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Trajector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Learning motivation of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y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or South Korean students

  • Yongseok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9-150
    • /
    • 2024
  • This study utilized South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data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learning motivation types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Growth mixture modeling, latent growth model, and multiple indicator latent growth model were used to examine various change trajectories for longitudinal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4 sub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subject, which emphasize systematicity, appeared. Furthermore, higher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higher academic motivation. And as the grade level increases, amotivation increases and self-determination decrea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using this is necessary because the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self-determin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Lung Function Trajectory Types in Never-Smoking Adults With Asthma: Clinical Features and Inflammatory Patterns

  • Kim, Joo-Hee;Chang, Hun Soo;Shin, Seung Woo;Baek, Dong Gyu;Son, Ji-Hye;Park, Choon-Sik;Park, Jong-Sook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614-627
    • /
    • 2018
  • Purpose: Asthma is a heterogeneous disease that responds to medications to varying degrees. Cluster analyses have identified several phenotypes and variables related to fixed airway obstruction; however, few longitudinal studies of lung function have been performed on adult asthmatics. We investigated clinical, demographic, and inflammatory factors related to persistent airflow limitation based on lung function trajectories over 1 year. Methods: Serial post-bronchodilator forced expiratory volume (FEV) 1% values were obtained from 1,679 asthmatics who were followed up every 3 months for 1 year. First,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Ward's method to generate a dendrogram for the optimum number of clusters using the complete post-FEV1 sets from 448 subjects. Then, a trajectory cluster analysis of serial post-FEV1 sets was performed using the k-means clustering for the longitudinal data trajectory method. Next, trajectory clustering for the serial post-FEV1 sets of a total of 1,679 asthmatics was performed after imputation of missing post-FEV1 values using regression methods. Results: Trajectories 1 and 2 were associated with normal lung function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rajectory 3 was associated with a reversal to normal of the moderately decreased baseline FEV1 within 3 months. Trajectories 4 and 5 were associated with severe asthma with a marked reduction in baseline FEV1. However, the FEV1 associated with trajectory 4 was increased at 3 months, whereas the FEV1 associated with trajectory 5 was persistently disturbed over 1 year. Compared with trajectory 4, trajectory 5 was associated with older asthmatics with less atopy, a lower immunoglobulin E (IgE) level, sputum neutrophilia and higher dosages of oral steroids. In contrast, trajectory 4 was associated with higher sputum and blood eosinophil counts and more frequent exacerbations. Conclusions: Trajectory clustering analysis of FEV1 identified 5 distinct types, representing well-preserved to severely decreased FEV1. Persistent airflow obstruction may be related to non-atopy, a low IgE level, and older age accompanied by neutrophilic inflammation and low baseline FEV1 levels.

터널 굴진면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에 따른 단층 자세 분석 (Analysis of Fault Attitudes by Using Trajectories of the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on Tunnel Face)

  • 윤현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26권3호
    • /
    • pp.393-4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단층이 출현하기 직전의 굴진면에서 발생한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의 출현 위치를 예측하였다. 해석에는 총 28개의 단층 자세 모델이 이용되었다. 순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굴진면의 상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최대 수평변위가 굴진면 중앙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역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굴진면의 하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굴착에 따라 굴진면의 중앙부 또는 중앙 상부에서 하부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방향은 순경사 모델의 경우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상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며, 역경사 모델은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하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최대 수평변위는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굴착에 따른 굴진면의 수평변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굴진면 전방에 분포하는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빈곤궤적과 우울궤적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Trajectories)

  • 김명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17-635
    • /
    • 2017
  • 본 연구는 노년기 빈곤과 우울의 종단적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장기간의 두 변화 유형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노년기의 빈곤과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부터 9차년도(2014)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한 예비노인 세대부터 후기 노인 세대까지의 4,431명을 대상으로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과 이중변화형태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 변화궤적은 '비빈곤형', '빈곤감소형', '빈곤증가형', '빈곤 고수준 지속형', '만성빈곤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우울의 변화궤적은 '안정형', '우울 저수준 유지형', '우울 위험 경계형', '우울 고수준 유지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빈곤과 우울의 장기적 변화상태를 동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빈곤과 우울의 만성화 및 위험이 높은 집단에서 빈곤과 우울의 복합적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빈곤과 우울의 종단적 연관성을 밝히고, 노년기 빈곤과 우울 예방 및 개입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비행행동의 발달궤적 및 영향요인 (Patterns of Delinquent Behavior Trajectory and Their Effect Factors)

  • 김세원;이봉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3-117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patterns of delinquent behavior trajectory from lat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and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patterns of trajectory and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Youth delinquent behavior trajectories were examined by mixed growth models using data from the 2nd to 5th year surveys of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Relationships between patterns and effect factors were examined by multinominal logit models. Four patterns emerged: non-delinquency (80%); rapidly accelerating delinquency (3.3%); decelerating delinquency (6.0%); and moderately accelerating (10.7%) groups. Contacts with a delinquent peer group had persistent effects on more serious delinquent behavior trajectories. In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school achievement prevented increase in delinquent behaviors; clos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arental supervision caused decrease in delinquent behaviors.

  • PDF

전투기 외부 연료 탱크의 종방향 정안정성 및 투하 궤적 해석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Static Stability and the Drop Trajectory of a Fighter Aircraft's External Fuel Tank)

  • 강치행;조환기;장영일;이상현;김광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4-27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원 형상에 비해 20% 축소 설계된 수평 핀을 부착한 전투기의 외부 연료 탱크의 정적인 세로 안정성을 해석하고 투하궤적을 분석하였다. 얇은 에어포일의 공력 자료를 이용하여 연료 탱크의 정적 피칭 안정성을 해석한 결과는 풍동 실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연료탱크의 6자유도 운동방정식에 대한 수치적인 모사에서 얻은 낙하 궤적을 실제 모델의 투하 실험 궤적과 비교 분석한 결과 투하 시 항공기의 자세가 연료 탱크의 수직 이동 궤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수평 이동 궤적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론 해석 및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해 재설계 핀을 부착한 외부 연료 탱크를 비행 중 항공기로 부터 분리할 때 비행운용 규범을 기준으로 수행한다면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관규칙을 이용한 잠재성장모형의 개선방법론 (A Methodology for Improving fitness of the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 조영빈;전재훈;최병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17-225
    • /
    • 2019
  • 대표적인 종단자료 분석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은 무조건적 모형과 조건적 모형으로 구분한다. 잠재성장모형의 무조건적 모형 성장궤적은 선형으로 가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선형 성장궤적으로 가정하여 모형 적합도가 미달하는 경우 연관규칙기법을 이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제고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방법론은 연관규칙 마이닝의 순차패턴(Sequential Pattern)을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종단자료를 분위별로 나누고, 각 분위에 속한 종단자료의 기간 변화를 산출한 뒤 이를 순차 패턴 화하였다. SPSS AMOS를 이용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01년부터 6년간 조사한 청년 패널 자료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단순선형함수를 가정할 때와 비교하여 모형 적합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태체계 이론을 적용한 기혼 폐경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궤적: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Trajectorie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married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a longitudinal analysi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 김은진;노주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jectory of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arried postmenopausal women and aime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women who participated in wave 4 (2012)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Longitudinal Study and continued to the latest phase (wave 7, 2018). A latent growth model (LGM)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1,719 married postmenopausal women in the framework of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at wave 4 was 56.39±4.71 years, and the averag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around the midpoint (3.19±0.84). LGM analysis confirm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decreased over time (initial B=3.21, slope B=-0.03). The factors affecting initial subjective health were age, body mass index, frequency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microsystem level), marital satisfaction (mesosystem level),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acrosystem level).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the frequency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slop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model fit was satisfactory (TLI=.92, CFI=.95, and RMSEA=.04). Conclusion: This analysis of the trajectory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rried postmenopausal women over time confirmed that subjective health is influenced by overall ecological system factors, including the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macrosystem, and chrono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physical activity and support policies promoting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rried postmenopausal women.

Bayesian analysis of longitudinal traits in the Korea Association Resource (KARE) cohort

  • Chung, Wonil;Hwang, Hyunji;Park, Taesu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0권2호
    • /
    • pp.16.1-16.12
    • /
    • 2022
  • Various methodologies for the genetic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have been proposed and applied to data from large-scale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ssociated with traits of interest and to detect SNP-time interactions. We recently proposed a grid-based Bayesian mixed model for longitudinal genetic data and showed that our Bayesian method increased the statistical power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univariate method and well detected SNP-time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further analyze longitudinal obesity-related traits such as body mass index, hip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from Korea Association Resource data to evaluate the proposed Bayesian method. We first conducted GWAS analyses of cross-sectional traits and combined the results of GWAS analyses through a meta-analysis based on a trajectory model and a random-effects model. We then applied our Bayesian method to a subset of SNPs selected by meta-analysis to further discover SNPs associated with traits of interest and SNP-time interactions. The proposed Bayesian method identified several novel SNPs associated with longitudinal obesity-related traits, and almost 25% of the identified SNPs had significant p-values for SNP-time interactions.

최소저크궤적과 X축-스웨이를 이용한 4족 보행로봇의 안정적 걸음새 연구 (Study on Stable Gait Generation of Quadruped Walking Robot Using Minimum-Jerk Trajectory and Body X-axis Sway)

  • 이동구;신우현;김태정;이정호;이영석;황헌;최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0-17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4족복 보행 로봇의 주행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3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Minimum-Jerk Trajectory를 이용하여 다리궤적을 최적화 시킨다. 두 번째는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제시한 사인파와 기존의 방식인 LSM을 Jerk값에 근거하여 비교한다. 셋째는 ADAMS-MATLAB co-simulation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로봇 시뮬레이션을 통해 스웨이의 최적 보폭을 계산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로봇의 보행 개선점을 기존의 이론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첫 번째로 정 보행시 몸체와 타원형태의 다리 끝의 움직임에 Minimum-Jerk trajectory를 사용하여 다리궤적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의 평균 기울기를 최소 1.2에서 최대 2.9까지 감소시켜 지면에 다리 끝점이 도달할 때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증가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 LSM(Longitudinal Stability Margin)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사인파형 Sway를 사용하여 비교한 결과 평균 Jerk를 Z축에서 0.019, X축에서 0.457, Y축에서 0.02, 3D는 0.479 만큼 감소 시켰다. 특히 X축 Jerk는 크게 감소 하였다. 셋째로 로봇이 최소 Jerk 값으로 보행하기 위한 최적의 보폭의 길이를 상기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20cm보폭 길이가 가장 안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