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Achievement Student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6초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전략 (Student's Motivation and Strategy in Learning Science)

  • 전경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5-423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tercorrelations among various motivational patterns and learning strateg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strategy usage in term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level, gender, and grade. A questionnaire on achievement goal, self-efficacy, self-concept of ability, expectancy, value, causal attribu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was administered to 360 junior high/high school students (178 males, 182 females). Students who adopted performance-oriented goal tended not to be task oriented. Task-oriented students ha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high self-concept of ability, and expectancies for future performance in science. They also valued science and attributed thier failures to the lack of effort. However, performance-oriented students evaluated their ability negatively, did not value science, and attributed thier failures to uncontrollable causes. With respect to learning strategy, task-oriented students tended to use deep-level strategy, whereas performance-oriented students tended to use surface-level strategy and not to use deep-level strategy. High-achieving students, boy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task-oriented, evaluated their ability more positively, and valued science more than low-achieving students, girls,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High-achieving students and boys also used deep-level strategy more than each of their counterpar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rategy was found betwee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PDF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적 접근 (A Narrative Study within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 이봉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이 학업에 대한 내적 자기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파악해 보고자 함이다.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내면적 사고의 흐름을 추적해보고자 하였으며,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Burke의 내러티브 분서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습 환경이 변화되는 시점인 대학입학 전 후를 기점으로 자아의 변화과정을 4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만들어진 우수한 아이', '우수한 아이 코스프레', '부족한 자아와의 만남', '독립된 실체와의 만남'. 위의 4가지 주제는 학사경고라는 사건을 극복해 가고자 하는 인간내면에 존재하는 강인한 독립적 탄성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대학차원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내면적 자기 동기화 능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소프트적인 내용과 기존의 학습지원방법이 병행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ademic Ability

  • Chae, Hong Chul;Lee, Seong 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81-96
    • /
    • 2022
  •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12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t K Univers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ways to improve academic ability. Male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grade points management than female students before completing their military service. Students with high self-assessed academic ability score higher than students with low self-assessed academic ability. As long as students don't spend too much time, a student's part-time job is not an obstacle to their study. Compared to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students from Gangwon and other region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some pre-classes to understand regular university lectures. In undergraduate education, a student's major aptitude is not a big problem. In order to change major, students need counseling about their major's aptitude only at the beginning semester. In order to get good grades, the achievement of the will to study is more important than the will to study itself. Profess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after class and always assure students sincerity in their studies through the counseling process.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 신동희;노국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6-92
    • /
    • 2002
  • OECD에서 주관한 국제 비교 연구인 PISA는 만 15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평가하는 최초의 국제비교 연구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35개의 PISA 과학문항에 대한 정답율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첫째, 과학의 적용 영역별로 살펴보면, 과학 기술, 생명 건강 과학, 지구 환경 과학 순으로 성취도가 높았고, 이 세 영역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다. 둘째, 과학 지식보다는 과학 탐구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으며, 특히 과학 지식 문항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 결과를 보였다. 한편, 여학생들은 과학 탐구 문항에서 남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 결과를 보였다. 셋째, 상황별로 살펴보면, 역사적 상황에서 가장 높은 성취 결과를 보였고 개인적 상황에서 가장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지역 공동체 및 지구적 상황의 문항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결과를 보인 반면, 개인적 상황의 문항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다소 높은 성취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문항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서술형보다는 선택형 문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 결과가 나타났고, 선다형과 진위형을 포함한 선택형 문항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 결과를 보였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은 생명 공학과 환경에 관련된 문항에서 낮은 성취 결과가 나타났고, 특히 여학생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전반적으로 모든 측면에서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지만, 과학 탐구 문항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에 의미 있는 성취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긴 문장의 서술이 필요한 문항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PISA 2015 과학 영역에 나타난 학생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 및 영향력 분석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ntextual variable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2015 science domain)

  • 구자옥;구남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65-18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의 과학 영역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 집단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과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PISA 2015는 과학이 주영역이었기 때문에 과학 영역과 관련된 교수 학습 변인 및 정의적 특성 관련 변인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환경, 교사의 피드백 등과 같은 교수 학습 특성은 과학 교과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특성을 매개로 과학 성취에도 간접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와 맞춤식 수업 등의 교수 방법은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의 정의적 특성향상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취수준 집단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집단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교수 학습 환경과 전략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물리 학업 성취도에 따른 예상의 확인 결과가 고등학생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esults of Ascertaining Predi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by Physics Achievement)

  • 최혁준;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2-389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이 제시된 상황에 대해 자신의 예상이 옳은지 또는 틀린지를 확인하였을 때, 예상의 확인 결과가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물리 학업 성취도에 따라 예상의 확인 결과가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186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무중력 상태에 관한 두 문항의 사전개념 검사문항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그 중 한 문항에 대해서만 시범실험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예상한 답이 옳았는지 틀렸는지를 확인하게 하고, 인지갈등 정도를 측정하였다. 간단한 수업 처치 후, 사후개념을 검사하여 개념변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예상이 틀렸다는 것을 확인한 학생들이 자신의 예상이 옳았다는 것을 확인한 학생들에 비해 인지갈등과 개념변화가 유의미하게 더 많이 일어났다.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경우에는 예상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경우에는 예상의 확인 결과가 틀렸을 때가 예상의 확인 결과가 옳았을 때보다 인지갈등 점수와 사후개념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즉, 예상의 확인 결과는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경우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경우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 과목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 및 관련 성취기준 위계성 분석 (Hierarchy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and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for Traditional Astronomy in the History of Science Subject)

  • 이종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9-6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중 하나인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이 낮은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사 과목의 한국의 전통 과학 단원에서 다루는 전통 천문의기 9종과 관련한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내용의 적합성과 위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년군을 달리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각각의 천문의기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출발점으로 하여, 전통 천문의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성취기준 또는 탐구 활동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한국의 전통 과학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시험 결과의 분석 (Analysis of Test Result at Secondary Science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 김지영;김수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12-823
    • /
    • 2009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과학 시험 결과를 분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실시되었다.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시험 문항을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Fusion Model을 이용하여 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문항별로 학생들이 문항을 풀기 위해 숙달해야 할 속성을 판별하여 Q 행렬을 작성한 후 분석을 실시하여 속성에 대한 문항 모수의 수렴을 확인하고 학생 전체와 성별,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평가가 학생들의 성취도 총점만을 제공하는 반면 인지 진단 이론은 평가에서 측정된 과학적 속성의 숙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회상하기의 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회상하기, 정보 해석하기, 계산하기 설명하기, 종합하기의 5개 속성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숙달한 속성은 정보 해석하기였으며 가장 적게 숙달한 속성은 종합하기였다. 분석 결과 얻어진 프로파일은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이 결과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 Jang-Rak Kim;Young-A Ji;Mi-Ji Kim;Jong Ryeal Hahm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70-7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behaviors can predict medic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specifically in terms of successfully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or achieving a high grade point average (GPA) in their final year. In May 2018, 316 medical students took the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 2nd edition, which provided data on their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ir final year's GPA and any delays in completing medical school were ascertained by reviewing all electronic academic records of each semester they had been enrolled. The combination of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even after adjusting for sex and admission path.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djusted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completing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were 1.5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3-2.78) and 3.64 (95% CI, 1.70-7.82) for "others" and "both high" categories,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both low" category. For 235 students who completed medical school without delays, their learn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final year's GPA even after adjusting for sex, admission path,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cores) as determined by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personality and learn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re predictors of medic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terventions such as personalized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such student characteristics.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안주송;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61-7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for the emphasis on the revision, major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agreed to the increase in class hours and the application of subject classroom, but they had a lower recognition for setting the subject groups. Second, the degree of necessity in discussion and ST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science writing, discussion and STEAM was low. Thir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 high performance for mutual cooperation, student-l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open inquiry and instruction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they showed a high implementation for evaluation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asic concepts,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evaluation tools. Fifth, it seemed that their recognition for amount, level and interest of scienc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as appropriate and pos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