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 Normal Distribution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9초

경사제의 평균 잔류수명 추정을 위한 간편법 (Simplified Method for Estimation of Mean Residual Life of Rubble-mound Breakwaters)

  • 이철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37-45
    • /
    • 2022
  • 경사제의 평균 잔류수명을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누적피해의 시간 이력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추계학적 확률모형과 다르게 내구수명의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평균 잔류수명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설계 내구수명과 과거 하중이력에 따라 전문가들이 판단한 내구수명의 상한치와 하한치 그리고 그 발생 가능성을 활용하여 분포함수의 모수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편법을 전면이 TTP로 피복된 경사제에 적용하였다. TTP 피복재의 시간에 따른 누적피해에 대한 모형실험 자료가 있는 동일 조건에 대하여 WP(Wiener Process) 기반의 추계학적 확률모형도 MCS(Monte-Carlo Simulation) 기법과 함께 적용하였다. 각각의 해석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을 MTTF(Mean Time To Failure)와 함께 비교하여, 실제 발생 가능한 시간에 따른 모든 형태의 피해경로에 대하여 경사제의 내구수명 분포함수는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편법으로 추정된 경사제의 재령에 따른 평균 잔류수명을 WP 기반 추계학적 확률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일정한 재령까지는 누적피해의 증가 형태와 관계없이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MTTF 근방의 재령에서는 선형적인 증가와 대수적인 증가 형태에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불확실성을 올바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추계학적 확률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편법은 누적피해에 대한 시간 이력 자료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항만 구조물에 대하여 평균 잔류수명 기반의 예방적 유지관리를 신속하게 계획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지진 진동수에 따른 교량의 내진성능기반 취약도 해석 방법 (Frag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 Structure considering Earthquake Frequencies)

  • 이대형;정영수;양동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87-197
    • /
    • 2009
  • 본 논문은 진동수에 따른 취약도 곡선과 손상확률을 제시하였다. 취약도곡선과 손상확률은 주어진 지진동에 의해 임의의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손상의 정도를 나타낸다. 지진에 의한 피해는 지진이 가지는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확률적으로 예측하여야 한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동적 해석과 실험 결과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주어진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른 5단계의 손상 단계별 손상확률을 구하였다. 취약도 곡선을 산출하기위해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반조건에 따라 각각 100개의 인공지진파를 생성하고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손상단계는 기존의 실험 결과에 기초한 성능기반에 따라 정의하였으며 RC 교각의 지진거동을 변위연성도로 나타내었다. 손상단계 및 지반가속도를 이용하여 PSC교량의 지반조건에 따른 손상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반조건 및 구속철근량에 따른 손상확률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강박 장애의 정량화 뇌파 소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윤탁;권준수;조맹제;김용식;이부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16-221
    • /
    • 1996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강박 장애 환자 19명(남자 14명, 여자 5명)과 연령과 성별을 맞춘 정상 대조군 19명을 내상으로 뇌파를 측정하고, 스펙트럼 분석하여 절대력, 상대력, 양반구간 비대칭도 등의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뇌 영상화 방법을 사용한 기존의 강박 장애의 이상 소견과 비교하고, 강박 장애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지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T3-T4 부위에서 theta파의 절대력이 감소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2) 상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F3-F4 부위에서 delta파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3) 양반구간 비대칭도의 경우 환자군에서 alpha파와 beta파의 F7/T3-F8/T4의 전극에서 비대칭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강박장애에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각 지표의 소견이 기존의 여러 뇌 영상화 방법을 이용한 강박 장애의 소견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올 알 수 있고, 이는 강박 장애의 발병 기전과 전두엽과 기저핵의 이상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성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 PDF

산악지(山岳地)에 분포(分布)한 토양특성(土壤特性)의 변이분석(變異分析) (Vari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Area)

  • 박창서;엄기태;정석재;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3
    • /
    • 1985
  • 우리나라의 산악지(山岳地)에 분포(分布)한 토양(土壤)의 단위위치별(單位位置別) 대표단면(代表斷面)의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대(對)하여 분류단위수준내(分類單位水準內) 변이성(變異性) 및 순수성(純粹性)을 분석(分析) 검정(檢定)하고, 특정(特定) 신뢰구간(信賴區間)에서 주어진 정도내(精度內)에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를 결정(決定)하고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성(物理性), pH,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 및 유기물(有機物)의 변이성(變異性)은 적었으며, 표토(表土)의 변이성(變異性)은 심토(心土)보다 낮은 경향(傾向)이었음. 2. 대수정규분포(對數正規分布)를 나타내는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산술평균(算術平均)값이 수정(修正)되었음. 3. 토양특성(土壤特性)의 변이성(變異性)은 고차분류단위(高次分類單位) 일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저변이군(低變異群)에 속(屬)하는 토양특성(土壤特性)은 고변이군(高變異群)보다 약(約) 3~4배(倍) 이상(以上) 토양관리(土壤管理)에 의(依)해 영향(影響)을 적게 받았음. 4. 분류단위수준별(分類單位水準別) 순수성(純粹性)은 목 (目) 73.9, 대군(大群) 56.7, 그리고 통(統) 47.4% 이었음. 5. 유의수준(有意水準) 0.05에서 모평균(母平均)의 10, 20% 정도(精度)를 추구(推求)하는 데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가 결정(決定)되었음.

  • PDF

초등학생 가정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에어로졸 노출과 아토피와의 연관성 평가 (Evaluation of Atopy and Its Possible Association with Indoor Bioaerosol Concentrations and Other Factors at the Residence of Children)

  • 하진실;정혜정;변혜정;윤충식;김양호;오인보;이지호;하권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6-417
    • /
    • 2011
  • Objectives: Exposure to bioaerosols in the indoor environment could be associated with a variety adverse health effects, including allergic disease such atop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children's exposure to bioaerosol in home indoor environments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atopy and bioaerosol,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in Ulsan, Korea. Methods: Samples of viable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collected by impaction onto agar plates using a Quick Take TM 30 and were counted as colony forming units per cubic meter of air (CFU/$m^3$). Bioaerosols were identified using standard microbial techniques by differential stains and/or microscopy.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possible causes of atopy based on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Results: The bioaerosol concentrations in indoor environments showed log-normal distribution (p < 0.01). Geometric mean (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homes were 189.0 (2.5), 346.1(2.0) CFU/$m^3$, respectively. Indoor funga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acteria (p < 0.001).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exceeded the limit recommen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800 CFU/$m^3$, in three out of 92 samples (3.3%) from 52 homes. The means of indoor to outdoor ratio (I/O) for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8.15 and 1.13, respectively. The source of airborne bacteria was not outdoors but indoors. GM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217.6, 291.8 CFU/$m^3$ in the case's home and 162.0, 415.2 CFU/$m^3$ in the control's hom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fungal distributions between case and control were significant (p = 0.004) and the odds ratio was 0.996 (p = 0.027). Atop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ype of house (odds ratio = 1.723, p = 0.047) and income (odds ratio = 1.891, p = 0.041). Some of the potential allergic fungal genera isolated in homes were Cladosporium spp., Botrytis spp.,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 and Alternatia sp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this should be either 'was little' meaning 'basically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or 'was a small negative' mean that an association was found but it was minor. It's a very improtant distinction. Association between airborne fungal concentrations and atopy and certain socioeconomic factors may affect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topy.

성형압력이 Soil-Cement의 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lding Pressur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

  • 서원명;고재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75-4591
    • /
    • 197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in size distribution, cement content, and molding pressure 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s, a laboratory test of soil cement mixtures was performed at four levels of cement content, five levels of molding pressure, and four levels of normal curing perio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ptimum moisture contents in loam soil and maximum dry density in sand soil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ement content, but in others, both optimum moisture contents and maximum dry density were changed ununiformly. 2.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50kg/$\textrm{cm}^2$,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 cement content, 2 and 4 per cent, was lower than th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out cement content by more than 40 to 50 per cent. 3.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100kg/$\textrm{cm}^2$, was higher than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D.D. obtained from standard compaction test more than 40 per cent in sand loam cement and 50 per cent in loamy cement. 4.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olding pressure, cement conten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tgh and so the following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Loam: fc=1.9693C+0.197P-0.84 Sandy loam: fc=2.9065C+0.235P-0.77 5.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20 to 100kg/$\textrm{cm}^2$,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28-day and 7-day strenght was obtained as follows. Loam : q28=1.1050q7+7.59(r=0.9147) Sandy loam : q28=1.3905q7+3.17 (r=0.9801) 6. At the cement contents of above 50 per cent, the weight losses by freeeze-thaw test were negligible. At the cement content of below 8 per cent the weight losses were singnificantly high under low molding pressure and remarkab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lding pressure up to 80kg/$\textrm{cm}^2$. 7. Resistance to damage from water and to absorption of water were not improved by molding pressure alone, but when the soil was mixtured with cement above 6 per cent, damage seldoms occurred and absorbed less than 5 per cent of water. 8.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inverse-co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s and their freeze-thaw loss as well as water absorption. By the regression equation method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expessed as followed fc=-7.3206Wa+115.6(r=0.9871) log fc=-0.0174L+1.59(r=0.7709) where fc=unconfined compressive stregth after 28-days curing. kg/$\textrm{cm}^2$ Wa=water absorption, % L : freeze-thaw loss rate, %

  • PDF

기존 고속철도 터널의 지진취약도 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s of the High Speed Railway Tunnels in use)

  • 김홍균;신철식;이태형;이종건;박두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1호
    • /
    • pp.67-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용 중인 91개 고속철도 터널을 대상으로 단계별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목표 내진성능 확보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지진취약도 함수도 함께 개발하여 지진규모에 따른 시설물의 확률론적 피해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단계별 내진성능평가는 내진성능 예비평가 및 상세평가 순으로 실시하였으며, 평가결과 대상터널들은 설계기준 수준의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진취약도 함수는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를 기준으로 한 대수 정규분포형태로 설정하였으며, 함수도출방법은 설계 PGA수준에 대한 손상발생확률을 이용하여 취약도함수의 모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손상발생 검토부재는 라이닝콘크리트로서, 대상터널을 굴착식 터널(NATM 터널) 및 개착식 터널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손상수준별 지진취약도 함수를 개발하였다. 이번연구에서 도출된 지진취약도 함수와 기존연구결과(FEMA, 2004)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대상터널의 내진성능확보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대상터널이 기존연구의 대상인 재래식 터널(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ASS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천연안역 저서동물의 종조성을 이용한 환경평가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Macroinfaunal Compositions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 이재학;고병설;박흥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1-781
    • /
    • 1997
  • 연안역의 환경을 오염이란 관점에서 가장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평가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인천연안역을 대상으로 저서동물군집을 이용한 환경평가 방법인 종-개체수-생물량곡선 (SAB), 순위-빈도 곡선 (RFD), 개체수-생물량 비교법 (ABC), 대수-정규 분포 곡선 (LND), 내서 동물 식성지수를 응용한 저서 오염 지수 (BPI)에 적용하여 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래프를 이용한 평가방법은 환경상태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충분한 생물자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또는 세부적으로 비교${\cdot}$분석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저서오염지수에 의하면 정점간의 비교가 가능하였으며, 집괴분석의 결과에서 얻을 수 없는 출현종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오염의 정도나 경로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여러 환경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천연안역은 외해역 보다는 영종도 북동쪽 해역이 다소 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인천항이 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통한 금강유역 미계측 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Estimating design floods for ungauged basins in the geum-river basin through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L-moments method)

  • 이진영;박동혁;신지예;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645-6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에 대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을 추정하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유역 내 유량자료의 수문학적 독립성과 동질성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Lag-1 자기상관성 분석, 동질성 검정, 이상치 검정, 불일치척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검정 결과, 금강유역의 대상 관측소들은 시간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동질적 모집단에 속하며 이상치는 없었다. 일반 극치 분포(GEV), 3변수 대수정규 분포(LN-III), 피어슨-III 분포(P-III), 일반 로지스틱 분포(GLO), 일반 파레토 분포(GPA) 등 5개의 3변수 확률분포함수에 대한 L-모멘트비도와 평균가중거리(AWD), 그리고 $Z^{DIST}$ 적합도 산정 결과, GLO 분포함수가 금강유역의 최적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GLO 분포를 바탕으로 지역홍수빈도를 추정하는 회귀모형을 제안하였고, 강경 관측소의 관측 유량을 이용하여 회귀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PCB에서의 ECM 특성에 미치는 SnPb 솔더 합금의 분극거동의 영향 (Influence of Polarization Behaviors on the ECM Characteristics of SnPb Solder Alloys in PCB)

  • 이신복;유영란;정자영;박영배;김영식;주영창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7-174
    • /
    • 2005
  • 전자 부품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고집적화됨에 따라 전자 패키지 내부에 사용되는 금속간 간격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더하여 고온 고습한 환경에서 금속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금속의 이온화가 촉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필라멘트가 형성되어 결국 절연파괴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electrochemical migration(ECM)이다. 이에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ECM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항온/항습조건($85^{\circ}C,\;85{\%}RH$)에서 PCB의 $300 {\mu}m$의 단자간격을 가진 through-hole via 표면에서 발생하는 ECM 현상은 CAF가 절연파괴의 주된 메커니즘이었다. solder를 구성하는 Sn과 Pb 조성 분석을 통해 Pb 의 이온 이동도가 Sn의 이온 이동도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급격한 양극용해 거동을 보이는 pure Pb의 분극거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간에 따른 절연파괴시간 시험을 통하여 ECM에 의한 절연파괴시간이 인가전압에 의존하며 인가전압 의존성 지수값(n)은 2로 나타났다.

  • PDF