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ssimus dorsi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2초

한우 등심부위 근육 내 조지방함량에 따른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Analysis of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Gene in Longissimus dorsi of High- and Low Marbled Hanwoo Steers)

  • 이승환;김남국;김성곤;조용민;윤두학;오성종;임석기;박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90-1095
    • /
    • 2008
  • 근내지방 축적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12개월 및 27개월령 사이에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의 클로닝 및 유전자발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우조직별, 근육 내 조지방 함량에 따라 마블링 high- 및 low 한우 각 4두와 3두씩을 공시하였다. ddRT-PCR 분석을 통하여 증폭된 300 bp PCR 산물 및 EST 서열을 중심으로 1.5 kb 한우 ICER c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였으며, 조직별 유전자발현분석결과, 식이지방이 흡수되는 소장 조직에서 ICER 유전자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아울러, 같은 근육타입인 등심 및 우둔조직 사이에서 ICER 유전자발현은 등심조직에서 2.5배 많이 발현하였다. 한우 마블링 high, low 두 그룹 간 유전자발현 분석 결과, high 그룹에서 ICER 유전자발현이 4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ICER 유전자는 가축의 마블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임이 사료된다.

한우 노산암소에 대한 발정억제제 및 항산화제의 급여가 증체와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lengesterol Acetate, Selenium and Vitamin E Supplemental Feeding on Growth, Carcass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Traits in Hanwoo Cull Cows)

  • 정준;이성수;박노형;성낙일;장윤호;최성호;송만강;서형기;이명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55-268
    • /
    • 2006
  • 한우 암소에 있어서 번식기간을 연장하고 효율성 있는 암소 사양관리를 위하여 실시된 본 연구는 한우 노산암소의 단기비육을 돕는 첨가제로서 Vit. E, Se 및 MGA를 첨가 급여하여 암소의 발육성적을 검토하고, 도살 후 도체품질의 변화 및 도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평균산차 6.5산의 노산암소 24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240일간의 증체성적은 투여구의 일당 증체량이 23.4% 증가하였고, 사료요구율도 대조구의 19.5에 비하여 투여구에서 16.3으로 개선되었다(P<0.05). 비육종료 후의 도체성적에서 육량은 투여구의 배최장근 단면적이 증가하고 등지방 두께가 감소하여 육량지수가 대조구의 63.95에 비하여 투여구에서 66.60으로 증가하였다(P<0.05). 도체의 육질에서 근내지방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육색도 대조구보다 투여구에서 개선되었다(P<0.05). 등심조직 중의 육색과 일반화학성분, 물리적 특성 및 근섬유 특성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체내 항산화 역할과 면역기능 향상에 영향하는 셀레늄 침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α-Tocoperol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육색 안전성에 기여하였음을 시사하였다. 등심조직에 대한 산패도 측정을 위한 TBARS의 농도는 도살 직후부터 2주차의 시험과정동안 유의한 저장성 개선효과가 나타나(P<0.05) 14일째에는 대조구와 투여구가 각각 3.99 및 1.35mg/kg 이었다. 등심조직에 대한 지방산의 조성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포화지방산, 단일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18:1을 비롯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투여구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산암소를 단기비육할 때 발정 억제제와 항산화제를 급여하면 증체량 및 육질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and Steers of Different Slaughtering Ages)

  • 김병기;정대진;이지홍;황은경;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5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의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후 13개월령의 비육한우 36두(비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6두; 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두)를 공시하여 생후 26개월, 28개월, 및 30개월령까지 비육한 후, 도체특성,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도체의 냉도체중은 도축월령이 길어짐에 따라 비거세우와 거세우 모두 증가하였다(p<0.05). 등지방 두께에서 비거세우군은 28개월령이, 거세우군은 30개월령이 가장 두껍게 나타났고(p<0.05), 배최장근 단면적에서 비거세우군과 거세우군 모두 28개월령 때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p<0.05). 근내지방도, 가열감량 및 보수력은 양 처리군 모두 30 개월령 도축할 때 가장 높았고(p<0.05), 비육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전단력의 경우 비거세우군은 30개월령일 때에, 거세우군에서는 28개월령에 높았다. 도체의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양 처리군에서 28개월령과 30개월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우의 장기비육에 있어서 늦게라도 거세를 실시하면 뚜렷한 도체등급의 개선 효과가 있으며, 거세비육우의 도축월령은 육질적측면(마블링 스코어와 보수력)에서 생후 28개월과 30개월령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고단백질 사료의 급여가 다산 한우 암소의 육생산량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rotein Diet on Meat Productivity and Quality in Multiparous Hanwoo Cull Cows)

  • 이도형;윤우정;최낙진;류경선;오영균;장선식;최창원;주종원;조상범;김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51-1258
    • /
    • 2011
  • 일반적으로 다산 한우암소는 미경산 혹은 어린 한우암소에 비하여 낮은 육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다산 한우 암소 비육을 위한 사료급여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사료로 구성된 사료급여방법이 다산 한우 암소의 육생산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일반 비육우사료 급여를 사용하였다. 처리구의 사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4.28%의 단백질 사료는 비육초기에 급여하였으며, 12.70%의 단백질 수준은 출하 전까지 급여하였다. 대조구는 일반비육우사료(12.39% CP)를 사용하였다. 사양실험은 3개의 농장에서 수행되었다. 농장A에서는 29두의 다산 한우암소를 처리구 그리고 3두를 대조구로 공시하였다. 농장B와 농장C에서는 처리구와 대조구에 각각 8두와 3두 그리고 11두와 4두를 공시하였다. 실험사료들은 총 211일 동안 급여하였고, 처리구의 비육전기사료는 4개월간 급여하였고, 나머지는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였다.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도체중, 육량지수, 근내지방, 육색 및 조직감등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렌덤효과모형[8]을 사용하였다. 처리의 정적효과는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도체중 및 근내지방에서 나타났으며, 육량지수, 육색 및 조직감은 처리구의 부적효과가 나타났다. 모든 분석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농장별 실험결과의 분산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합적 효과에 있어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및 도체중에 대한 90% 신뢰구간은 정적효과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분석항목의 90% 신뢰구간은 부적효과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다산 한우암소비육에 있어 비육전기기간의 고단백질 사료 급여는 육생산성 향상 및 육질 개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거세 및 도축시기가 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stration and Slaughtering Ag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M. Longissimus dorsi)

  • 이경춘;박노형;정준;이성수;오영숙;백경훈;정근기;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65-172
    • /
    • 2004
  • 본. 연.구.는. 한.우. 수.송.아.지.률. 연.령.별.(4, 9, 12, 및 16개월령 )로 거세하여 사육하는 동안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총 75두{형균 4개월령 )의 한우를 Control (비거세우) 및 Treatment I, II, III, 또는 IV(각각 4, 9, 12, 및 16개월령 에 거세)에 업의로 배치한 다음, 각각 7, 9, 12, 16, 및 28개월령 에 도축을 하였다. 한우 등심내 수훈 함량은 비거세우 및 거세우 공히 도축월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28개월령 도축시 거세우의 등심 내 명균 수분 함량은 68.63%로써, 비거세우의 72.18%에 비하여 유의척 (P <0.05)으로 낮았다. 한우 등심내 조지방 함량은 버거세우와 거세우 공히 도축월령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Treatment III(12 개월령 거세우)는 28 개월령에 도축시 모든 거세우들 중 가장 높은 10.24% 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우 비거세우 의 동성 내 조단백질 함량운 도축월령에 상판 없이 23% 정도 이었다. 버거세우와 거세우 공히 등성내 보수력은 도촉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거세우의 경우 16개월령 이후 급격한 보수력의 증가를 보여 28개월령 도축시에는 비거세우(70. 00%)에 비하여 거세우에서 현저하게( P <0.05) 높은( 78 .39%) 보수력을 나타내었다. 한우 버거세우는 도축월령이 증가할수록 등심내 palmitic acid(CI6: o)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20.92 \longrightarrow 24.22%), stearic acid (CI8 : 0)는 감소하였다(18.15\longrightarrow11.32%). 주요 불포화 지방산인 이eic acid(CI8: I)의 함량은 도축월령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P<0.05) 증가 (25.59 \longrightarrow 37.9%) 하였다. 거세우의 등심내 지방산 변화는 전체적으로 비거세우와 유사하였으나, 28 개월령 거세우의 경우 버거세우에 비하여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stearic acid 함량은 비거세우 보다 낮았다.

한우 육질등급에 따른 도체등급 요인,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 (Effect of Quality Grades on Carcass Characteristic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Traits of Longissimus Dorsi in Hanwoo)

  • 이종문;최주희;이현경;나재천;김윤호;천동원;서상철;황규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5-503
    • /
    • 2010
  • 육질등급별 도체등급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육질등급이 3등급에서 $1^{++}$등급으로 높아지면서 도체중,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는 증가하였으며(p<0.05)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p<0.05). 한우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육질등급이 3등급에서 $1^{++}$등급으로 증가될수록 전단력은 8.29 kg에서 2.83 kg으로 감소하였고, 보수력은 52.41%에서 58.03%로, 조지방 함량은 3.57%에서 25.68%로 증가하였다(p<0.05). 기계적으로 측정한 육색에서 명도는 $1^{++}$등급 쇠고기가 41.53으로 가장 높았고 가열감량은 3등급쇠고기가 22.11%로 가장 높았다(p<0.05). 도축 후 24시간에 측정한 pH는 5.53-5.66범위로 정상적인 pH 값을 나타내었다. 6점 만점으로 평가된 관능특성에서, 육질등급이 3등급에서 $1^{++}$등급으로 높아질수록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체평점은 증가하였다(p<0.05). 조지방 함량은 다즙성(0.59), 연도(0.71), 향미(0.55) 및 전체평점(0.6)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전단력은 다즙성, 연도, 향미 및 전체평점과 각각 -0.47, -0.64, -0.52 및 -0.61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1^{++}$ 등급 쇠고기에 비하여 $1^+$등급이하 등급은 전단력이 높고, 조지방 함량이 낮은(p<0.05) 것은 한우고기의 연도증진과 근내지방함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주재래흑돼지와 랜드레이스 교배 축군에서 MYH3 유전자의 6-bp 결실 변이와 육색 형질간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Analysis of the 6-bp Deletion Variant of the MYH3 Gene with Meat Color Traits in Crossbred (Landrace × Jeju Native Black Pig) Pigs)

  • 강용준;김상금;김수연;김민지;김현아;신문철;유지현;양병철;조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26-630
    • /
    • 2021
  • 본 연구는 랜드레이스와 제주재래흑돼지 교잡축군에서 MYH3 6-bp 결실 변이 유전자형과 육색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돼지의 등심(longissimus dorsi), 상완세갈래근(triceps brachii), 대퇴두갈래근(biceps femoris),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을 이용하였다. 총 187두의 등심, 상완세갈래근, 대퇴두갈래근, 반막모양근에서 육색 형질인 적색도(CIE a*), 황색도(CIE b*), 명도(CIE L*)를 조사하였다. Mismatch primer 세트를 이용하여 MYH3 6-bp 결실 변이 QQ, Qq, qq의 세가지 유전자형을 확인하였고, 그 빈도는 각각 0.358, 0.551, 0.091를 확인하였다. 적색도, 황색도, 명도와 MYH3 6-bp 결실변이 유전자형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등심(p>0.05, p<0.001, p<0.001), 상완세갈래근(p<0.001, p<0.001, p<0.001), 대퇴이두근(p<0.01, p<0.001, p<0.001), 반각모양(p>0.05, p<0.001, p<0.001) 부위에서 QQ 유전자형이 qq 유전자형 보다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랜드레이스와 제주재래흑돼지 교잡축군에서 적색도, 황색도, 명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MYH3 6-bp 유전자 다형성을 이용하여 제주재래흑돼지를 이용한 교배프로그램에서의 육색 형질 향상을 위한 유전적 마커로서 사용되어 돼지고기 육질 향상에 도움될 것으로 사료된다.

Fatty Acid Profiles of Various Muscles and Adipose Tissues from Fattening Horses in Comparison with Beef Cattle and Pigs

  • He, M.L.;Ishikawa, S.;Hidari,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55-1661
    • /
    • 2005
  • The present studies were designed to provide new information on fatty acid profiles of various muscles and adipose tissues of fattening horses in comparison with beef cattle and pigs. In the first study, the lipids were extracted respectively from subcutaneous,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longissimus dorsi and biceps femoris muscles of fattening Breton horses (n = 8)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124 kg. In the second study, the lipids were extracted from subcutaneous,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of fattening horses (n = 13), Japanese Black beef cattle (n = 5), Holstein steers (n = 5) and fattening pigs (n = 5). The fatty acids in the lipid sample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after methylation by a combined base/acid methyla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lipids from horse subcutaneous and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contained more (p<0.05)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which were mainly composed of linoleic acid (C18:2) and linolenic acid (C18:3) than those in the muscles. The weight percent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 cis 9, trans 11) in lipids from biceps femoris muscle was 0.22%, which was higher (p<0.05) than that from the other depots. The horse lipids were higher (p<0.05) in PUFA but lower (p<0.05) in SFA and MUF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attle and pigs. The percentage of C18:2 or C18:3 fatty acid in the horse lipids were respectively 2-8 fold or 5-18 fold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cattle and pigs. The percentages of CLA (cis 9, trans 11) in the horse lipids (0.14-0.16%) were very close to those of the pigs (0.18-0.19%) but much lower (p<0.05) than those of the Japanese Black beef cattle (0.55-0.94%) and Holstein steers (0.46-0.7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tty acid profiles of lipids from different muscle and adipose tissues of fattening horses differ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beef cattle and pigs, the horse lipids contained more C18:2 and C18:3 but less CLA.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Muhlisin, Muhlisin;Panjono, Panjono;Kim, Dong Soo;Song, Yeong Rae;Lee, Sung-Jin;Lee, Jeong K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57-116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gas composition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shelf-life of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Black Pigs-Duroc Crossbred ($KNP{\times}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uscle sample was obtained from the left side of carcass of seven months old of $KNP{\times}D$ barrow. The sample was sliced into 1 cm in thickness, placed on trays (two slices/tray) and filled with different gas composition, i.e. 0:20:80/$O_2:CO_2:N_2$ (MAP1), 30:20:50/$O_2:CO_2:N_2$ (MAP2) and 70:20:10/$O_2:CO_2:N_2$ (MAP3). Other slices of sample were vacuum packed (VP) as a control. All packs were stored at $5{\pm}1^{\circ}C$. At 12 d of storage, pH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pH value of MAP1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t 6 d of storage, redness ($a^*$) value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VP and MAP1 and, at 9 and 12 d of storage, redness value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VP, MAP1, and MAP2.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the 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of MAP3 was higher than that of MAP2 and TBARS value of MAP2 was higher than that of VP and MAP1. At 3, 6, 9, and 12 d of storage,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t 3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2 and MAP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VP and MAP1 and, at 6 d of storage, total aerobic plate counts of MAP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MAP1 and MAP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at 9 and 12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total anaerobic plate count among MAP1, MAP2, and MAP3 during storage. It is concluded that the MAP containing 30:20:50/$O_2:CO_2:N_2$ gas composition (MAP2) might be ideal for better meat quality for $KNP{\times}D$ meat.

Differential Expression of PPARγ, FASN, and ACADM Genes in Various Adipose Tissues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from Yanbian Yellow Cattle and Yan Yellow Cattle

  • Ji, Shuang;Yang, Runjun;Lu, Chunyan;Qiu, Zhengyan;Yan, Changguo;Zhao, Zhihu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0-1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attle breeds and deposit of adipose tissues in different positions and the gene expression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fatty acid synthase (FASN), and Acyl-CoA dehydrogenase (ACADM), which are associated with lipid metabolism and are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physiology in fat depot and meat quality. Yanbian yellow cattle and Yan yellow cattle re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display different fat proportions in the carcass. To understand this difference, the expression of $PPAR{\gamma}$, FASN, and ACADM in different adipose tissues and longissimus dorsi muscle (LD) in these two breeds were analyzed using the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qRT-PCR). The result showed that $PPAR{\gamma}$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ipose tissue than in LD in both breeds. $PPAR{\gamma}$ expression was also higher in abdominal fat, in perirenal fat than in the subcutaneous fat (p<0.05) in Yanbian yellow cattle,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cutaneous fat in Yan yellow cattle than that in Yanbian yellow cattle. On the other hand, FASN mRNA expression levels in subcutaneous fat and abdominal fat in Yan yellow catt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Yanbian yellow cattle. Interestingly, ACADM gene shows greater fold changes in LD than in adipose tissues in Yan yellow cattle. Furthermore, the expressions of these three genes in lung, colon, kidney, liver and heart of Yanbian yellow cattle and Yan yellow cattle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expression levels of $PPAR{\gamma}$ and FASN genes were detected in the lung in both breeds. The expression of ACADM gene in kidney and liver were higher than that in other organs in Yanbian yellow cattle, the comparis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Yan yellow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