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sizing techniqu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다단계 생산시스템에서의 로트크기 결정방법 (A Lot Sizing Model for Multi-Stage MRP Systems)

  • 이호일;김만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6
    • /
    • 1990
  • A lot-sizing model for multi-stage MRP systems is proposed, in which known demands must be satisfied. In this model, an approach with considerations of initial inventory and limited production capacity is involved. Most of the studies on the lot-sizing techniques for multi-stage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s have been focused upon two basic approaches. One approach is to develope an algorithm yielding an optimal solution. Due to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sensitivity of the optim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lot sizing, heuristic approaches are often employed. In this paper, the heuristic approach is used by sequential application of a single-stage algorithm with a set of modified cost by the concept of multi-echelon costs.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an lot-sizing method(Florian-Klein Model) to prove its effectiveness by numerical examples.

  • PDF

건설공사의 적정 Lot Size 결정에 의한 효율적인 재고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Inventory Management by Optimizing Lot Size in Building Construction)

  • 김상훈;김광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3-8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up the prope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it is important for construction company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to reduce construction cost. Lot-siz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rebar procurement in apart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thod of Groff's marginal cos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f other techniques and the method of Norman showed a similar result.

EOQ 기반 재고 모델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wo EOQ based Inventory Models)

  • 정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8-256
    • /
    • 2005
  • In this paper, we compare two EOQ based inventory models under total cost minimization and profit maximizatio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optimal solutions. First of all, optimal solutions for both models through geometric programming (GP) techniques are found considering production (lot sizing) as well as marketing (pricing) decisions.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changes in the optimal solutions according to varied parameters is performed by studying optimality conditions as well as by performing numerical analysis. We then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models to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ptimal solutions of the models where certain conditions in the cost per unit and the demand per unit time are given. Several interesting economic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nsights are observed from this analysis.

지역특성을 반영한 영농규모화사업의 발전방향-충남지역을 중심으로- (Policy Direction for The Farmland Sizing Suitable to Regional Trait)

  • 심재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83-121
    • /
    • 2004
  • 본 연구는 영농규모화에 대한 전개과정과 충남지역 쌀 생산기반을 검토하고 쌀 산업의 미래지향적 방향의 한 축을 이어갈 쌀 전업농의 영농규모화를 통한 그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 조사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충남지역이 쌀 생산은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 재배면적에서도 제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쌀에 대한 국제적 정세변화는 충남의 쌀 생산농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연성을 높여준다. 쌀 생산의 핵심이 되는 전업농가 수는 도내 전체농가의 7.7%를 차지하고 있고, 이들의 평균 경작면적은 2.9ha 이다. 이 면적은 규모화사업을 위해 지원된 자금이 크게 주효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2. 1980년대 후반부터 2002년까지 추진된 충남지역 영농규모화사업은 충남지역에 쌀 전업농가의 경영규모를 19,484ha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매매사업이 이루어진 농가 수는 6,431농가에 1,6517ha가 매매되었으며, 장기임대차사업은 같은 기간동안 7,059농가에 면적은 6,970ha에 이르렀다. 다만 농지교환분합사업은 210ha에 1,864농가가 참여하였는데 이처럼 농지교환.분합사업이 활발하지 못한 것은 은퇴자들이 영농에 넓은 면적을 요망하지 않아 구태여 규모화사업에 응하지 않더라도 생활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교환과 분합작업에 따른 복잡성 등, 일반 사회적 여건도 농지의 교환분합사업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3. 영농규모화사업을 촉진하기 위해서 제안된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1) 재촌탈농자 및 고령 은퇴자를 위한 전직 프로그램 및 사회보장프로그램을 수립하고 농지매매 촉진을 위한 각종 인센티브제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2) 효율적인 쌀 생산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생산비를 낮추는 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쌀 생산기술과 경영적 능력을 갖춘 생산조직이 육성되어야 하며 시설의 적정배치 및 정보화가 완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영농시스템 구축에 바탕을 둔 지역종합의 다양한 구조개선도 병행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3) 경영규모를 확대,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별경영규모를 확대하거나 집단규모를 활용한 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을 종합하면 충남의 영농규모화사업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이 사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수되는 제반 문제점을 적절히 해결해 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쌀 전업농에 대한 적절한 지원 및 탈농자 및 은퇴자에 대한 종합대책수립은 충남의 영농규모화사업을 완수하는데 반드시 선결되어야할 사항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