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fer of Container Management Responsibilities to Drivers in the Inland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컨테이너 내륙운송에 있어서 운전기사에 대한 컨테이너 관리의 전가문제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22.06.02
  • Accepted : 2022.06.29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Road transportation accounts for the largest share of cargo transport in Korea. Inland transportation is not only the beginning and completion point of container transportation, but it is also very complex and has many workers. The main job of container drivers, who play a key role in inland logistics, is to transport containers from ports and terminals to destinations. However, in addition to the main role, various container management obligations, such as cleaning containers and managing damaged containers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are implicitly transferred to container driver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issue. This study identified the working environment of container driver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ntainer management responsibilities by drivers. Furthermore, it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ainer management requirements by shipping company, terminal, and shipper. Differences in requirements for region(Busan, Kwangyang, Pohang)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 of transferring container management were also presented.

우리나라에서 화물 수송분담율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도로운송이다. 도로 컨테이너 운송은 컨테이너 운송의 출발점이자 완결점일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종사자 또한 많다. 육상물류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컨테이너 운전기사의 본업은 컨테이너를 항만 및 터미널에서부터 목적지까지 운송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운송과정에서 컨테이너의 청소 및 데미지 컨테이너의 관리 등 본업외에도 여러 가지 컨테이너 관리의무를 묵시적으로 전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동 사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운전기사의 근로환경에 대해 파악하고, 컨테이너 관리 작업에 대한 실태와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선사, 터미널, 화주별로 컨테이너 관리 요구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한편 조사지역별 요구사항의 차이를 분석하고, 컨테이너 관리 전가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지연.문광수.오세진(2016), 위험은 파견, 용역 업체에게 전가되는가?, 한국심리학회
  2. 오규선.김현빈.한상원.현창택.차용운(2018), 건설현장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책임전가의식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3. 윤애림(2021), 화물운송 차주 겸 기사의 근로자성 -유통배송기사의 노무제공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4. 임종진.안우철(2019), 국내 외래생물 관리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5. 전주희(2019), 새로운 위험 노동의 외주화와 위험의 교차성, 문화과학사
  6. 한주희(2015), 미국의 산업재해 근로자 보상현황 및 고용주의 책임 전가, 한국노동연구원
  7. Li.Ling.Wang.Bin.Cook.David P.(2015). Reprint of "Enhancing green supply chain initiatives via empty container reus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 74, p109-123 https://doi.org/10.1016/j.tre.2014.12.007
  8. Ramesh, N..Joseph, S. W..Carr, L. E..Douglass, L. W..Wheaton, F. W.(2004), A PROTOTYPE POULTRY TRANSPORT CONTAINER DECONTAMINATION SYSTEM: II. EVALUATION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EFFICIENCY.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47 Issue 2, p549-556 https://doi.org/10.13031/2013.16035
  9. Sainz Bernat.Norberto.Schulte.Frederik, Voß.Stefan. Bose.Jurgen(2016), Empty Container Management at Ports Considering Pollution, Repair Options, and Street-Turns,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p1-13
  10. SOBOTTKA.Thomas.SIHN.Wilfried.EDTMAYR.Tho mas(2014),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LOSED LOOPS OF REUSABLE CONTAINERS IN PRODUCTION ENVIRONMENTS CONCERNING CONTAINER CLEANING, Acta Technica Corviniensis - Bulletin of Engineering. Vol. 7 Ißue 1, p101-110
  11. 국토교통부(2018), 2018 국가교통 SOC 주요통계, 국토교통부
  12. 통계청(2017), 운수사업조사보고서
  13. HMM등 주요 선사 자료 집계, 컨테이너 세척비용
  14. 해양수산부(2020), 컨테이너 터미널 처리 물동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