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vision rehabilit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Barriers to Low Vision Services and Challenges Faced by The Providers in Pakistan

  • Javed, Momina;Afghani, Tayyab;Zafar, Kunza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99-408
    • /
    • 2015
  • Objective. There were two objectives of the study, first was to identify the barriers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providers to access the low vision services and second was to identify the challenges faced by the main providers. Study design.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interviews of patients and providers Methodology. To find out the barriers to access of low vision services, the interviews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two patient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97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low vision services at Al-Shifa Trust Eye Hospital Rawalpindi while the second group included 56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ttending the four rehabilitation centers/schools for the blind in Rawalpindi/Islamabad. To identify the barriers as perceived by the main providers of low vision services and challenges faced by them the interviews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19 low vision service providers. Results. From patients point of view, major barrier to low vision services identified was inability to visit hospital /rehabilitation center alone - 29.8% in hospital group and 33.9% in rehabilitation centers group, while the lack of social support, lack of family support, cost of travelling, long distance, afford ability, hesitation in using devices and lack of satisfaction were other important barriers identified. From providers' point of view, major barrier to uptake of services was the need for repeated follow-ups. Optometrists were the main provider of low vision services contributing to 47.4% of the providers. The major challenge faced by the providers was motivation of patients to use low vision devices. Conclusion. The major barrier to low vis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patients is inability to visit the hospital alone, while according to providers, it is the need for repeated follow up which proves major barrier towards uptake of services. The motivation is the major challenge faced by providers, majority of which are optometrists.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 유연환;박지혁;정민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51-6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기능상태와 요구되는 요양서비스 유형 분석 (Functional Status and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Community-Dwelling Low-Income Elderly)

  • 전은영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2-10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unctional status and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community-dwelling low-income elderly. Metho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was obtained using Minimum Data Set-Home Care Version 2.0 and the long-term care services were identified via Michigan's choice. Total of 154 persons aged 65 years or older completed Korean Minimum Data Set-Home Care Version 2.0 on the community dwelling low-income elderly. Results: The averag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4.19, and the range was 0-55, while the average of Instru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4.85 and the range was 0-56. Among the subjects, 46.1% belonged to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group and 1.3% to the Nursing Home group. Severe daily pain was reported by 14.9%, and 76.6% of the participants had impaired visi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difference according to living with, education, vision, and depression. The long-term care servic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pain, vision, hearing, and depression. Conclusion: The support policy for the elderly needed to focus on impaired visual and depression to enhanc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group to arrange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resources.

  • PDF

스테레오비전 센서의 3D 궤적 정보를 이용한 상지 재활 동작 인식 (Recognition of Physical Rehabilitation on the Upper Limb Function using 3D Trajectory Information from the Stereo Vision Sensor)

  • 권기현;이형봉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13-119
    • /
    • 2013
  • 뇌졸중 및 척수 신경 손상으로 인해 재활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다. 재활 영역 중에서도 상지(上肢) 재활은 신경의 복잡도로 인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재활은 전문치료사가 시설에서 작업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나, 접근성, 상시성, 자발성 등에 대한 문제와 함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지 재활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스테레오 비전 센서를 통해 취득한 3D 궤적정보에 대해 PCA, ICA, LDA, SVM의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을 구하고, 여러 패턴인식 알고리즘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인식정확도 및 실행시간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제시한다. 실험결과, PCA, ICA는 인식정확도가 낮아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며 LDA, SVM은 인식정확도가 우수하여 상지 재활 동작 인식에 사용이 적합함을 보인다.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n Korea)

  • 이익섭;박수경;곽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149-176
    • /
    • 2003
  • 최근 장애를 정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면서 장애인복지정책에 있어 사회통합의 비중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복지전달체계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동권의 제약이 심하여 지역사회통합의 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날 수 있는 전국의 시각장애인 1,004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통합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통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일상생활의 제약정도,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 재활서비스 활용정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시력 장애인과 전맹 장애인의 경우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제약과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의 정서적 지지가 지역사회통합정도에 영양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전맹 장애인은 의사소통 교육여부가, 저시력 장애인은 정보적 지원이나 재활서비스 활용수준이 지역사회통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학령기 이후 실명된 경우 학령전에 실명된 경우보다 일상생활에 제약받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이후 장애인의 경우 정서적, 정보적 지원, 의사 교육 참가여부, 재활서비스 활용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실명시기가 늦은 경우 여러 가지 사회적 지지나 교육, 재활서비스를 통한 지원이 지역사회에 영양을 미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정도별, 장애발생 시기별로 구분된 특화된 서비스와 정책적인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 PDF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ptical Aids by the aged with Low Vision)

  • 염동문;심미영;정상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13-219
    • /
    • 2014
  • 본 연구는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2차년도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에서 시력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만 65세 이상의 노인 384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Andersen-Newman의 서비스 이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높고 미취업상태에서, 가능성 요인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시력보조기구 사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Effects of Low Visual Acuity Simulations on Eye-Hand Coordination and Brainwaves in Healthy Adults

  • Woo, Hee-Soon;Song, Chiang-So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3호
    • /
    • pp.296-303
    • /
    • 2022
  • Objective: In general, macular degeneration, cataracts and glaucoma generally cause visual injury in clinical setting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visual acuity simulations on hand manual dexterity function and brainwaves in healthy young adult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design Methods: This study was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Seventy healthy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 visual acuity simulations on hand function and brain waves, this study involved four different visual conditions including (1) normal vision, (2) simulated cataracts, (3) simulated glaucoma, and (4) simulated macular degeneration. The hand function was measured to use the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MMDT), and the brainwaves was also measured to use the electroencephalography. Results: In hand function, placing and turning performance on the MMDT in the normal visual con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in the cataract and macular degeneration conditions (p<0.05), and the plac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red in the normal condition than that in the simulated glaucoma. However, tu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ormal condition than that in the simulated glaucoma. The alpha, beta, and gamma wav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four visual conditions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limited visual information negatively affects the ability to perform tasks requiring arm-hand dexterity and eye-hand coordination.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low visual acuity on the brainwaves should be further studied for rehabilitative evidence of visual impairment.

개방 플랫폼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s for Open Platforms)

  • 문현주;민홍기;김석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KS, 미국의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유럽의 BBC 지침을 기준으로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앱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나라 8개 시중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 중 상기 3가지 표준의 세부 항목을 모두 만족하는 앱은 한 곳도 없었다. 대표적인 위반 항목은 대체 텍스트 미비, 키보드 초점 위반, 컨트롤 크기 및 간격 미준수, 명도대비 비율 낮음 등이었다. 이들 위반사례는 시각장애인, 상지장애인 및 저시력인과 고령자의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치명적인 오류이다. 모바일 뱅킹 앱이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 원인에 있어서는 모바일 앱 개발자와 제공자들의 접근성에 관한 인식이 낮고 접근성 구현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을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BBC 표준과 비교한 결과, 많은 항목이 누락되어 있었다. 또한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개발자들이 구체적으로 참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발자 및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표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의 오픈코스웨어(OCW) 사용성 평가 - KOCW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 (Usability Testing of OpenCourseWare(OCW) by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 Focused on the Accessibility of KOCW -)

  • 손지영;염명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7-1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OCW 강좌가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들이 인식하기에 접근성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시각장애 6명(전맹 3, 저시력 3), 청각장애 4명(농 2명, 난청 2명) 총 10명의 시각, 청각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이 국내 KOCW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두 가지 유형의 강좌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시각, 청각장애 학생들이 인식하게 두 유형의 강좌 모두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의 사용성과 접근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시각, 청각장애인을 위해 OCW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기초보강공법의 국내 적용 사례 (Case History: Micropiling for Existing Foundation Retrofits)

  • 이정훈;최창호;조삼덕;이기환;조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359-365
    • /
    • 2008
  • As housing supply ratio has become over 100%, the strategic vision of government's policies has been changed from new construction to maintenance and regeneration of old architectural-structures. This fact has brought a light on the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industries and a need for retrofit and rehabilitation techniques of existing foundation. Various methods of foundation for architectural-structures do exist. Among them, micropiling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applied in foundation rehabilitation and seismic retrofitting projects. Micropiling techniques provide environmental-friendly methods for minimizing disturbance to adjacent structures, ground, and the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is possible in restrictive area and general ground conditions. The fact that the installation procedures cause minimal vibration and noise and require very low ceiling height makes the micropiling methods to be commonly used for underpin existing structures. Specialized drilling equipment is often required to install the micropiles for existing basement facilities.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in which micropiles were constructed to support a superstructure for vertical extension of existing elevator core and provide accessibility to underground parking lot. It is intended to become useful reference for the similar remodeling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