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cal model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32초

확장된 개체 관계 모델 기반 XML의 개념적 모델 비교 (Comparison of Conceptual Models of XML Based on Extended Entity Relationship Model)

  • 김영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97-202
    • /
    • 2019
  • XML은 문서의 표현 및 교환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으로 자리 잡아 왔으며,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XML을 논리적 모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XML이 갖는 의미론에 대한 개념적 모델이 필요하다. 하지만, XML의 고유한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기존의 개념적 모델인 개체관계 모델이나 UML 등을 이용하여 모델을 확장하여 사용해 왔지만 현재까지 표준화된 모델은 없다. 본 논문은 데이터베이스 분야 관점에서 개체 관계 모델을 확장하여 XML의 개념적 모델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모델들의 특징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XML의 개념적 모델이 충족해야 할 요구사항들을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각 모델들의 접근방식을 비교한다.

모형론적 논리적 귀결과 논리상항 (Model-theoretic Conceptions of Logical Consequences and Logical Constants)

  • 박준용
    • 논리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109
    • /
    • 2014
  • 셔어는 타르스키의 논리적 귀결 정의가 개념적으로나 외연적으로 적합한 설명이라고 믿는다. 셔어는 모스토프스키의 동형 구조 내의 불변적인 것으로서 일반화된 양화사 개념, 그리고 자신의 모형 이론에 근거해서 그 믿음을 정당화하려 하였다. 이 글에서 나는 타르스키의 정의를 정당화하려는 셔어의 시도는 반만 성공한 것임을 보이려 한다. 나는 논리적인 것이 동형 구조 내의 불변적인 것이라는 셔어의 생각은 논리적 귀결의 형식적 특징을 보이기에 충분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반면 나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셔어의 생각은 외연이 빈 술어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기에는 아주 부적합해서, 결국 셔어는 논리적으로 필연적인 진리들과 그 밖의 진리들을 구별하는 데 실패하였다고 생각한다.

  • PDF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기반 모바일 웹앱 자동 생성 도구 (User Interface Model Based Automatic Mobile Web Application Generation Tool for Embedded Systems)

  • 최기봉;김세화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3-2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델로부터 모바일 웹앱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를 제시한다. UI 모델은 UI 중심적인 내장형 시스템을 UI 모델링을 통해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인 PELUM(Pattern and Event based Logical UI Modeling)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도구는 모델 편집기와 코드 생성기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 편집기는 웹 상에서 논리적 UI 모델(LUM)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모델(PIM)을 모델링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코드 생성기는 LUM을 기반으로 앱의 화면구성 및 이벤트 동작을 설정하고 PIM을 기반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구성하여 모바일 웹앱을 생성한다. 또한 PIM에서 외부 혹은 open API 주소를 입력 받아 매쉬업 웹앱을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생성된 모바일 웹앱은 사용자가 손쉽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Model-View-Controller(MVC) 아키텍처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상에서 UI를 모델링하여 여러 기기에서 동작 가능한 모바일 웹앱을 생성할 수 있다.

모형론적 귀결과 양상성 (Model-theoretic Consequence and Modality)

  • 최원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36
    • /
    • 2012
  • 모형론적 귀결 개념은 타르스키의 1936년 논문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보통 말한다. 하지만 에치멘디는 이를 부정한다. 이 논문은 1936년 논문에 나와 있는 타르스키의 정의가 과연 표준적인 모형론적 귀결 개념에서 받아들이는 것과는 다른 고정 도메인 견해에 기반을 둔 것인지 아니면 그것과 같은 가변 도메인 견해에 기반을 둔 것인지를 둘러싸고 전개된 논란을 다룬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논리적 사고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Logical Thinking Ability Measuring Tool in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 이좌택;이상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25
    • /
    • 2004
  • 그 동안의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래밍 학습 후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측면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를 이용하여 왔다. 지능은 영역이 서로 독립적이며, 분야별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특정분야에서 요구하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국 내외 표준화된 검사지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관련성이 있고, 인지발달 수준에 적합한 논리적 사고와 이의 하위요인을 추출하고 개발절차 모형에 따라 동형의 논리적 사고 검사 I, II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논리적 사고 검사지에 대한 검증결과 동형의 논리적 사고 검사지임이 밝혀졌다. 개발된 검사지는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와 이의 하위논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PDF

전차 교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체계모델의 논리 모델링 방법 (Logical Modeling of Base System Model for Tank Engagement Simulation)

  • 이순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63-72
    • /
    • 2020
  • 다양한 무기체계 중 대표적인 지상 무기체계인 전차는 각국의 핵심 전력 중 하나로, 전차의 운용 개념과 효과도 분석을 통해 과학적 분석 기반의 비용 효과적인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전 시뮬레이션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데, 전차 무기체계를 모델링함에 있어 전차의 기동, 통신 등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운용교리를 반영한 효과분석을 위하여 전차장 등의 의사결정을 모델링하는 논리 모델도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통합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AddSIM)에서 제공하는 무기체계 모델의 표준 아키텍처인 기본체계모델(Base System Model, BSM)에 맞추어 전차 교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전차 BSM 설계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논리 모델을 인간 의사결정 모델에 근거하여 세분화하였으며, DEVS 형식론이라는 수학적 형식론에 기반한 정형적인 모델링 방법으로 모델링하였다. 그 결과 전차 BSM을 계층적이고 모듈화된 형태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우리 군의 전차 운용 개념 연구와 전차의 효과분석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 한옥영;김재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22
    • /
    • 2011
  •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알고리즘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수학 과학과 연계된 논리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알고리즘 교재 개발이 추진 중 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제시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나선형 모형으로 학습 진도를 진행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설계된 교수-학습 모형은 PBL과 자기주도학습 및 동료교수법의 혼합 모형이다. 제시된 모형에 근거하여 수학과 과학의 수업 예시를 구성하여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 Temporal Data model and a Query Language Based on the OO data model

  • Shu, Yongmoo
    • 경영과학
    • /
    • 제14권1호
    • /
    • pp.87-105
    • /
    • 1997
  •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 on temporal data management for the past two decades. Most of them are based on some logical data model, especially on the relational data model, although there are some conceptual data models which are independent of logical data models. Also, many properties or issues regarding temporal data models and temporal query languages have been studied. But some of them were shown to be incompatible, which means there could not be a complete temporal data model, satisfying all the desired properties at the same time. Many modeling issues discussed in the papers, do not have to be done so, if they take object-oriented data model as a base mode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temporal data model, which is based on the object-oriented data model, mainly discussing the most essential issues that are common to many temporal data models. Our new temporal data model and query language will be illustrated with a small database, created by a set of sample transaction.

  • PDF

A Temporal Data model and a Query Language Based on the OO data model

  • 서용무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7-87
    • /
    • 1989
  •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 on temporal data management for the past two decades. Most of them are based on some logical data model, especially on the relational data model, although there are some conceptual data models which are independent of logical data models. Also, many properties or issues regarding temporal data models and temporal query languages have been studied. But some of them were shown to be incompatible, which means there could not be a complete temporal data model, satisfying all the desired properties at the same time. Many modeling issues discussed in the papers, do not have to be done so, if they take object-oriented data model as a base mode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temporal data model, which is based on the object-oriented data model, mainly discussing the most essential issues that are common to many temporal data models. Our new temporal data model and query language will be illustrated with a small database, created by a set of sample transaction.

본질적 논리모형에 근거한 원무관리시스템의 분석과 설계 (Essential Logical Model Approach in Analysis and Design for Patient Management and Accounting System : A Case Study)

  • 김명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125
    • /
    • 1994
  • In developing tot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large amount of time and expense are to be spent while its results are likely to lead itself to end-users' dissatisfaction. Some of the main complaints on the part of end-users come from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nd-users environment as well as in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their requirement in the system alalysis and design. This papre addresses some advantages of Essential Logical Modeling Process for better analysis and design, explaining by exampl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Patent Management and Accounting System for a tertiary care hospital. In the case, the Essential Model, suggested by McMenamin and Palmer,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 for clear separation of analysis and design phase and for better communication among system developers and with end-users. The modeling process itself contributed to better program modularity as well, shown in a Structured Chart. Difficulties in learning how to identify' essential activities' for the modeling practice were experienced in the beginnins stage, which were, however, overcome by elaborating some heuristic guideling and by rdferring to necessary tools including State Transition Diagram, Control Flow Diagram, and so many. While full evaluation of the Essential Model usag remains to wait till the completion of the case project, its strengt in making clear distinction between analysis and design phase was enough to be attractive to system analysts. The model concepts are open to many further application fields, particularly such areas as business re engineering, process remodeling, office automation, and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