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stics Driver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물류정보를 활용한 텔레매틱스 기술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elematics Technology Utilizing Logistics Information)

  • 변의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44
    • /
    • 2009
  • Recently, automobile industry expands from mechatronics area through intelligent information area, and the telematics technology is one of the greatest developing points. The telematics is utilizing the on-board-unit of vehicle's communication system, and it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and value-added service to vehicles as well as drivers. Most of the telematics offers the solution of searching a route or generates an optimal path. This paper investigates telematics with the logistics point of view, such as freight location tracking, vehicle emergency information, etc. The telematics is a core technology of automobile industry, and it becomes new business paradigm of IP(information provider). Especially, ETA(estimated arrival time) of freight and distribution tracing information are critical issues in the logistics industry. The successful integration with telematics is introduced in the paper.

컨테이너 내륙운송에 있어서 운전기사에 대한 컨테이너 관리의 전가문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ransfer of Container Management Responsibilities to Drivers in the Inland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 이하연;조찬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9-80
    • /
    • 2022
  • 우리나라에서 화물 수송분담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도로운송이다. 도로 컨테이너 운송은 컨테이너 운송의 출발점이자 완결점일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종사자 또한 많다. 육상물류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컨테이너 운전기사의 본업은 컨테이너를 항만 및 터미널에서부터 목적지까지 운송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운송과정에서 컨테이너의 청소 및 데미지 컨테이너의 관리 등 본업외에도 여러 가지 컨테이너 관리의무를 묵시적으로 전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동 사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운전기사의 근로환경에 대해 파악하고, 컨테이너 관리 작업에 대한 실태와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선사, 터미널, 화주별로 컨테이너 관리 요구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한편 조사지역별 요구사항의 차이를 분석하고, 컨테이너 관리 전가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GPS 및 RFID를 이용한 웹 기반 물류차량 이력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for Logistics Vehicle using GPS and RFID)

  • 정세훈;심춘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737-2746
    • /
    • 2010
  • 최근 물류 산업에 USN/RFID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u-물류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물류 패러다임을 토대로 GPS와 RFID를 이용한 웹 기반 물류차량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설계시 모든 이벤트 처리 과정을 하나의 리사이클 형태의 상태로 간주하고 전체 시스템을 객체지향의 UML을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또한 RFID를 기반으로 물류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물류차량이 어떤 처리 과정을 거치고 있는 지를 확인하게 되며, GPS를 활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구현 방식은 C/S 방식으로 관리자가 사용하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시스템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PDA 기반의 사용자 GUI를 구현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수요가, 생산처, 물류처, 관리자, 운전자를 각각 구분하고 각 기능을 별도로 구현하여 시스템 재사용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둔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방안 (Utilization of Subway Stations for Drone Logistics Delivery in the Post-Pandemic Era)

  • 문상원;이한별;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75-383
    • /
    • 2021
  • COVID-19로 인해 사람들은 외출과 모임 자제로 온라인 쇼핑, 온라인 여행, 화상회의 등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시킴과 동시에 기존의 문제들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온라인 소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생활물류산업에서는 교통체증, 대기오염, 배송기사의 과중한 업무 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대면배송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드론에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을 활용한 무인 배달이 기존 생활물류산업의 대체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드론의 비행에 따른 물류시설의 공간과 추가적인 물류부지 확보가 해결되어야 하는 새로운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의 문제들과 새롭게 생겨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드론을 위한 물류시설의 공간으로 기존 운수 사업인 지하철을 활용하여 물류 이동과 보관, 배송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연계하고자 한다.

택배 배송 작업의 공정분석을 통한 인간공학적 접근 방안 (Ergonomic Approach through Process Analysis of Delivery Work)

  • 이세정;진상은;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5-61
    • /
    • 2024
  •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has rapidly been expanding, with offline demand concentrating on online platform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rastructure. This has increased the workload of courier drivers considerably, along with labor intensity. A delivery driver died recently from overwork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delivery volume, which raises social concerns. Delivery drivers work long hours, (over 12 hours) and are greatly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such as snow, rain, heat waves, and cold waves. In addition, they lack a fixed workplace; perform atypical work handling workpieces of various sizes, weights, and shapes; and spend a large amount of time driving as part of their work. This work involves a high level of tension and require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Despite the frequency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urier industry, studies on safety and health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systematize the work of courier workers are very scarce. Therefore, to define the work process necessary for investigating the harmful factors in delivery service and the work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to analyze the unit work of the delivery service by targeting delivery workers. In other words, a framework of unit work for work analysis was presented to enable research and analysis by 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courier industry. The process was broadly divided into work, transport, storage, delay, and inspection. Work was divided into loading, sorting, unloading, and door subcategories, and transportation was divided into vehicle, cart, and walking subcategories as well as 10 small processes. Moreover, 22 unit works were again drawn by conducting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The risk of unit work derived from this study was ergonomically evaluated, and the ergonomic analysis revealed that uploading and transportation were the most dangero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mong courier workers, whose work has increased with the logistics volume and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On the Integrated Operation Concept and Development Requirements of Robotics Loading System for Increasing Logistics Efficiency of Sub-Terminal

  • Lee, Sang Min;Kim, Joo Uk;Kim, Young 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85-94
    • /
    • 2022
  • Recently, consumers who prefer contactless consumption are increasing due to pandemic trends such as Corona 19. This is the driving force for developing the last mile-based logistics ecosystem centered on the online e-commerce market. Lastmile led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but increased the amount of cargo in urban area, and caused social problems such as overcrowding of logistics. The courier service in the logistics base area utilizes the process of visiting the delivery site directly because the courier must precede the loading work of the cargo in the truck for the delivery of the ordered product. Currently, it's carried out as automated logistics equipment such as conveyor belt in unloading or classification stage, but the automation system isn't applied, so the work efficiency is decreasing and the intensity of the courier worker's labor is increased. In particular, small-scale courier workers belonging to the sub-terminal unload at night at underdeveloped facilities outside the city center. Therefore,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is lowered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exposed, so robot-based loading technology is needed. In this paper, we have derived the top-level concept and requirements of robot-based loading system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logistics processing and to ensure the safety of courier drivers. We defined algorithms and motion concepts to increase the cargo loading efficiency of logistics sub-terminals through the requirements of end effector technology, which is important among concepts. Finally, the control technique was proposed to determine and position the load for design input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conveyor system.

운전자 주행패턴을 반영한 작업부하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 Workload Assessment Index Based on Analyzing Driving Patterns)

  • 김윤종;이설영;최새로나;오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5-556
    • /
    • 2017
  • 운전자 작업부하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작업부하 평가지표의 경우 개별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주행패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운전자마다 체감하는 작업부하량과 작업부하를 극복하는 능력은 개인차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별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반영한 새로운 작업부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개별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반영하기 위해 운전자 별 Steering Velocity 절대값의 평균을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의 Steering Velocity 면적의 합을 계량화한 ESA (Erratic Steering Velocity Area)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자율주행차가 비자율차와 혼재되어 주행하는 군집주행 환경을 구축하여 비자율차의 운전자가 군집주행 환경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ESA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군집유무에 따른 일반 비자율차 운전자의 반응행태자료를 추출하여 NASA-Task Load Index (NASA-TLX) 점수와 운전자 작업부하 평가지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차로변경 시나리오에서는 다양한 운전자 작업부하 평가지표 중 ESA가 NASA-TLX 점수와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ESA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외주차량을 고려한 시간제약이 있는 차량경로문제에 대한 연구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s considering Outsourcing Vehicles)

  • 성준;문일경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97
    • /
    • 2006
  • The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s (VRPTW) is an important problem in third party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We extend the VRPTW to the VRPTW with overtime and outsourcing vehicles (VRPTWOV) which allows the overtime of driver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outsourcing vehicles. This problem can be applied to third party logistics companies for managing central distributor-local distributors, local distributor-retailers (or customers), and a manufacturer. We develop a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a genetic algorithm. Computational results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genetic algorithm. We also develop a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this genetic algorithm.

도심상업지역의 노상 하역공간 최적배치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cation planning of the on-street loading/unloading bay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이상용;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7-67
    • /
    • 2008
  • 도시내부에서 발생하는 화물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도심상업지역에서는 노상 하역공간(loading zone)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지만, 현재 대도시의 도심상업지역의 경우는 하역공간의 설치미비로 인하여 화물자동차들은 마땅한 조업공간이 없어 노상에서 불법주정차 행위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도심교통의 장애를 야기하는 하나의 원이 되었으며, 그로 인한 혼잡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할 수 있도록 노상하역공간의 정비방안을 살펴보고, 부산의 도심상업지역인 서면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하여 노상하역주차 특성을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노상 하역공간의 정비는 규모 즉, 조업을 행할 수 있는 주 정차 베이(bay)의 개수 추계와 함께 이들의 적절한 배치장소를 모색하는 것이다. 규모적 측면에서의 주 정차 베이 수는 조업차량의 도착율 및 서비스율에 기초한 대기행렬의 적용을 통하여 산출 할 수 있었으며, 배치장소의 결정은 화물운반에 대한 저항함수를 정식화함으로써 최소 저항이 되는 위치를 산정할 수 있었다.

우측핸들차량 운전자의 잠재적 위험성 분석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Potential Risks from Right-Handled Vehicle Drivers)

  • 박준태;김정현;강영균;김장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7-78
    • /
    • 2012
  •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교통법에서 도로의 우측통행을 법률로 규정하고, 이에 적합한 운전석의 위치는 좌측 체계를 관례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측 핸들차량이 외국(특히 일본)에서 다양한 절차를 통해 수입되어 2004년 7월 자료에 의하면 이사화물 차량 1,343대와 외교관 차량 593대 등 2,000대 이상이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입된 우측 핸들 차량은 국내의 우측 방향 운행체계에 적합하지 않아 잠재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실험을 통하여 우측 핸들차량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들은 방향지시등의 조작시간이 길어지고 에러횟수가 많아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교통사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또한 추월시 발생하는 시거확보의 문제에 대한 실험의 결과, 운전석으로부터 10m 뒤에 위치한 종이컵을 보는 실험결과 좌측 핸들 차량의 시야 범위는 2.95m, 우측 핸들 차량의 시야 범위는 1.7m로 분석되었다. 우측 핸들차량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기준에 준하는 운전자에게 운행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며, 법 규정에 이와 관련된 기준 마련 등을 통하여 우측 핸들차량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