.014g/cm^2$으로 골밀도 측정값에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두 실험간 전체 상관계수는 0.987으로 방사성동위원소 표지화합물인 $^{99m}Tc-MDP$ 투여가 골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140 keV의 감마선 에너지를 방출하는 테크네슘 표지화합물을 이용한 뼈 스캔검사 후 골밀도 측정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핵의학적 체내검사와 골다공증 검사를 당일로 검사함으로 인한 환자의 피폭을 고려한다면 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촬영 목적 부위와 주변 결정장기에 대한 피폭선량 평가: 선량 권고량 중심으로 (Evaluation of Radiation Exposure Dose for Examination Purposes other than the Critical Organ from Computed Tomography: A base on the Dose Reference Level (DRL))

  • 이서영;김경리;하혜경;임인철;이재승;박형후;곽병준;유윤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1-129
    • /
    • 2013
  • 최근 다중검출기 CT의 보편화 된 사용으로 환자의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이용해 촬영 목적 부위와 주변 결정장기에 대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생물학적 효과를 예측하여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CRP에서 권고한 표준안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인체 모형 표준 팬텀에 교정상수를 부여받은 OSD 선량계를 측정하고자 하는 좌 우 수정체, 갑상선, 촬영의 중심점, 생식선에 부착하여 각 검사 부위별 노출 조건과 동일한 상태에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모사하였다. OSL 선량계의 평균 교정상수는 $1.0058{\pm}0.0074$이었으며 검사 부위별 주변 결정장기의 등가선량은 좌 우측 수정체의 경우 직접 피폭이 약 50mGy로 최대였으며 간접 피폭되는 경우 0.24mGy, 원거리에서는 0.005mGy미만의 기준 준위 이하로 측정되었다. 갑상선의 경우 두부 검사에서 10.89mGy로 최대였으며 흉부에서 7.75mGy, 복부 및 요추부, 골반부에서는 기준 미만이었다. 생식선의 경우 골반검사에서 21.98mGy로 최대였으며 간접 피폭되는 검사에서 기준 준위 미만에서 6.92mGy까지 피폭되었다. CT 검사에서 DRL에 대한 저감화 방법은 국제기구에서 권고하고 있는 방사선 방어 원칙에 대한 정당한 해석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당성을 충족하여야 하며 환자의 피폭선량에 미치는 영향들을 체계화하고 조직의 불필요한 피폭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골밀도 변화와 관련 인자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after Pelv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 이순신;정태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9
  • 목적: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 부위인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에서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한 부위와 원격 부위의 골밀도 양상 및 골밀도 관련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면서 2002년 1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밀도 검사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중 96명을 대상으로 제 1 요추부위,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 전체 부위에서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각 평균치가 각 부위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환자군의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 체중, 체질량 지수(BMI), 방사선 치료 종료 후 골밀도 검사일까지의 경과 기간, 자궁강내 근접치료(ICR) 추가 유무, 여성 호르몬 치료(HRT) 여부에 따른 T-score와의 관계를 각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대의 각 부위별 T-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94, 제 4 요추부위가 -0.42, 대퇴골 경부 전체가 -0.53이었고 각 부위별 Z-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11, 제 4 요추부위가 -0.40, 대퇴골 경부 전체가 -0.48이었다. 제 4 요추부위 및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는 제 1 요추부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제4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세 미만의 연령군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각 부위별 T-score 모두에서 연령, ICR 여부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5), 체중, HRT 여부 변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체질량 지수에 대해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각 변수들이 각 부위별 T-score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 회귀 분석에서 연령은 제 1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으나(p<0.05) 제 4 요추부위와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체중은 각 부위 모두에서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ICR 여부 변수는 제 1 요추부위의 T-score와만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다(p<0.05). HRT 여부 변수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가 제 1 요추부위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각 부위 간의 의미있는 차이에 대해서 노화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하거나 포함된 부위에서 더 높은 T-score와 Z-score를 보인 점에서 그 중 방사선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치료 환자군의 골밀도 특성의 임상적인 의미에 대한 장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에 의한 골다공증의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응급센터를 내원한 대퇴골 골절 환자에서 골밀도와 생화학적 표지자들의 의의 (Bone Mineral B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 이경미;한승백;김준식;백광제;홍성빈;문경호;강준순;윤승환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8권2호
    • /
    • pp.87-93
    • /
    • 2005
  • Background: The most frequent fracture see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in the elderly is a femur fracture whereas they do not know the degree of osteoporosis. We analyzed the degree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and compared patients with only femur fractures (FX) to patients with femur and vertebral fractures (VX) by examining the clinical feature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4, we enrolled prospectively 30 femur fracture patients who visited the ED. The bone mineral densities of the lumbar spine and the femur were examined. Total calcium, phosphate,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and serum C-terminal telopeptide (s-CTx) were measured. The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ertebral fracture. Results: All BMDs of the FX group showed osteoporosis. The s-CTx levels were higher than normal. The patients in the FX with VX were older than those in the FX only group, and had lower BM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kers between the subgroups, but the incidence of trochanteric fractures was higher in FX with VX group than in the FX only group. Conclusion: Femur fractures in the elderly were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our study, despite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BMD betwee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and those with femur fractures combined with vertebral fractur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chemical markers on bone formation nor in the those of bone resorption. We will further investigate the biochemical markers and BMD in the popula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So those indicators should be helpful for planning treatment and for prevention of FX in the elderly.

한양방 통합 치료로 통증감소 및 전이 림프절 축소가 관찰된 4기 신장암 환자 1례 (Case of Stage IV Renal Cancer Patient Whose Metastatic Lymph Node and Severe Back Pain Improved after Integrative Treatment)

  • 한창우;김도형;박승찬;조민경;김소연;홍진우;이인;박성하;권정남;최준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8-233
    • /
    • 2012
  • Two years ago, a 75-year-old female was diagnosed left renal cancer and went on radical nephrectomy. Recently, metastatized lesions on lumbar spine and various lymph nodes including paraaortic lymph node of which diameter was about 5.5 cm was identified. She suffered from extreme low back pain despite using opioid agents of fentanyl patch and oral oxycodone. During about one month, Korean medicine therpies including herbal medicine(Yang-He tang), acupuncture with her conventional medications were co-administered. However her pain didn't improved and gradual cough and dyspnea developed. So she transferred to the hemato-oncology part for 2 weeks under the diagnosis of everolimus-induced noninfectious pneumonitis. After quitting everolimus her pneumonitis was improved and she came back our ward and started another herbal medicine, Ai-Tong-Ning tang for about 2 months. During this period, her pain was well managed without oral opioid agents and her paraaortic lymph node was regressed to about 2.2cm in diameter.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와 관련요인 분석 - 한방재활의학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and the Related Factors - Especially in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

  • 조현우;황의형;신병철;설재욱;홍진우;신상우;이현엽;허광호;신미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in the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related factors. Methods : All the students in the graduating class of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must be trained for 2 weeks in the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according to clinical training guideline includi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OSCE) an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After completing clinical training, we distributed questionaries to them about a reflex of the object of study, usefulness, difficulty,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then, we analyzed the related factor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y SPSS 18.0. Results : In general, a reflex of the aim of study($7.88{\pm}1.31$), satisfaction with contents($8.17{\pm}1.20$) and difficulty($5.53{\pm}0.99$)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e better a reflex of the aim of study is,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contents is(P<0.01, r=0.836). Chuna was highly estimated, whereas pharmacopuncture was not. In OSCE, a reflex of the aim of study($8.07{\pm}1.07$) and usefulness($8.13{\pm}1.16$) were highly evaluated. The preference for physical examination of the lumbar spine was highly estimated, whereas applying splint was not. Facilities and equipment($7.88{\pm}1.11$), contents of clinical training($7.25{\pm}1.79$), the handout($7.00{\pm}1.59$) and time scheduling($5.48{\pm}1.71$) were evaluated respectively in general composition of clinical training. There is no difference related to specialty, sex and age among students. Conclusions : Clinical training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an be highly estimated from the viewpoint of difficulty and satisfaction.

한국인 폐경기 여성에서 콩 단백질 섭취량과 골밀도의 연관성 (Soy Protein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arly Postmenopausal Korean Women)

  • 김영란;남해성;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711-4716
    • /
    • 2012
  • 본 연구는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자궁절제술을 하지 않은 폐경 후 12년 미만의 폐경기 여성 686명을 대상으로 콩 단백질 섭취량과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을 골 소실이 상대적으로 빠른 폐경 후 4년 미만 기간에 있는 여성군과 폐경후 4년 이상인 여성군으로 층화하여 각각 콩 단백질 섭취량과 골밀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령, 체중, 신장, 칼슘 섭취량 등을 보정하였을 때 폐경 후 4년 미만인 여성군에서는 콩 단백질 섭취량과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반면 동일한 보정을 하였을 때 폐경 후 4년 이상인 여성에서는 콩 단백질 섭취와 대퇴골(femoral neck, total hip 부위) 골밀도 사이에는 역방향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나, 총단백질 섭취량, Na섭취량, 에너지섭취량을 추가 보정한 결과 그 연관성이 사라졌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폐경기 여성에서 콩 단백질 섭취와 골밀도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골밀도 검사시 측정도구에 따른 진단범위의 유효성 평가 (Estimation of Diagnostic Range for Measurement Tools, while BMD Testing to Health Examination in Transitional Ages)

  • 김남수;정경식;강은정;오정은;이병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85-39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골밀도 검사시 측정도구(DEXA, QUS, RA)에 따른 진단범위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DEXA를 이용한 골밀도 검사 결과 T-score -2.5를 기준으로 할 때 QUS의 cutoff 값은 -1.733이며, 이때 민감도는 70.4%, 특이도는 59.5%이었고 T-score -3.0을 기준으로 할 때 cutoff 값은 -2.323으로 이때 민감도는 70.4%, 특이도는 56.8%이었다. DEXA를 이용한 골밀도 검사 결과 T-score -2.5를 기준으로 할 때 RA의 cutoff 값은 -1.675이며, 이때 민감도는 70.0%, 특이도는 63.7%이었고 T-score -3.0을 기준으로 할 때 cutoff 값은 -2.325로 이때 민감도는 70.0%, 특이도는 42.9%로 QUS와 RA의 측정도구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밀도 측정도구의 상관관계와 재현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일부 차이를 제외하고는 측정도구 간 및 측정도구의 반복 측정값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OC 분석에서 측정도구별 평균골밀도 측정결과는 DEXA를 기준으로 할 때 RA와 QUS는 모두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생애전환기 골다공증 진단에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성별이나 연령층, 다양한 측정부위별 정량화된 결과를 진단기준의 보정지표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Airway Obstruction and Emphysema

  • Sim, Yun-Su;Lee, Jin-Hwa;Kim, Yoo-Kyung;Chang, Jung-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3호
    • /
    • pp.310-317
    • /
    • 2012
  • Background: Airway obstruction and the extent of emphysema are reported to be responsible for reduced bone mineral density (BMD). Corresponding to different phenotypes of a pulmonary disease, different severity in extra pulmonary features may exist. We compared BMDs of subjects with or without airway obstruction and/or emphysema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BMD, the severity of airway obstruction, and the extent of emphysema. Methods: Using a university hospital database, we reviewed patients over 40 years old who performed spirometry, computed tomography of chest, and measurement of BMD of the lumbar (L) spi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irway obstruction and/or emphysema, four groups were classified. Results: Among a total of 59 subjects, 33 (56%) had osteoporosi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subjects with no airway obstruction and no emphysema, those with only emphysema, those with only airway obstruction, and those with both airway obstruction and emphysema were 42%, 57%, 64%, and 73%, respectively (p=0.047 by linear-by-linear association). The mean T-scores of BMD of L1 (p=0.032) and L1-4 spines were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p=0.034). Although the T-score of L1 BM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of emphysema (r=-0.275, p=0.035) and positively with each of body mass index (BMI) (r=0.520, p<0.00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 (r=0.330, p=0.011), $FEV_1$/forced vital capacity (r=0.409, p=0.001), and forced expiratory flow at 25~75% of FVC ($FEF_{25-75%}$) (r=0.438, p=0.0001), res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BMI (p<0.001) and $FEF_{25-75%}$ were predictive of BMD (p=0.012). Conclusion: Low BMI and airway obstruction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reduced bone density rather than the extent of emphys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